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케인과 낭만보수

오늘자 뉴스는 존 매케인 상원 의원이 1년이 조금 넘게 해오던 뇌종양 치료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전한다.

Sen. John McCain to discontinue medical treatment, family says (USA Today, 8월 24일자)

한때 대통령 후보까지 올랐었다. 생의 마지막에서는 그는 트럼프와 여러 이슈에서 삐걱였다. 기억나는 건, 오마마케어 폐지에 극적인 반대표를 던지던 순간. 나토에 대한 적극 지지. 트럼프 정부의 친러시아 분위기에 강한 우려 표명. 같은 모습이다.

지난주에 뉴요커지는 이미 매케인에 대한 짧은 논평을 하면서 부고아닌 부고를 올렸다. 뉴요커는 그를 두고서 end of romantic conservatism 이라고 평했다. 2018년 지금 시점 미국 공화당에서 그의 노선은 좀 올드하다는 느낌을 준다. 그만큼 세상이 많이 변했다.

John McCain and the End of Romantic Conservatism (8월 18일자 뉴요커)

스러지는 한 노인을 보면서 왠지 애잔하다. 그의 정치적 노선에 동의해서도 아니고, 옛날이 좋았다고 노래하는 것도 아니다. 아마도 내가 그만큼 물렁한 사람이어서 그럴 지도 모르고, 아니면 늙어감/사라짐이 좀더 공감되는 벌써 그런 연배가 되어서 일지도 모르겠다.

Image result for john mccain

존 매케인 (1936 – )

인플레이션 없는 재정 확대?

