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의 유대인 말살 정책과 에스더

아이를 키우면서 그나마 잘한 일이 하나 있다면 그건 매일 자기전에 성경을 읽어준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 하니까 내가 무척이나 자상한 아빠인 듯 하지만 솔직하게 말하자면 매일 읽어주었던 것은 아니고 귀찮은 날은 모른척 건너뛰기도 자주했다. 또 우리 마나님의 잔소리에 못이겨서 억지로 읽어준 적도 많이 있었고, 지금은 성경책 읽어달라는 아이의 성화에 마지못해 읽어줄 때도 많다.

아이에게 성경원문을 그대로 읽어주는 것은 그 수준에서 맞지 않는 일이라 아직까지는 어린이 성경을 읽어주고 있다. 처음 시작은 아이가 만 3세 였던 2012년. 그때 읽어 주었던 책은 아가페에서 나온 ‘아장아장 성경’, 그리고 2013년 읽어 주었던 성경은 ‘두란노 어린이 그림 성경’. 2014년 지금은 ‘두란노 이야기 성경’을 읽어주고 있다.

매해 수준이 조금씩 높히고 있는데, 지금의 책은 만 5세 아이가 소화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듯 하여 처음에는 조금 망설였다. 예를 들자면 아브라함의 이야기를 하면서 멜기세덱의 이야기를 언급한다던지… 가인이 아벨을 죽이는 이야기를 묘사한다던지… 어린 딸에게 살인이라는 이야기를 묘사 해야하는 순간에는 혹시라도 이 아이가 ‘살인’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어떻게 답변을 해야 하나 조마조마 하며 빨리 넘어가곤 했었다. 그런데 구약에는 생각보다 살인의 장면이 많이 나오더라. 어느 시점에서는 그냥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성경에서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하늘의 별을 보여주며 약속을 하는 이야기. 몇번을 다시 읽어달라고 한다. 그 페이지에 책갈피를 끼우고서 my favorite이라는 표시를 해두었다. 아브라함이 별을 ‘하나, 두울, 세엣.’ 하고 세는 장면에서는 항상 웃음을 터뜨린다.

esther_a_2

Jan Victors – The Banquet of Esther and Ahasuerus

이번주에 아이에게 읽어주는 본문은 에스더 이야기이다. 혹시 이글을 읽으시는 분들중에 성경에 친숙하지 않은 분을 위하여 내용을 짧게 설명하면 이렇다. 에스더 이야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당시 페르시아의 장관이었던 하만은 유대인을 증오하고 있었는데, 정치적인 계략을 사용하여 아하수에로 왕이 모든 유대인을 말살시키라는 칙령을 내리도록 한다. 유대인이었던 왕비 에스더는 지혜로운 방법으로 왕의 민족말살 명령을 거두게 하고, 하만 장관은 실각을 하게 된다.

성경의 이야기를 아이에게 들려줄 때마다 무척 조심스럽다. 성경이라는 텍스트 자체가 구약의 경우에는 유대민족의 입장에서 본 하나님의 이야기이고 하나님이라는 온전한 인격체가 이스라엘 민족 공동체와 어떻게 관계를 맺어 갔는가에 대한 기록이다. 자칫 잘못 읽혔다가는 공의의 하나님이 이스라엘 민족 만의 하나님으로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특히나 성경 원문 그대로가 아닌 짧게 축약된 이야기의 경우는 편집자의 시각이 은연중에 드러나기 때문에 더욱 조심스럽다.

성경의 사건중에 몇가지는 현대인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는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예를 들자면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으로 들어갈 때의 이야기가 그렇다. 하나님은 가나안 땅에 살던 모든 민족을 말살시키라는 명령을 내린다. 토착민을 몰아내고 인종청소를 하라는 이야기인데, 현대인의 관점에서 이는 비윤리적인 일이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이부분에 학자들의 의견은 몇가지로 나뉘는데, 나는 일종의 수사적인 표현이었다는 입장을 지지하는 편이다. 개인이라는 개념이 희박했던 고대인에게 있어서 전쟁에서의 압승은 말살이라는 표현으로 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성경적인 관점에서 볼 때 죄악이 넘쳐흐르는 가나안 민족에 대한 징벌의 개념으로 나온 결론이 진멸(殄滅)이다.

형이상학에 깊이가 일천하며 신학/윤리학을 전공하지 않은 입장에서 이문제를 더 깊이 논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 그럴 능력도 되지 않는다. 다만 내가 말할 수 있는 수준의 형이하학적인 이야기는 지금 가자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학살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는 이스라엘 민족 입장에서의 가치를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폭력에서 시작되었다는 정도이다. 성경 속의 가치관을 문자적으로 이해/해석하고 시대적 맥락을 무시할 때 이러한 비극이 발생하게 된다.

에스더 이야기는 이와 반대되는 상황이다. 이제 이스라엘 민족은 말살을 당할 위기에 처해있다. 사실 역사적으로 볼때 유대민족은 다른 민족을 말살할 수 있는 입장보다는 몰살을 당할 위기에 처한 적이 더욱 많았었다. 에스더 이야기가 기록되었던 시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노예 생활에서 해방되어 예루살렘을 재건하던 때이다. 시기적으로 보았을 때 에스더 이야기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단순한 역사적 사실을 넘어서는 위로의 메세지이다.

이번주에 에스더 이야기를 읽어주면서 하나 알게 된것은 이제 아이에게 ‘권선징악’의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몇달 전에 창세기와 사무엘서를 읽어줄 때만 해도 누군가가 죽거나 위험에 처하는 이야기를 들으면 무서워서 벌벌 떨던 아이였다. 지금 달라진 것이 있다면 나에게 확인하는 질문을 한다는 것이다. “아빠, 하만은 나쁜 사람이야? 아하수에로 왕은?” 지금은 누가 선한 사람이고 악한 사람인지부터 파악하려고 한다. 그리고 이스라엘 민족이 위험에 처하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괜찮아 하나님이 다 지켜 주실 건데 뭘… 나중에 나쁜 사람들은 다 벌받지?” 이렇게 물어본다. 아이가 어디서 권선징악의 개념을 알게 되었는지 궁금하다. 지금까지 성경책을 읽어가며 자연스럽게 형성이 된 것일까? 아니면 요새 즐겨보는 ‘번개맨’이라는 만화를 통해 배우게 된 것일까?

고작 만 5세 딸아이 성경책 읽어주면서 너무 많은 생각을 한 듯하다. ㅎㅎ 아마도 아빠로서 어린시절에 읽어주는 책이 이 아이에게 어떤 가치를 심어줄까에 대해 지대한 관심이 있어서 그럴 것이다. 지금은 5살 수준에서 권선징악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정도로 만족한다. 사실은 만족하는 게 아니라 대견스럽다. 아이이지 않은가? 세상사는 일이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아서 나이가 먹고 어른이 되어서까지 그러한 시각에서 발전이 없다면 그 또한 문제이겠지만, 권선징악은 윤리의 뼈대를 세워주는 훌륭한 기본틀 정도는 된다.

오늘은 자식을 키우면서 생각하게 되는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보았다. 별거아닌 이야기에서 시작해서 신학/윤리/역사 같은 복잡한 주제를 건드리는 것을 보니까 병인 듯 하다. 딱딱하고 재미 없는 이야기 여기까지 읽어주신 독자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그리고 지금 가자에서 죽어가고 있는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이스라엘 사람들에게도 평화가 임하기를 바란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