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면가왕과 편견 그리고 직관에 대하여

딸아이랑 복면가왕을 즐겨본다. 프로그램이 내세우는 가치는 ‘편견을 깬다.’이다. 평범한 막귀인 내가 찍는 승자는 판정단과 다를 때도 많다. 가면을 벗은 탈락자들은 내게 의외의 놀라움을 선사하기도 한다.

사실 가수의 이름값을 인지하고서 노래를 즐기는 것도 노래를 감상하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영화 평론의 평점 같은 것을 사람들이 보는 것도 다 이유가 있다.

편견이 언제나 나쁜 것은 아니다. 빠른 판단을 필요로 할 때, 이성보다 더 빨리 움직여서 생존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직감은 편견의 (긍정적인 방향의) 동의어이다. 사자가 나타났을 때는 생각하기 전에 움직여서 자리를 피해야 한다. 사자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따진다거나, 사자가 배고픈지 여부를 관찰하는 것은 어리섟은 일이다.

재미있는 article이 있어서 공유한다. Article에서는 몇가지 사례가 나온다. 포도주 블라인드 테스팅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클래식 음악 오디션 실험도 나온다.

클래식 음악 오디션 실험 사례가 상당히 재미있다. 복면가왕과 비슷한 컨셉의 실험이다. 실제 클래식 오디션의 최종 3명의 비디오를 보여주고 평가를 내리게 한다. 첫번째 그룹은 소리만 들려주었고, 두번째 그룹은 소리를 포함한 비디오를, 세번째 그룹은 소리를 제거하고 비디오 만 보여주었다.

어떤 그룹이 실제의 오디션 결과와 일치하는 판단을 보여주었을까? 흥미롭게도 소리를 제거한 비디오 만 보여준 그룹이다. 이 실험은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에게 같이 실시 되었는데, 둘다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고 한다.

캡처

캡처1

기사 전문: The Science of Snobbery: How We’re Duped Into Thinking Fancy Things Are Better (The Atlantic, 2013년 9월 11일자)

캡처

+ 덧: 기사의 많은 부분은 노벨상 수상자 다니엘 카네만의 ‘생각에 관한 생각’에 기초한 것 같다. 아무래도 이 분야의 선구자인 카네만을 벗어나기는 힘든 것 같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