요즘 페북질이 너무 뜸한 듯하여 잡담이나 몇자 올린다.
.
이번 달들어 미국에선 거시쪽으로 몇가지 굵직한 일들이 있었다. 개인적 감상을 정리해본다. 내 감상이야 학부생 거시 입문 수준이니까 누구든 틀린 부분은 지적해주면 감사할 따름이다. 언제나 그렇듯이 그럴 때 더 많이 배우니까.
.
아무래도 요새 미국 경제에 사람들이 주목하는 건 이번달 들어 두차례 있었던 주식 시장 조정 때문이 아닐까 한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기만 하는게 미국 주식인가 싶을 정도 였는데, 몇차례 조정을 겪고나니 미국 경제에 경고등이 들어온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된 것이다. 갑자기 생소한 Vix라는 인덱스까지 뉴스에 등장했다.
.
Vix – the Cboe Volatility Index는 마켓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별칭으로 fear gauge공포 측정기로 불리기도 한다. 투자자들의 공포나 시장 변동성을 어떻게 측정하나 싶지만, 이게 30일 만기 옵션의 가격 차이를 계산하면 나오는 값이다. 물론 이 지표를 ETF로 만들 수도 있겠지만, 지표를 운영하는 쪽에서 검토를 하다가 포기했다. 그러니까 투자자들의 공포심리를 투자 상품으로 만드는 건 공포를 부추기는 결과 밖에 나오지 않겠나. 그치만 현실적으로는 vix가 링크된 ETF는 있고, 이를 short하는 상품도 있다. 그리고 이 니치마켓을 겨냥한 금융상품이 나름 인기있기도 하다. 2008년 금융 위기 이후로 마켓 변동성은 꾸준히 떨어졌기에 vix를 short하는 상품은 상당히 수익성이 좋기도 했고.
.
어쨌든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
사람들은 이제 미국 경제의 건전성을 이야기 하기 시작했다. 여러가지 분석도 나오기는 한다. 그치만 결국 주식시장은 주식시장일 뿐 경제가 아니다. 어쩌면 주식시장이 잘나가는 건, 또는 폭망하는 건 진짜 경제하고 1도 관계 없을 수 있다. 주가는 말 그대로 투자자들의 기대일 뿐이다. 미국 경제는 여전히 순항하고 있다. 실업률 최저, 기업들 수익도 좋고, 심지어는 이제 임금까지 오를 기미를 보인다.
.
이제 미국 정치 이야기를 하자.
.
지난주에 미국 국회는 2년짜리 장기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쉽지는 않았다. 두차례 셧다운이 있었고, 두번의 필리버스터가 있었다. 민주당 중견 의원 낸시 펠로시 의원은 DACA (불법 체류자 자녀들 신분을 보장해주는 행정명령) 무효화를 반대하는 필리버스터를 했고, 공화당 랜드 폴 의원은 적자 폭을 늘리는 예산안이 당의 정체성에 반한다며 반대했다. (그러게 공화당은 균형예산을 말하던 당인데…)
.
이렇게 표면만 보면 극심한 진통 끝에 예산안이 타결된 것 같다. 그런데 실상은 그렇지도 않다. 공화당도 민주당도 모두 원하는 바를 얻었다. 공화당은 이미 세금을 내렸고, 국방 예산을 대폭 늘렸다. 민주당도 취약계층 (특히 저소득층 어린이) 의료 예산을 상당히 많이 확보했다. 그러니까 민주당도 이민법 말고는 많은 것을 얻은 셈이다.
.
참고로 예산안은 $20B 인프라, $6B 향정신 의약품 관련, $5.8B child care, $4B 보훈병원 관련, $90B 허리케인 및 산불 피해 복구 관련. 이렇게 되어있다.
.
관련기사
 .
그리고 법인세 인하는 미국 기업들에 엄청난 공돈을 안겨주었는데, 실제로 많은 회사들이 올 초에 보너스 잔치를 벌였고, 일부는 임금인상을 하기도 했다. (물론 이게 타이트한 노동시장 때문인가 법인세 감면 때문인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
이게 끝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장벽을 포기하지 않았고, 당장 다음주에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를 예고한 상황이다.
.
그러니까 누가봐도 지금 미국 정치권에서는 재정적자, 정부 부채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없다.
.
그치만 가만히 따져보면 공화당이 변했다고 말하기도 힘든게, 레이건 때도 세금을 인하하면서 국방 예산을 늘렸고 부채는 증가했기에 정치는 원래 그런가부다 하고 생각할 수도 있다.
.
사실 재작년 만해도 유동성 함정과 저금리가 화두가 되면서 일부 전문가들은 재정확대를 말하기 시작했었다.
.
아무리 그래도 경제쪽 사람들을 갸우뚱하게 만드는 건 시기 문제.
.
미국 실업률은 완전고용을 말할 만큼 낮은 수준이다. 그리고 경제학자들은 이정도 상황에서 인플레가 왜 오지 않을까 궁금해하고 있는 바로 그 시점인데… 왜왜왜??
.
딱 이 시점에서 바로 옐런 누님이 임기를 마치신다. 누구에게도 칭송을 받고 적격자로 평가받던 사람. 그리고 신임 의장 파월. 나야 잘 모르지만, 여러 분들이 파월 정도면 무난한 인선이라고 하시니 그런가보다 한다. 그치만 아직 검증되지 않은 분이다.
.
그러니까 내 거시 입문 지식을 되살리자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실업률과 인플레는 모두 같이 엮여 돌아가는게 아닌가. 재정정책 쪽에서는 이미 휘발류를 들이 붓기로 작정한 것 같고, 결국 미국 (크게는 세계) 경제의 고삐를 쥔건 파월인 셈이다. 그 고삐는 조금 느슨하게 쥐었다가는 버블이 생기고, 꽉 쥐었다가는 급격한 불황이 찾아오는 아슬아슬한 고삐가 아니겠는가.
.
그런 점에서 이번주 이코노미스트지는 재미있는 기사가 많이 실렸다. 이코노미스트지는 고삐를 세게 쥐는 상황 (그러니까 이자율을 급격하게 올리는 일)을 경고하면서 세가지 측면을 이야기 했다.
.
Capture
.
첫번째는 미국이 완전고용 상태에 들어섰지만, prime age (25세에서 54세) 노동 참가율을 보면 아직도 자발적인 실업상태인 사람이 많다는 점을 이야기한다. prime age 노동 참가율이 (금융위기 이후) 그래도 조금씩 증가했다고 듣기는 했었다. 근데 여전히 2000년의 82%와 비교하면 3%에 작은 79% 라고 한다. 그리고 그 3%의 차이는 무려 370만명.
.
두번째로는 임금이 오르고는 있지만 그 폭이 무척 제한적이라는 점. 그러니까 예전에 미국 노동자들은 대다수 노조에 가입이 되어있었고, 대다수 물가 상승과 준하는 임금 상승을 보장 받았으나, 지금은 꼭 그렇지 않기에 임금 상승과 인플레의 영향은 상당히 적을 것 이라는 설명이다.
.
마지막으로는 타이트한 노동시장과 시중의 자금이 결국에는 기업들의 자본투자와 생산성 향상, 기술 발전을 이끌지 않을까 하는 낙관이다.
.
관련기사
그러니까 뭐 내말로 얘네들 이야기를 요약하자면, 일단 불안불안한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좀 지켜보자. 낙관적인 면도 있다 정도 인 듯하다. 그린스펀 때도 생산성 향상이 있어서 결국 장기적인 호황이 온거 아니냐 뭐 그런 이야기도 하는데…
.
나같은 범부가 뭘 알겠나. 말마따나 정말 갑작스럽게 생산성이 막 향상될지도 모르는 일이고, 아직도 사짜스럽게 들리는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서 기술이 퀀텀 점프 할 지도 모르는데. 월급 따박따박 나오는 회사 다니는 거에 감사하고, 아직 젊으니까 갑작스런 인플레에 취약한 연금 수급 생활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또한 번 감사를, 그리고 보스에게 충성 하는게 장땡이 아니겠는가.
.

