‘선행학습을 금지한 독일은 지금!!(EBS, 캡쳐)’을 보고

Originally posted 03/16/2014

EBS 프로그램을 누군가가 해둔 캡쳐를 보고서 든 생각을 포스팅 한다. (링크: 선행학습을 금지한 독일은 지금!!)

작년 이맘때 3개월간 독일/스위스에 머무를 기회가 있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미국과 유럽의 차이를 체험할 수 있었다. 비즈니스를 전공한 입장에서 특히나 경제/기업문화를 관심있게 보았다. 거기서 가장 많이 느낀 차이는 독일 사회는 ‘연대’가 정말 중요한 사회적인 가치라는 것이다. 미국식의 가치인 ‘효율성’ 또는 ‘미국식 자본주의’는 천박하게 여겨지는 듯한 느낌까지 받았다. 두번의 세계대전이 가져온 참혹함에 대한 뿌리 깊은 반성과 사회주의의 가치가 그러한 국민적인 공감대를 가져온 듯 하다.

하지만 독일 방식이 우리에게 맞는 방법인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EBS 프로그램에서 독일의 교육을 따라야할 근거로 독일은 잘사는 나라라서 그렇다고 이야기 했으므로… 이부분부터 생각해보기로 하자.

현재 독일의 부의 근간에는 몇가지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독일은 EU의 통합 과정에서 동유럽의 저임금 노동자의 다수를 받아 드릴 수 밖에 없었고, 이는 기업입장에서는 저렴한 노동력이라는 큰 이점을 가져왔다. 또한 유로화로 인한 환율의 왜곡은 그들을 수출 강대국으로 만든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반면에 한국 사람들이 보기에는 너무나도 융통성이 없어 보이는 사람들과 시스템, 침체되어 있는 청년들과 너무나 안정이 되어 있어서 어떻게 보면 노쇄한 것 같이 보이는 분위기가 한국에 맞는 것인가는 의문이다.

또한 교육을 말할 때 교육 제도 자체 만을 말하는 건 어불 성설이다. 아이들은 어른들의 생각과 사상을 그대로 배울 뿐이고 어른들이 변하지 않고서는 제도를 아무리 바꾸어 봤자 얼마안가 다시 우리식으로 바뀔 뿐이다. 90년대 후반 미국의 SAT를 벤치마킹해서 만들었던 수능이 지금에 와서는 문제 유형만 바뀐 다른 형태의 학력고사로 바뀐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덧붙여 말하자면 SAT는 지식을 측정하는 시험이라기 보다는 사고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일종을 아이큐 테스트 같은 시험이다. 아마 내가 96년에 봤던 수능과 두번 수능을 치뤄 진통을 치뤘던 94년의 수능이 그에 가장 근접했던 수능이 아니었나 싶다.)

독일/스위스에 있을 때 현지에서 사시는 분들과 그들의 아이들과 교제할 기회가 있었다. 그 학부모들이 느끼는 건 학교에서 너무 쉽게 가르치고 공부하는게 아니라 놀다 오는 것 같다는 것이었다. 본인의 아이들은 맨날 노는 것 같은데 성적은 최상위권인게 이상하다는 거였다. (아이들이 놀고 오는 건 아닐꺼다. 다른 형태의 교육을 받고 오는 거일 꺼다….) 만약 이러한 시스템을 우리나라로 그대로 들여오면 한국의 학부모들이 마냥 놀고 먹는 것 같은 자녀들을 그대로 둘까? 아마도 공교육에 대한 불신만 가지게 되고 당장 사교육으로 발걸음을 돌리게 될 것이다. 어른들의 삶자체가 ‘연대’가 아닌 ‘경쟁력’과 ‘치열함’을 모토로 하는데 어찌 자식들이 가만히 놀고 있는걸 두고 보겠는가? 또 그렇게 두는 인격적인 부모님이 있다 한들 그 아이들이 지금의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면서 살아 갈 수 있을까?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