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샬럿츠빌 사태 Vice news 다큐멘터리

Speechless.

여타 다큐멘터리가 그렇듯이 편집과 미디어의 관점이 녹아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를 테면 트럼프가 소위 ‘alt-left’라고 칭한 antifa를 찍은 동영상도 돌아다닌다. 그러나 아무리 쉴드를 친다고 하더라도, 이들을 fine people이라고 칭하는 것은 무리수다. 선량한 사람들은 횃불을 들고 ‘유대인은 물러가라’ 라고 외치는 시위에 동참하지 않는다. 이러한 소수의 극단주의자들과 분명히 거리를 두는 발언은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니다.

주의: 영상에 폭력적인 언어와 행동이 포함되어 있음

.

.

독일의 나치 역사 청산 과정

그저께 독일인의 과거사 청산 관련해서 포스팅을 했었다. 페북에서 한분과 댓글 대화를 나눴는데 좀 길어졌다. 기록 차원에서 포스트로 따로 저장해둔다.

링크도 걸어두려했는데, 재공유를 한 포스트라 아쉽게도 좌표가 따로 안찍힌다.


반갑습니다.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내용이 더욱 풍성해지네요.

독일이 1950년대 이전까지는 나치 역사를 정리하는데에 미온적이었다는 이야기는 저도 잘 몰랐었네요.

제가 절차와 과정은 잘 모르지만, 그리고 아마도 그 과정이 모두 합리적이고 이성적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결과적으로 현대의 독일인은 나치와는 완전히 결별한 사람들이 된것은 분명합니다.

(이건 독일이 아니고 이스라엘 이야기니까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이야기가 나온김에, 예를 들자면, 유명한 아이히만 재판의 경우도 체포하는 과정, 그리고 재판의 절차를 따지고 보면 아르헨티나의 주권을 침해하고, 독일에서 벌어진 사건을 이스라엘의 법으로 판단했기 때문에 여러모로 국제법 상 문제가 많은 재판이었습니다. 그러나 국제 여론은 이스라엘 편이였죠. 그러고 보니 아이히만 재판도 60년대 일이군요.)

어쨌든 현대로 돌아오면 민족주의와 배타주의가 다시금 힘을 얻는 서구 정치 지형에 유일하게 극우(?)가 힘을 못쓰는 나라가 독일이기도 합니다.

독일인들의 나치 금기는 지독할 정도인데, 독일인의 원죄와 별 관련이 없는 제 입장에서는 좀 심하다는 느낌도 듭니다.

독일에서 무슬림에 대한 공포가 다른 유럽에 비해서도 큰 편임에도, 반이슬람을 표방하는 AfD가 독일에서는 큰 힘을 못쓰는 것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CDU의 메르켈과 그의 유력한 대항마인 SPD의 슐츠도 모두 인종적인 발언에는 선을 분명히 긋고 있죠.

서구 사회에서 뜨거운 주제인 극우세력 이슈도 영미권이나 프랑스에서는 경제/사회적인 이슈로 또는 ‘freedom of speech’ 문제로 접근하여 분석하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독일에서는 철저히 도덕 문제로 접근/분석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래저래 말이 길어졌네요. 좋은 내용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Image result for german war crime trials

독일 전범 재판 사진 (출처: wikimedia)

.

독일인의 과거사 기억

3명이 죽었다. 지난 주말에 버지니아 샬럿스빌에 모였다는 백인 우월주의자들은 ‘blood and soil’을 외쳤다고 한다. 독일어로 하면 이는 ‘blut und boden’ 즉 ‘피와 땅’이고 나치의 슬로건이었다.

자연스레 독일이 생각난다. 그것도 약 100여년 전의 독일 말이다.

독일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현대의 독일인들은 유대인 학살과 나치와 연관된 과거에 대해 꽤나 무거운 짐을 지고 산다는 생각이 든다.

독일에 가면 골목골목 마다 바닥에 작은 명판 같은 걸 볼 수 있다. 그 명판에는 그 주소에 살았다가 수용소로 끌려간 유대인의 이름들이 새겨져 있다. 개개인의 기억은 사라져도 이름은 영원히 남기겠다는 의지이다.

마침 오년전 독일에 갔을 때 찍어둔 사진과 그당시 적어둔 메모가 있어 공유한다.

유대인과 독일의 반성 (2014년 7월 3일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