다시금 불붙은 헬스케어 논쟁

미국에는 헬스케어 논쟁이 다시금 불붙었다. 오바마케어 폐지가 실질적으로 무산이 된 지금, 공화당과 민주당은 서로 다른 대안을 상정하면서 맞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샌더스가 다시 단일의료 보험안을 내놓았다. 그리고 민주당 상원의원의 반정도가 동의를 했다. (지지를 표한 의원들은 대부분 민주당 내에서 차기 대선주자로 꼽히는 의원들이다.) 물론 민주당이 과반을 차지하지도 않은 현 국회에서 샌더스 안이 통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화당 쪽에서는 좀더 원론적으로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안을 내놓았다. 이 안 또한 통과 가능성이 없어보인다.

미국의 헬스케어에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섟여있다. 단순히 민간 의료보험이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완전히 자유시장도 아니고, 그렇다고 의료시장이 정부의 통제에 있지도 않다. 회사들이 직원들에게 복지형태로 제공하는 민간보험이 있고 (민간 의료보험), 65세 이상 노인에게 주어지는 메디케어가 있으며 (단일의료보험), 주에서 관리하는 저소득자를 대상으로 하는 메디케이드가 있고 (주정부 관리), 소위 오바마 케어로 불리는 민간보험이 개인을 대상으로 거래소에서 거래된다 (오바마 케어). 그리고 2천8백만 정도 무보험자가 있다. 또 병원은 Veteran Health Administration (한국으로 치면 보훈병원)을 제외하고는 민간이 운영한다.

내 의견을 밝힌다. 나는 약간 심드렁하다. 의료보험이 누구에 의해 운영되는가가 핵심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큰틀의 결정도 중요하지만, 결국에 가서는 하부의 세세한 운영과 촘촘한 의료망이 관건이 아닐까 한다. 정말 크게 보자면, 의료보험도 중요하지만 전반적인 사회의 복지가 어떻게 설계되어있는 가가 더 중요할 수 있다.

사실 복지의 문제로 들어가면 다양한 가치가 서로 부딪치게 된다. 의료분야를 예를 들자면, 1) 생명에의 가치, 2) 의료 접근성으로 대표되는 평등의 가치, 3) 선택의 자유 라는 다양한 가치관이 서로 상충하여 존재한다. 대부분의 정책입안, 집행자들이야 긍정적인 부분을 집중적으로 홍보하겠지만 세가지 가치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미국의 의료비가 비싼 것은 의료보험 때문이 아니라 구조적으로 미국의 의료비가 비싸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를 테면 환자당 의료진 수나 의료업계 종사자들의 급여수준) 나는 이쪽이 좀더 타당하다고 보는 편이다.

굳이 미국식 의료에서 장점을 찾자면 미국이 의료 기술의 발전을 선도한다는 점. (워낙 돈이 많이 굴러 다니는 산업이다보니…)

관련해서 참고할 만한 자료를 공유한다. 2008년 자료니까 좀 지난 자료이긴 하지만 여전히 큰 틀에서는 변화가 없다. 121페이지에 이르는 매킨지 보고서에 미국 의료 비용 분석이 빼곡히 들어있다. 영어가 부담스럽더라도 차트가 많기 때문에 해당문제에 관심이 있으면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자료. 주요 차트는 아래에 첨부 했으니 참조. (뭐 적어도 차트 성애자인 나에게는 재미있었다는 이야기.)

Accounting for the cost of US health care: A new look at why Americans spend more (McKinsey Global Institute)

작년에 나도 비슷한 내용의 포스팅을 한적이 있다. 당시 포스트는 아래 링크를 참조.

Healthcare, Again (2016년 5월 17일자)

그런데 왜 지금와서 다시금 의료보험이 이야기 되는 것일까? 지겹지도 안나.

개인적으로는 최근 미묘한 워싱턴 분위기의 변화와 연관이 있다고 본다. 이를테면 배넌의 퇴장이나 그리고 트럼프와 공화당 지도부 사이의 잡음이다. 여기서 공화당 지도부라고 함은 오바마케어 폐지에 실패한 폴 라이언과 미치 맥코넬이다. 지난 주에 트럼프는 백악관에서 민주당 인사들과 만남을 가졌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가 멕시코 장벽 건설을 늦추는 대신에 다른 분야에서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는 분석을 한다.

For Conservatives, Trump’s Deal With Democrats Is Nightmare Come True (9월 6일자 NYT)

이런 관점에서 보면 다시 되돌려서 생각해보면, 트럼프는 (기존의 좌우 관점에서 보았을 때) 뚜렷한 정치 노선이 없는 사람이다. 오히려 기성정치를 무너뜨리려 한다는 점에서 샌더스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트럼프의 초창기 선거유세를 들어보면 미국의 의료 시스템이 망가진 주요 원인을 제약회사의 탐욕으로 돌리고 있다. 이는 샌더스의 문제의식과 유사하다.

