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들어가며: 대부분 저의 포스팅은 기독교 신앙을 전면에 드러내지 않습니다만, 오늘 이야기는 개인 기독교 신앙에 관련한 이야기이고 기독교의 전제가 깔려 있므로 기독교에 알레르기를 일으키시는 분은 읽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오늘 쓰는 글도 역시나 일종의 일기입니다.

400px-Psalms_Scroll

(Image source: wikipedia) 사해버전 성경 (Est. 408 BCE to 318 CE)

내 신앙이 흔들릴 때마다 점검하는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성경’이고 하나는 ‘십자가’이다. ‘성경’은 나의 신앙이 성경의 하나님에서 시작한다는 의미에서 그러하고, 성경에서 시작한 종교개혁에 동의한다는 의미에서 그러하다. 그리고 ‘십자가’는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모습으로 죽기까지 낮아지셔서 부활하신 십자가 사건과 보혈의 피로 인해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얻었다는 믿음이 다른 종교와 다르게 기독교를 기독교 되게 하는 인식에서 그러하다.

성경을 어떻게 믿느냐는 쉽지 않은 신학적인 문제이다. 신학적인 질문을 스스로 던지고 답하는 과정은 수월하지 않다. 종국에는 체계적인 신학교육을 받지 않은 나로서는 한계가 있음을 인정할 수 밖에 없으리라. 하지만 이것은 내게는 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오늘은 스스로 질문을 던져보고 생각을 정리 해보고자 이 글을 적어본다.

첫번째는 우리가 읽고 있는 성경이 저자가 작성한 원문 그대로 인가 하는 문제이다. 가장 최근에 쓰여진 신약 같은 경우도 2000년이 지난 문서이고 구약 같은 경우는 3500년 전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가 보는 성경은 원본이 아니고 가장 원본에 가깝다는 사해문서 조차도 몇백년에 걸쳐 베껴 쓰인 책이다. 또한 정경도 몇차례의 공의회 이후에 정립된 것이니 우리가 오늘날 보는 성경은 원본에 얼만큼 가까운지 알기 힘들다.

두번째 이슈는 최근에 생각하게 된, 개인적으로 더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과 진리에 대해 말하고 있지만 그 진리라는 것은 언어에 갖혀있다. 언어에 갖혀있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언어는 세계를 표현하지만 본질과 정확하게 일대일로 대응하지 않는다. 때로는 우리의 사고가 언어를 만들기도 하지만 사고자체도 언어 속에 갖히기도 한다.

두가지 이상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느껴본 적이 있겠지만, 다른 언어를 사용하면 다른 관점과 자아가 생긴다. 물론 분명히 나는 똑같은 존재인데도 불구하고, 영어를 사용할 때와 한국어를 사용할 때의 나는 미묘하게 다르다. 제스쳐도 달라지고 사고를 전개하는 방식도 달라지며, 목소리나 발성법까지 달라진다. 이 것은 겉으로 드러나는 사소한 차이를 만들 뿐 아니라 때로는 내 관점까지 바꾼다.

이를테면 한국어를 사용할 때는 나는 무의식 중에 상대가 나보다 높은 사람인지 낮은 사람인지를 염두에 둔체 말을한다. (이것은 존댓말이 없는 영어와 비교하면 더욱 분명해진다.) 그리고 한국어는 주어를 자주 생략하는데 이것은 우리의 인식 체계에서는 주체와 객체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의 언어라는 한계가 있는 도구를 통해 진정한 하나님이 온전히 드러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은 헬라어/히브리어로 제한되어 지는 것인가? 또 우리가 읽는 성경의 헬라어/히브리어는 현대의 우리가 이해하는 헬라어/히브리어와 일치하는 것 일까?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어제 아이와 성경을 읽으면서 발견했다. 사실은 이미 알고 있는 것일테지만 그것이 다시금 새롭게 다가 왔다. 언젠가 누구에게 들었본적이 있는 이야기 일테지만, 내게 새롭게 느껴졌으니 감사할 일이다.

바로 성령이다. 나는 하나님(성부), 예수님(성자)에 집중하고 성령에 대해서는 무심한 면이 있다. 하지만 결국 우리를 하나님께로 인도하고 진리로 인도하는 것은 성령인 것이다. 성령을 단순히 우리에게 복을 주는 존재로만 이해해서는 안된다.

어제 아이와 읽었던 말씀은 베드로 후서 였다.

“먼저 알 것은 성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니 예언은 언제든지 사람의 뜻으로 낸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받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임이라” 베드로후서 1:20-21

참고로 여기서 예언은 앞을 보는 예언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선지서와 모세오경 그러니까 구약을 말한다. 즉 신약 이전에 쓰여진 성경을 말하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성경을 믿는다고 하는 것은 언어의 불완전함과 인간적인 저자의 관점까지 넘어서는 성령의 존재를 믿는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인 신앙으로 한걸음 더 나아가자면, 필사의 불완전함/정경 체택 과정의 인간적인 부분/그리고 번역의 불완전함을 뛰어 넘어 성령은 역사한다고 믿는다. 성령이 없이는 교회와 신앙이 쌓아올려 질 수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요한복음을 인용하고 마무리 지으려고 한다. 요한복음 1장은 예수님이 ‘말씀(로고스)’이라고 하고 있다. 성경과 언어에 대한 생각을 한 후에 요한복음을 읽으니 새삼스럽게 다가온다.

태초에 ‘말씀’이 계셨다. 그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 그 ‘말씀’은 하나님이셨다. 그는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 모든 것이 그로 말미암아 창조되었으니, 그가 없이 창조된 것은 하나도 없다. 창조된 것은 그에게서 생명을 얻었으니, 그 생명은 사람의 이었다. 그 이 어둠 속에서 비치니, 어둠이 그 을 이기지 못하였다. (새번역 요한복음 1장 1-5절)

+덧붙이며: 제 블로그 방문객은 대부분 기독교인이고,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기독교인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비기독교인의 관점에서 진지하게 이 글을 읽으셨다면 논리적으로 비약을 느끼실 수도 있을 듯 합니다. 그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신앙은 논리/과학이 아니며, 어느 지점에 이르러서는 개인적인 믿음으로 뛰어넘어야 이해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인간의 의지나 노력이 아닌 성령이 하는 영역이라고 개인적으로 믿고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 thoughts on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