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가지 언어 사용이 만드는 번역체 말투들 – 우리집 사례

translation

아무래두 나는 영어와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들과 한집에서 살다보니, 소위 말하는 번역체 말투를 생활 속에서 가끔 본다. 영어로 생각한 단어를 한국말에 대응하는 단어로 말하다 보니 생기는 어색한 경우. and vice versa (또는 그 반대 경우.)

1. 우리 아내

신혼 때, 아내는 설겆이를 하고 나서 그릇을 꼭 말려두라고 당부하곤 했다. 나는 착한 남편이니까 아내가 말한대로 했다. 우리 집에는 식기 건조기가 따로 없기 때문에 그릇을 말려두려고 찬장에 순서대로 줄을 맞추어 뒤짚어 엎어두었다. 물기가 빠지면 그대로 마르겠지.

이상한 낌새를 챈 아내가 내게 다시 이야기 한다. “그릇을 말려 두라고 하지 않았나? 왜 그냥 둬?” “말한 대로 말리고 있어.” “페이퍼 타월로 말렸어?” “아니.” 그제서야 나는 아내가 말리라고 하는 의미를 깨달았다. 영어로 ‘dry’는 자연적으로 말린다는 의미도 있지만, 물기를 닦아낸다는 의미도 있다.

우리 마눌님은 지금도 ‘dry’를 그대로 한국말로 옮겨서 ‘말린다.’라고 말한다. 그리고 나는 아직도 닦기 보다는 젖은 채로 뒤집어 놓는다. 지금은 못알아 들어서가 아니라 귀찮아서 이다.

2. 딸내미 사례 1

우리는 미국에 살기 때문에 딸애에게 영어를 따로 가르치지 않는다. 유치원에서 선생님이나 친구 사이에서 자연스레 배우는 걸로 충분하다. 우리 걱정은 사실 아이가 한국어를 잊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이미 한국 보다 미국에서 산 시간이 더 길었는데, 당연한 거다.

그래도 가끔은 영어의 뉘앙스는 가르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잘못된 언어 사용으로 오해를 사는 일이 생길 수도 있어서 이다.

재작년 아이가 다섯살 때 유치원에서 있었던 일이다. 아이가 놀이터에 나가면서 신발을 신어야 했다. 그런데 신발이 스스로 신기에는 조금 어려웠던 모양이다. 한쪽을 간신히 신어보다 잘 안되서, 선생님에게 도와달라고 했다고 한다.

근데 우리는 아이에게 어떻게 영어로 공손히 말하는지 가르친 적이 없다. 아마도 때쓰는 뉘앙스로 선생님에게 명령조로 말했던 것 같다. (영어로 공손하게 말하는 것이래봐야 별건 없고, ‘Could you~?’ 나 ‘Please’를 붙여서 말하는 정도이다.) 그래서 선생님은 아이에게 공손하게 말하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 ‘please’라고 말해야 신을 신겨줄 것이라고 했단다. 아이는 ‘please’라는 말을 처음 들어봤기 때문에 괜히 토라져 버렸다. 아무말도 없이 선생님과 신경전을 벌이다가 결국 한쪽만 신발을 신고서 놀이터에서 놀았단다. (우리 딸이 은근 자존심이 강하다.)

딱히 대단한 일은 아닐 수 있지만, 조심은 해야 겠다 싶었다. 아이 엄마가 선생님께 상황 설명을 했다. 아이에게는 부탁을 할 때는 ‘please’라고 해야 한다는 것을 가르쳤다.

그담부터 딸아이는 ‘please’라는 말을 참 잘한다. 근데 너무 잘하다 보니까 한국말을 할 때도 말 끝마다 ‘제발’을 붙인다는 게 문제다. 아마도 아빠한테 공손하게 말하느라고 ‘please’에 해당하는 ‘제발’을 붙이는 것 같은데, 나한테는 조르는 말처럼 들려서 거슬릴 때가 있다.

3. 딸내미 사례 2

작년 가을에 한국에서 친구 가족이 우리집에 와서 머무른 적이 있다. 그 집 아들이 우리 딸보다 한살이 많은데 같이 잘 논다. 딸애는 오기도 전에 벌써 신이 났다. 유치원에서도 선생님한테 한국에서 오빠가 온다고 몇번을 자랑한 듯 하다.

선생님이 하루는 궁금해 하며 묻는다. 딸아이가 한국에서 ‘brother’가 온다고 몇번을 말했다고 한다. 아무리 생각해도 선생님 생각에는 ‘친오빠’는 아닌 것 같은데 누가 오느냐고 묻는다.

영어로는 ‘brother’라고 하면 ‘친오빠’를 말하고 이 경우에는 ‘friend’라고 하는게 더 맞았을 터. 우리 말을 굳이 영어로 옮기니까 이상하게 되어 버렸다.

4. 내 경우

언어 능력이 월등하게 뛰어나신 우리 마눌님이나 딸아이하고 내가 비교할 수준이나 되겠나. 사실 나는 번역체를 논할 정도도 못된다. 시간이 흘러도 영어는 안늘고, 한국말은 자꾸 까먹는다.

그래도 생각해보니, 영어로 문장을 쓰면서 우리말로 글쓰는 스타일도 조금 바뀌긴 했다. 이를 테면 문장이 길어질 때 쉼표를 많이 사용한다. 우리 말은 글을 쓸 때 쉼표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데, 영어는 잘 끊어줘야 효과적인 의사 표현이 가능하다. 원래는 단문이 의사표현에 효과적인데, 내가 단문을 잘 못 쓴다. 절충안으로 쉼표를 무지하게 쓴다.

또 하나는 요새 한국말 할 때 무의식 중에 내가 단수/복수를 제대로 쓰고 있나 점검한다는 것이다. 우리말은 단/복수가 분명하지 않은데 그걸 분명하지 않게 말하니까 뭔가 덜 말한 찜찜한 기분이 든다. 그렇다고 영어를 할 때 수일치를 제대로 하는 건 아니다. 역시 영어는 안늘었는데 한국말만 이상해져 간다.

관련 포스트

발음/관사/전치사 이야기

두가지 언어 사용이 만드는 번역체 말투들 – 우리집 사례

강세와 발음 – Atlanta, fantastic, coyot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