관련한 예전 포스트: 미국의 정체성과 도널드 트럼프 (2016년 3월 16일)
물론 트럼프는 당시 대안으로 단일 의료보험을 제안한 적이 없다. 정확히는 대안 자체가 없었다.

덧: 언급한 자료 중에 주요 차트를 같이 올린다.

국가별 PPP(구매력) 대비 의료비 지출

미국과 주요 EU 국의 약값 차이

OECD 국가별 기대 수명

선진국 국가별 의사 급여수준 비교

OECD 국가 CT/MRI capacity

인당 의료 진단 건수

국가별 입원일수 및 일당 입원비 비교

국가별 간호사 임금비교

국가별 bed occupancy rate 비교 (고정비 지출)

미국 병원 원가/이익 구조

제약회사 이윤율

연도별 신약 출시 수

전문의를 만나거나 수술 날자를 잡는데 걸리는 시간 국가별 비교

 

 

 

대통령의 행정명령

요즘 미국 대통령의 권한이 막강하다는 것을 실감한다. 교과서에서 미국 정치는 견제와 균형의 checks and balances 장치가 있다는 이야기를 배우긴 했었다. 트럼프 정부는 그 장치가 얼마나 작동하는 지 잘 보여줄 모양이다.

어느 시점에서는 그 장치가 작동하리라고 생각한다. 여전히 우려스러운 것은 사실이지만, 미국 역사를 돌아보면 이보다 더 심한적도 있었다. 문제는 외교와 국제 정치이다. 견제 장치가 있는 국내 정치와 달리 국제 정치는 딱히 견제하는 장치가 없다. UN과 WTO의 힘은 최근 몇십년 동안 급격히 약해졌다.

요즘 말이 많은 대통령 행정명령에 대해 찾아보았다. 수퍼파워님께서 취임후 열흘 동안 트위터 하듯이 행정명령을 뿌리고 있기에 자연스레 궁금증이 생겼다.

우선, 행정명령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은 대통령 뿐이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행정부는 대통령의 소관이기 때문에 행정명령이 떨어지는 순간, 행정부는 행정명령을 따르게 된다. 지금처럼 위헌 논란이 계속 되는 경우도 그러하다. 그렇다고 행정명령이 만능은 아닌데, 예를 들어 오바마가 내린 관타나모 수용소 폐쇄 명령은 끝까지 실행되지 못했다.

이 행정명령을 뒤집을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소송을 제기해서 연방대법원에서 위헌 판결을 받는 것. 실제 트럼프 정부 열흘동안 42건의 소송이 제기되었다. 특히 무슬림 7개국 입국 금지 건에 대한 반발이 심했는데, 매사추세츠, 뉴욕, 버지니아, 워싱턴 주가 동시에 소송을 걸었다. 소송으로 들어가면 보통 일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 전까지는 행정부는 행정명령을 따르게 된다.

다르게는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취소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본인이 취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보통은 후임자가 전임자의 행정명령을 취소한다.

그리고 의회는 대통령이 내린 행정명령을 거부할 권한이 없다. 의회가 할 수 있는 건 반항하는게 유일하다. 이를 테면 예산 승인이나 세금 쪽은 의회 고유의 권한인데, 이 쪽에서 협조를 안해주면서 버티는 거다. 오바마때 공화당에서 쓰던 방법이다. 당시 의회와 대통령의 갈등이 극심해서 정부 셧다운까지 갔었다. 물론 지금은 상하원이 모두 공화당이기에 이렇게 될 가능성이 적어 보인다.

오바마는 공화당에게 행정명령을 남용한다는 비판을 자주 들었다. 그러나 오바마는 행정명령을 자제한 편에 들어간다. 연평균 35회의 행정명령을 내렸다. 아들부시는 36회, 클린턴은 46회였다. 물론 오바마도 취임 첫달에는 17개의 행정명령을 내렸다. 정권 초기에 빠른 정권안정을 가져오는 데에 행정명령이 어느정도 불가피한 면이 있기는 하다.

What is the scope of a president’s executive orders? (the Economist, 1월 31일자)

Image result for trump executive order

2016 미국 대선 감상

머리 속이 복잡한데, 그래도 뭔가는 기록을 남겨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끄적인다.

트럼프 당선이 유력해졌던 11월 8일 밤11시 경, 내가 느낀 감정은 황당함이었다. 당혹감이 잦아들자 몇몇 백인 친구들 얼굴이 떠올랐다. 그들은 나의 이웃이고 직장 동료이며 딸내미 학교 학부모들이다. 나는 공화당 강세인 deep south에 살고 있기에 그 친구들이 트럼프를 뽑았다는 것을 확신했다.

선거 전에 가볍게 지나가는 말로 그들은 말했다. ‘트럼프나 힐러리나 둘다 형편에 없어서 누구를 찍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대부분 신실한 기독교인인 그들의 말은 사실은 ‘트럼프가 흠이 없다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힐러리를 뽑지는 못하겠어요.’ 라는 이야기라는 것을 선거가 지나고야 깨닫게 되었다.

