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요새 엄청난 양의 글로 페북을 도배하고 있는데요. 그래도 정치적인 이슈가 담겨 있는 글을 포스팅할 때는 조금 망설여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후배가 저의 글에 반박하는 긴 글을 올려주었는데, 댓글로 남겨두기 아까워서 담벼락에 다시 올립니다. 후배의 글을 통해서도 제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계기도 되었고 배운 점도 있기에 이런 류의 포스팅도 하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포스팅은 수정없이 원문을 그대로 올립니다.)
(후배의 글)
제가 아는 박노자씨의 평가는 조금 다릅니다. 링크는 ‘영화화 한다면 적당한 인물’ 추천이라 단편적 발췌로 박노자씨의 호의를 추측하기는 힘듭니다. 저는 사실 박노자씨를 통해 윤치호라는 인물을 더 알게 된 사람인데요, 아시다시피 박노자씨의 여러 저작에 윤치호가 계속 등장합니다. 박노자씨의 의견은 ‘윤치호는 이런식(물지 못할거면 짖지도 마라)으로 식민당국에 대한 자신의 무비판, 협력을 스스로 합리화했다’ 입니다. 이건 찾아보시면 금방 나오는것이기도 하고 박노자교수님께 직접 물어보셔도 됩니다.(vladimir.tikhonov@ikos.uio.no 엄청 바쁘실텐데 대답을 무쟈게 잘해주신다는..)
– 그당시에는 어쩔수 없었다거나, 그 상황에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말은 정당화와 아무런 연관이 없습니다. 누구나 자기 나름의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합니다. 시대적 상황인식도 해석이 가미되지 않은 현실인식은 없고, 그 인식범위의 넓고 좁음은 있겠지만 어떤 인식이 정답인가도 있을수 없지요. 자신의 그릇 안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는 말은 그래서 의미없는 말입니다. 그것이 행위의 정당성을 의미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범죄자도 최선을 다해 합리적인 선택을 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범죄인 사실은 변하지 않아요. 식민지시대에 일제가 저지른 만행을 누구보다도 잘 알았을 윤치호가 해야 할 선택은, 그 합리성이 아니라 그 정당성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적어도 재평가가 시도되는 지금 이시점 대한민국은 표면적으로나마 독립국이니까요. 물론 실제로 독립을 이루었느냐에 대한 평가는 논외로 합니다.(내적 독립까지 이루어졌다면 이런 재평가가 이슈화될리 없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 조봉암선생의 배경 언급하신 부분은 조봉암 선생이 남긴 글들로도 반박이 가능할것 같기는 한데, 아예 다른 예로도 쉽게 반박이 될 것 같습니다. 윤치호와 동시대의 인물로 우당 이회영선생 및 그 형제들이 있습니다. 희대의 천재 입장에서는 비이성적인 선택을 한 ‘우매한 민중’일 뿐이겠습니다만,(실제로 윤치호가 대중을 보는 시선은 이랬습니다. 사회진화론자인데다 racist였죠.) 흔한 친일파들의 변명인 ‘그때는 어쩔 수 없었어’는 사실 좀 옹색합니다.
– 윤치호라는 인물이 변절만 하지 않았어도 아마 A급 독립운동가로 이름을 남겼으리라는 사실은 아마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겁니다. 그런데 이 변절이라는게, 주로 지식인들이 자행하는 – 그리고 자신들의 지식으로 열심히 합리화하기 바쁜 이 변절이라는게, 종합적 평가를 뒤집을만큼 강력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변절을 할수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윤치호가 했던건 독립운동이 아니라 자신이 배운 正義에 입각한 최선의 합리적 선택이 아니었나 합니다. 똑똑한 사람들의 특성이죠.
무의미한 논쟁같아서 최대한 짧게 지엽적인것만 적으려고 했는데 써놓고 보니 길고 모호하게 적혀있네요 여튼 저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이루고 있는 집권층의 구성이나, 건국인지 독립인지 모를 그시점에 나라를 조직했던 사람들이 가지고 있었던 史觀등이 대한민국을 지금까지도 어지럽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하고 (그리고 그걸 과연 수정할 수 있으려나 회의를 가지고 있고) 그 바탕에는 역사적인 불확실성에 의해 여지없이 짓밟히곤 했던 합리성이라는 허상이 있으며, 그 합리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논리가 아니고 정의와 불의의 구분이라고 믿고 있고요. 쓰다보니 제가 생각하는 정치의 본질을 적어놨네요.
(제 답글)
성의 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박노자씨의 윤치호에 대한 제가 아는 평은 위의 두 링크가 다입니다. 후배님께서 더 관심있께 찾아보신 것 같아 제가 잘못생각했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도 제가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처음부터 존댓말로 댓글을 시작했습니다. 언어의 정치성 때문에 반말이 되면 형으로서 하는 훈계가 될 것 같은 부분을 염려에서였죠.
인물을 평가하는 시각 차이는 아마도 후배님과 저의 관점이 달라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상당히도 그사람의 입장에서 보는 편인 사람이고 진리라는 것이 여러 사람에 관점에서는 다르게 보일 수 있다고 믿는 편이거든요. 나쁜짓 해놓고 합리화하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논리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을 껄끄럽게 하는 관점이긴 합니다만…
지금 회사에서 일하는 중인지라 찬찬히 생각해볼 시간은 없는데요. 집에가서 시간내서 다시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관련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