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ffingtonpost korea에 올라온 코스타리카 관련 글들을 보고서 든 생각

다운로드

최근에 huffingtonpost korea에 올라온 코스타리카 관련 두개의 아티클을 보고서 든 생각을 올려본다. 본문의 내용과 상관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하다.

‘8강 돌풍’ 코스타리카 :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과연 코스타리카는 지상천국일까?

남미출신 친구들과 이야기 해보면 그곳은 만성적인 인플레가 일상화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곳에서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불가능하다. 잠깐 지상낙원으로 소개되었던 코스타리카도 비슷한 고통을 겪고 있는 듯.

남미 쪽 물가상승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인지라 그동네 화폐들은 이미 화폐로서의 가치가 거의 없다고 봐야할 듯 하다. 예전에 mba 회계 case 수업때 남미 회사의 case를 다뤘는데, 상당히 건실한 기업이었는데도, 자국 화폐가치의 신뢰성 하락으로 복잡한 회계적인 이슈들이 있었다. 기업 회계 담담자 입장에서 골치 아픈 건 물론이고, 이정도 되면 정상적인 기업활동이 거의 불가능 하다고 봐야한다.

우리나라도 70-80년대 고속성장의 부작용을 많이 겪은 나라이고, 이젠 나름 정부에서는 물가 통제(?)의 노하우도 많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정부에서 몇몇 기업의 총수들을 소환해서 압력을 넣는 방법인데, 이게 무식해 보이지만 아직 우리나라 정도의 규모 경제에서는 먹힌다. 그리고 실제 이런 방법을 우리나라는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듯 하다.

우리가 가끔 행복지수가 높다고 예시로 드는 부탄 같은 나라는 세계 경제의 지형도에서 섬같이 고립된 나라이니 우리가 지향점으로 삼기는 어렵다고 보아야 한다. 세계 경제는 어찌보면 미국화(?) 또는 신자유주의화(?)라는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인다. 심지어 견고한 모습의 유럽의 경제도 예전보다는 많이 미국처럼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개개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한가지 생각나는 예는 휴가의 천국으로 불리는 프랑스 같은 나라. 이 나라는 한달씩 휴가를 가는 걸로 유명한 나라인데, 이런 럭셔리도 이제는 점점 옛날 이야기가 되어 가고 있다고 들었다. 무한 경쟁의 삶으로 모두를 몰아가는 미국식 경제 모델은 전세계 모든 사람에게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진보적이고, 깨어있다고 하는 사람들은 하나 같이 미국식 경제 모델과 신자유주의의 폐해를 지적하는데, 나의 솔직한 느낌은 그렇다면 우리에게 무슨 대안이 있을까 하는 것이다. 전세계적인 흐름을 거부하고 우리식의 모델을 제시하면서 나아가는게 방법일까? 그렇게 말하기에는 이미 우리나라 경제의 수출의존도가 너무나도 높다.

우리나라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깜짝 놀랄 만큼 높다. 학교에서 거시경제 수업들을 때 한 나라를 선택해서 미국의 GDP와 비교하는 조별 과제가 있었다. 조원중에 한국사람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바로 나… ㅠㅠ) 내가 총대를 매고서 우리나라 GDP와 미국의 GDP를 비교하는 작업을 해봤는데, 오히려 미국같은 나라는 내수의 비중(특히 서비스업)이 엄청나다. (그렇다고 논문이나 연구수준의 심도 깊은 리서치는 아니었다. 그냥 수업 중에 하나 과제였을 뿐….ㅎㅎ) 아이러니 하게도 미국 정도 경제규모가 되는 나라는 세계 경제와 동떨어져서도 사는게 가능하다.

내가 자본주의의 본산이라고 하는 미국에서 경영을 공부해서 그런지 다른 대안을 솔직히 잘 모르겠다. 진보적인 학자들이나 참신한 의견들이 많고, 그런 목소리들이 색다른 시각을 던저주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역시나 아직 그런 목소리들이 주류라고 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내가 워낙 형이하학적인 인간이라서 그런지 모르겠으나, 기존의 경제체제나 회사가 돌아가는 방식은 너무나 견고해보이고, 진보적인 목소리는 아직도 공허하게 들릴 뿐이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