친하게 지내는 직장 동료중에 은퇴한 두 분이 있다. 보수적인 지역에서 자란 전형적인 남부 복음주의자 기독교인이다. 인구 분포로 따지면 60대 백인 대졸자들이기도 하다.

한분은 러스트 벨트 지역인 오하이오 출신이고, 지금은 은퇴를 하고 플로리다에 정착했다. 한번은 그분이 휴가 기간에 고향에 다녀오고서, 옛날 친구들을 만나보니 반갑긴 했지만 동네가 너무 우울해 졌다고 했다. 한때 미국의 공장으로 활기가 넘쳤던 곳이 지금은 생기라곤 없으며 친구들은 대부분 술에 빠져 산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분과는 페친이기도 한데, 생전 포스팅을 안하던 분이 선거 이후 쌤통이라는 뉘앙스의 포스트를 올렸다.

다른 한분은 켄터키 출신 HR 매니져인데, 최근 은퇴를 했다. 그분과는 아직도 가끔 만나서 커피를 마신다. 문학을 전공하셔서 주로 책이야기나 여행이야기를 한다. 한번은 내가 뉴욕타임스를 읽는 것을 보자. 약간 껄적지근한 표정으로 뉴욕타임스 애독자냐고 물어봤다. 잠깐이었지만 나를 사회주의자 신문을 읽는 이민자로 보는 시선을 0.5초 쯤 느낄 수 있었다.

나는 미국 정치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나는 내가 정치색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을 한적은 없다. 오히려 회색 인간에 가까워 여기저기 색깔이 분명하지 않다며 오해를 받는 편이라고 느낀다. 그래서 페친도 다양한 정치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편이다.

그런데 유독 이번 선거 이후에는 승리에 들떠있는 공화당 지지자들의 포스팅을 보는 일이 괴롭다. 그만큼 내게 트럼프는 용납하기 어려운 사람이었다. 사실 이번 선거는 공화당의 차례가 될 가능 성이 컸고 그래서 경선 과정에서 그나마 상식이 통하는 후보자가 공화당에서 되기를 바랬었다. 그런데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트럼프가 후보가 되었다.

공화당의 정치적 노선에 100% 반대하는 것도 아니고 민주당의 정치 노선에 100% 반대하는 것도 아니기에 선거 결과 자체에 보통은 큰 의미를 두지는 않는다. 대통령 선거가 민주주의의 중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전부는 아닐 뿐더러 대통령 하나를 잘못 뽑았다고 세상이 망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갑갑한 일은 종종 있을지 모르겠으나…

그러나 트럼프가 주장하는 이야기의 상당수가 음모론에 근거한다는 점. 그리고 그의 정책이 사실상 디테일이 없다는 점은 나를 못견디게 만들었다. 나의 삶의 자세랄까 그런 부분과 정확하게 대치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언젠가 포스팅을 한적이 있다. 그것은 과학에 대한 이야기었다. 아툴 가완디의 칼텍 졸업식 축사를 인용하면서 말했다. 젊은 시절 내가 가방끈을 늘려가며 유일하게 배운 것이 있다면 그것은 과학으로 삶을 보는 자세 같은 것이다. 과학은 놀라운 지식이나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요술 방망이가 아니다.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에 대한 결단이고, 사실과 근거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겠다는 결의이다. 그리고 그러한 마음 가짐은 세상을 사는 모든 영역에 적용된다.

이전 포스트: The mistrust of science (7월 12일자 포스트)

음모론으로 세상을 설명하다보면 증거나 사실이 없어도 그저 간단하고 이해가 쉬우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 없는 주장과 말의 성찬이 공허한 것은 역시 같은 맥락이다.

20대를 거치고 30대에 이르러 지금에 와서 느끼는 것은 어떤 주장을 할 때 그것이 옳으냐 그르냐 그 자체는 어찌보면 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이다. 모두가 다른 생각을 할 수 있고 주장을 할 수 있지만, 그 사람이 진정 그 주제를 가지고 씨름을 했는가 삶을 통해 드러나는 주장인가는 대부분 디테일에서 판단이 갈린다.

대선 토론을 보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은 트럼프에게는 그러한 디테일이라는 게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민주주의의 모습은 중요한 이슈에 대해 서로 공약을 들고서 지겹도록 토론하고 싸우면서 하나하나 집고 넘어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토론에서 그러한 모습을 찾아보는 것은 불가능했다.

다시 내 주위의 공화당 지지자들 이야기로 돌아와 보자. 내 주변의 공화당 지지자들이 처음부터 트럼프를 지지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트럼프가 공화당 전체의 지지를 얻기까지는 경선 과정 1년이 꼬박 걸렸다. 마지막까지 갈등하던 내 주변의 지지자들은 골수 트럼프 팬은 아니었고 대다수 교육을 받은 소위 교양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결국에 선거 마지막에 트럼프는 공화당 지지자들의 표를 모두 끌고 오는 데에 성공했다.

