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틴 여행기 – 마지막날 : 돌아가는 길

귀족체험

이제 마지막 날이다. 아직 하루의 로드트립이 남았다. 아침은 호텔에서 든든히 먹기로 했다. 부시시한 얼굴에 슬리퍼를 질질 끌고서 1층으로 향했다. 서버는 쿠바계 미국인. 생긴 것이 체게바라 비슷하다. 체게바라가 수염을 깍고 머리를 단정하게 넘긴 다음, 서버 유니폼을 입은 것 같다. ‘체게바라’ 서버는 말수가 적었지만 필요한 것을 제때에 챙겨주는 센스가 있었다. 그의 빠릿빠릿함에 나는 만족했다.

둘러보니 손님은 대부분 백인이다. 반면에 종업원은 히스패닉과 흑인. 호텔이나 식당에 오면 가끔 그런 생각이 든다. 서비스업의 본질은 유럽의 귀족 체험이 아닐까. (블로거 격암님의 포스트에 빚진 생각이다.)

DowntonAbbeySeason5-640

영드 ‘다운튼 애비’ 첫화에 이런 장면이 나온다. 견습 과정인 한 하인에게 전임자가 주의 사항을 알려준다. 아침에 주인에게 신문을 가져다 줄때, 주인 어른은 새로나온 신문지 느낌을 좋아하니 다리미로 빳빳하게 다리는 것을 잊지 말라는 당부였다.

영국 귀족 한 가문을 챙기기 위해서 저택에는 수십명의 하인들이 같이 산다. 어떤 하인들은 주방을 전담하고, 어떤 하인들은 정원을 가꾸며, 어떤 하인들은 청소를 한다. 그리고 집사가 이들을 총괄한다.

우리가 호텔에서 받는 서비스의 원형은 귀족 저택의 삶이다. 귀족의 삶을 유지하는 데에는 엄청난 부가 필요하다. 현대인은 그런 호사를 매일 누리지는 못하지만 비용을 지불하고서 잠깐 경험해 볼 수는 있다.

Capture

돌아오는 길, 그리고 콜롬버스

돌아가는 길은 루트를 다르게 잡아봤다. Dothan을 거쳐 Columbus를 지나는 일정이다. 아이가 Columbus라는 지명을 반가워 한다. 학교에서 Columbus day의 유래를 배우면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 대해 들었다고. 역사가 짧은 미국은 Columbus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다는 그 날이 일종의 개천절인 셈이다. 내게는 별 의미가 있는 날은 아니지만, 노는 날이니 어쨌든 환영이다. 그 콜럼버스 덕분에 우리가 데스틴을 다녀올 수 있지 않았던가.

장거리 자동차 여행에서 가장 힘든 시간은 돌아가는 길이다. 가는 동안은 설래는 마음이 있어 그리 힘들지 않다. 반대로 집에 가는 길에는 그간 피로도 쌓인데다가 다시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생각 때문에 종종 마음이 무겁다.

탁트인 평야와 지평선을 보면서 잠깐 좋아했다가 금방 지루해졌다. 뒷자리에 앉은 딸아이는 하루 더 머물었으면 좋겠다고 칭얼대다가 잠이 든다.

아틀란타에 도착할 즈음에는 어둑어둑해졌다. 우리는 서둘러 짐을 내리고서 집으로 들어갔다. 집에 오니 침대가 참 반갑다.

<목차>

데스틴 여행기 – 첫째날 (1) : 로드트립

데스틴 여행기 – 첫째날 (2) : 알라바마와 플로리다, 목화와 야자수

데스틴 여행기 – 둘째날 : 해변과 악어

데스틴 여행기 – 셋째날 : 석양의 결혼식

데스틴 여행기 – 마지막날 : 돌아가는 길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