아마 트럼프의 골수 지지자를 찾으려면 러스트 벨트 지역이나 탄광지대인 애팔래치아 산맥을 따르는 지역의 백인들을 생각해봐야할 것 같다. 민주당에서 공화당으로 돌아서서 트럼프에게 승리를 안긴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다.

며칠전 뉴요커에서 웨스트버지니아 로간이라는 곳에 선거 분위기를 전하는 기사를 실었다. 애팔랜치아 산맥 일대는 탄광지대로 지금은 경제 활력을 완전히 잃은 곳이다. 우리로 따지면 강원도 탄광지대 정도 되려나 싶다.

기사 링크:

Learning Trump won, in West Virginia (뉴요커 11월 10일자)

The people of Logan, West Virginia, are used to being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country, but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y were more mainstream than they knew.

image source: 해당 기사

.

그곳의 퇴역군인 Ojeda는 열성 트럼프 지지자이다. 그는 트럼프를 지지하기는 했지만, 선거 당일 별 기대를 하지 않고 일찍 잠이 들었다. 아침에 일어나서 선거 결과를 본 그는 자신의 눈을 믿을 수가 없었다. 그는 기쁨에 잠시 눈물을 흘렸고 주위의 친구들에게 흥분이 담긴 문자를 보냈다. 그가 사는 지역은 80%가 트럼프를 뽑았다.

물론 그는 트럼프가 공약 대로 석탄 산업에 대한 우호적인 정책들을 집행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그가 트럼프를 지지한 이유는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만은 아니다.

“Nothing’s good anymore. And I think for the first time people stood up and said, ‘We’re tired of the direction we’ve been going down for the last eight years.”

그가 느끼기에 트럼프는 자신들의 목소리를 처음으로 들어준 정치인이다. 이전 후보들은 선심마냥 복지 예산을 편성하는 것 이외에는 그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지 못했다. 트럼프와 탄광촌 사람들을 엮어서 조롱하는 코메디 프로그램들은 오히려 트럼프 지지를 강하게 만들었다.

그들의 입을 빌자면 그들이 딱히 라티노와 불법 이민자들에게 어떤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사실 라티노나 불법 이민자들과 만나본 적도 없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백인이 대다수인 동네에서 평생을 지낸 사람들이다. 오바마가 대통령이 되고 나서 동네 사람들은 인종에 대해 말하기도 어려워졌다. 무의식중에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불리기는 싫다는 생각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트럼프가 등장하고서 이제 그런 이야기를 마음껏 할 수 있는 세상이 왔다. 그들의 이야기다. “People feel free to say what they really think.”

(잠깐 내 의견을 덧붙이자면, 사실 인종차별은 타인종과 만나볼 일이 별로 없는 사람들에게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오히려 이들은 다른 세계에 대해 무지해서 정말 인종차별적인 이야기를 거침없이 해왔을 가능성이 높다.)

흑인이면서 트럼프를 지지한 Jones라는 인물의 이야기도 옮긴다.

“Honestly, I don’t think anything’s going to change. People of color in this state struggle no matter what. We struggle under Democratic leadership, and we struggle under Republican leadership. A lot of African-Americans in this state feel that their situation was not improved by having an African-American President, and it wouldn’t be improved by either Trump or Clinton. I was proud to have a part in electing the first African-American President, but is my life strikingly better now? I don’t think so. We’re suffering in this state, and I don’t see any end in sight.”

트럼프 지지자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자꾸 설득하고 싶은 생각이 치민다.

그래서 트럼프가 당신들의 목소리가 되었다는 것을 알겠다. 나같이 배운 사람들이 당신들을 잊고 있었다는 것도 알겠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트럼프가 당신들의 삶을 조금이라도 낫게 해줄 것 같는가? 그는 말로는 여러가지 약속을 했지만, 실제로 어떠한 계획도 없을 뿐더러 오히려 여러분을 더 힘들게 할 것이다.

요즘 뉴스나 그들의 포스팅을 보다보면 트럼프 지지자들에게는 그런 것이 그다지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트럼프를 뽑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들이 트럼프의 부적절한 행동과 인종적인 발언들을 어떻게 용납할 수 있을까 싶은 의문들이 남는다. 그런데 그들이 트럼프를 뽑았다고 해서 트럼프의 행동을 전부 용납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트럼프가 전하는 하나의 메세지에 공감하고서 그의 부적절한 언사들이 그들에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이 되어버렸다. “America needs fixing. I am your voice!”

그들에게 기쁨은 지금까지 자신이 지지하던 트럼프에 비관적인 전망을 보이던 기성언론들을 한방 먹였다는 사실과 기성 정치인들에게 한방을 먹였다는 쾌감이다. 운동경기에서 자신이 응원하는 팀이 약팀이었는데 이겼다는 쾌감과 그다지 다를 바없다. 나는 여전히 한마디가 하고 싶다. 그래서 그게 너희들의 삶에 어떤 도움이 될 것 같은가. 다시금 내 머리 속에 들리는 대답은 똑같다. 그건 의미 없다고 어쨌든 누가 내 목소리가 되어 통쾌하게 한방 먹이지 않았냐고.

그리고 트럼프에 불안해 하던 나머지 미국인들도 지금은 긍정모드로 바뀌어서 이전의 부적절한 트럼프는 사라지고 자신이 꿈꾸는 good Trump가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건 마치 신혼 초기에 상대 배우자의 단점은 모두 사라지고 자신이 기대하는 좋은 모습만 남아서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할 것 이라는 기대나 다름 없다.

글쎄다. 나도 그랬으면 좋겠다. 4년은 짧지 않은 시간이고, 어찌 되었든 누구나 자신의 이유가 있어서 트럼프를 뽑았을 테니. 나는 내가 사는 세상이 더 좋아졌으면 좋겠다. 내가 느끼는 비관적인 감정이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고, 모두가 만족하는 세상이 왔으면 그게 트럼프라고 해도 나는 큰 불만이 없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나는 내가 잘못 생각했었노라고 내말을 기쁘게 번복할 것이다.

트럼프 지지율과 미국 국채 이자율

최근에 본 재미난 economist 기사.

프랑스 은행 소시에테 제네랄 Société Générale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의 지지율 등락이 미국 국채 이자율, 그리고 이머징마켓 환율 (특히 멕시코 페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전통적으로 친기업 성향인 공화당과는 반대되는 경제 정책을 가진 트럼프. 물론 그는 세금 인하를 이야기 하긴 했지만, 시장은 예측 불가능함과 보호무역 정책을 더큰 악재로 보는 것 같다.

Markets start to face the prospect of a Trump victory, the Economist, 9월 16일자

2016 미국 대선 관련 포스트 링크
트럼프 지지율과 미국 국채 이자율 (9월 19일 포스트)
버니를 외치는 사람들 (7월 28일 포스트)
테드 크루즈와 마이크 펜스 (7월 21일 포스트)
2016 미국 대선 업데이트: 트럼프는 뭘 하고 있을까? (6월 24일 포스트)
힐러리, 트럼프 공격의 포문을 열다 (6월 4일 포스트)
힐러리 vs. 트럼프 지지율, 이메일 스캔들 (5월 28일 포스트)
Why Is Clinton Disliked? (NYT) (5월 25일 포스트)
최근 미국 뉴스 정리 및 간단한 커맨트 (2016/05/23)
Democracies end when they are too democratic (New York Magazine) (5월 19일 포스트)
Healthcare, again (5월 17일 포스트)
트럼프와 모순의 힘 (5월 12일 포스트)
공화당 경선 정리: 트럼프와 크루즈 (5월 6일 포스트)
미국 민주당 싸움 이야기 업데이트 (4월 7일 포스트)
미국 민주당쪽 이슈 관련 기사모음 (3월 21일 포스트)
미국의 정체성과 도널드 트럼프 (3월 16일 포스트)
아이오와 코커스 감상 (2월 2일 포스트)
공화당 선거 스케치 – 테드 크루즈 편 (2015년 12월 23일 포스트)
미국식 네거티브 선거 (2015년 10월 20일 포스트)
한편 민주당에서는… : 샌더스와 바이든 (2015년 9월 14일 포스트)

아이오와 코커스 감상

어제 아이오와 코커스를 보고서 느낀점을 간략하게 남긴다.

들어가기 전에, 나는 특정인을 지지하지 않고 동네 싸움 구경하듯이 관전만 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게다가 미국 정치에 조예가 있는 것도 아니기에 예측 같은 것은 할 능력도 되지 않는다. 그저 현재 돌아가는 이야기만 정리해 본다.

Capture

어제의 승자는 누가 뭐라해도 테드 크루즈이다. 7 포인트 정도 뒤지는 여론 조사 결과를 뒤집고 트럼프 대세론을 잠재웠다. 아이오와는 50개 주 중의 하나로 산술적으로는 경선에서 1% 밖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서프라이즈를 보여주면 분위기를 타게된다. 아무래도 여론조사와 실제 경선은 무게가 다르다. 크루즈는 아이오와에서 보수 기독교 층과 티파티의 지지를 바탕으로 승기를 잡았다. 그런 점에서 다음주에 있을 뉴햄프셔 프라이머리는 중요하다. 여론조사에서 트럼프와 크루즈의 지지율은 아이오와 보다 차이가 큰데, 여기서도 크루즈가 이기면 트럼프에게는 치명타이다.

<아이오와 공화당 지지도 여론조사 (source: HuffPollster)>

Capture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트럼프이다. 지금까지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위너의 이미지를 구축해왔던 그가 뉴햄프셔에서도 고전한다면 버티기가 힘들어진다. 그가 아이오와에서 부진했던 것은 여러가지 이유를 댈 수 있겠지만, (여론조사와 실제 투표자와의 차이, 저학력자 지지층이 경선에 참여하기 어려웠던 점, 아이오와의 보수 기독교층 등등…) 핑계를 대어봤자 이득될게 없다. 그의 지지가 일정부분 승리자로서의 이미지에 기대왔던 것을 생각하면 트럼프는 꾸준히 이겨야 한다. 그는 리얼리티 쇼에서 종종 ‘No one remembers second place’ 같은 말을 하지 않았던가.

마르코 루비오는 나름 선전했다. 공화당 주류의 지지를 받는 그는 아이오와에서 strong third를 했다. 이를 바탕으로 온건 보수층의 표를 결집한다면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그는 경선 초반 신선한 정책을 바탕으로 젊은 층의 지지를 모았다. 그러나 치열한 공화당 경선판에서 흔들리며 같이 막말에 동참하여 지지율이 지지부진해 졌는데, 아직은 두고봐야 할 것 같다.

벤카슨과 젭부시는 아이오와 경선 이후 제대로 선거운동을 진행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특히 젭부시는 치명타를 입었다. 아이오와에만 $14 million 를 쓰고서 5,165 표를 얻었으니 변명의 여지가 없다.

민주당은 셈이 좀 복잡해보인다. 특히 지지자에 따라서 다른 이야기를 한다. 샌더스를 지지하는 분들은 막판까지 추격한 모습을 보며 실질적인 동률(virtual tie)이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힐러리를 지지하는 분들은 어쨌든 이겼으니 선방했다고 평가한다. 다음번 경선이 있을 뉴햄프셔는 샌더스 의원의 텃밭이므로 그의 승리가 거의 확실해 보이지만, 이어 치뤄지는 사우스 캐롤라이나 경선에는 힐러리가 우세하다. 이쪽도 역시 좀더 지켜봐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샌더스 의원이 이렇게까지 지지를 받을지 상상하지도 못했다. 확실한 것은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힐러리 지지자와 비교해 보았을 때) 상당히 열정적이라는 점이다. 미국에서는 자신의 지지를 표명할 때 자동차 트렁크에 스티커를 붙인다. 지금은 본격적인 선거가 시작되지 않았고 경선 시즌임에도 종종 샌더스 스티커를 붙인 차량을 본다. 반면 아직까지 나는 힐러리를 지지 스티커를 본 적이 없다. 페북과 트위터에서의 buzz도 샌더스 쪽이 압도적이다.

il_340x270.875827475_9tao

이쪽은 돌발 변수가 또 있다. 바로 전 뉴욕시장 마이클 블룸버그이다. 그는 수차례 민주당과 공화당을 오간 인물이다. 일종의 중도를 표방하는 정치인인데, 경제 이슈에는 공화당 지지, 인권/총기 관련은 민주당을 지지하는 포지션이다. 그는 힐러리 지지를 선언했으나 지지부진한 그녀의 성과에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들었다. 그는 샌더스의 승리가 확실해지면 무소속으로 출마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트럼프를 능가하는 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허무맹랑한 이야기만은 아니다.

공화당의 라이징 스타 니키 헤일리 주지사

공화당의 라이징 스타 니키 헤일리에 대한 뉴요커 기사를 공유한다.

Capture

The Complicated History of Nikki Haley (New Yorker, 1월 13일자)

South Carolina 주지사 니키 헤일리는 공화당 부통령 후보로 언론에서 언급되는 ‘신예’이다. (젊고 이쁘고 여자이면서 인도계이다. 부통령 후보로 누구와도 딱인 조합)

워싱턴 관례상, 대통령의 state of the union address (신년 연설) 이후 야당에서 반대연설을 한다. 이때 주로 유망한 신인 정치인을 내세운다. 2013년에 그 자리에 섰던 사람이 바로 마르코 루비오다. 그는 현재 공화당의 대선 후보 중에 하나이다.

그녀가 요며칠 주목 받는 이유 중에 하나는 반대 연설에서 트럼프의 반이민 정책을 비난한데에 있다. (트럼프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반대 연설이기 때문에 오바마의 나약한 리더십에 대한 비난도 있었지만, 어쨌든 이례적이다.

그녀가 전국구 정치인으로 따오른 건 작년 6월 찰스턴 총기사건 이후로 남부기 퇴출 운동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인도계 이민자의 딸인 그녀의 배경도 신선함을 더해준다.

한글 기사가 궁금한 분들은 연합뉴스의 기사 아래 링크 참조.

‘反이민풍토 자성’ 헤일리,부통령후보 부상…’공화당의 오바마’ (연합뉴스 1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