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

저는 기독교 관련 포스팅을 자제하는 편입니다. 제가 별로 종교적인 사람도 아니고요. 그렇지만 기독교가 제게 의미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신앙을 빼고서 포스팅을 하는 것은 모순이더군요.

꽤 긴 연재였는데, 주제가 너무 무겁다보니 다른 주제를 중간에 포스팅하기도 생뚱맞았습니다.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 소소한 제 얘기를 주로 할 생각입니다. 제가 그린 그림도 올리고, 딸램 이야기도 하고, 미국사람들 뒷담화도 할 생각입니다. 뭐, 가끔은 기독교 이야기도 하겠지요.

연재를 보시고 혹시라도 기독교에 관심이 생긴 분들은 질문을 주셔도 좋습니다. 체계적으로 신학을 공부한 적이 없어서 잘(?) 답변을 할 수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 생각을 나누는 정도는 가능합니다.

그럼 한국에 계신분들은 좋은 밤 되시고, 미국에 계신 분들은 즐거운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아참 중동/유럽에 계신 분들을 빠뜨렸네요. 지금 이미 주무시고 계시겠군요. 이 연재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된, 중동에 계신 L형, 그리고 E형수님도 좋은 밤 되세요.

딸램이 놀아달라고 조르네요. 이만 자리를 뜹니다.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내가 믿는 기독교 : 4.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들어가며: 언제나 그렇듯이 제 포스팅의 일차 목적은 생각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다만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었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야기를 싫어하는 분들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떤 이에게는 종교적인 내용이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런 분들은 이번 연재를 읽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번 연재는 전도하고자 하는 목적이 없으며 저 자신의 신앙을 점검하는 데에 있습니다.

하나 더 덧붙이자면, 이글은 이슬람교인과 대화를 나누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글의 독자는 ‘성경과 기독교에 의문을 가진 이슬람 교인’인 셈입니다. 이점을 감안하고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

지난번 이야기에 이어서 몇가지 이야기를 덧붙이려고 합니다.

오늘은 K님의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그러니까 ‘대속’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대속에 대한 이야기는 좀 길어 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대속에 이야기는 그 전제(인간의 상황)가 없이 설명이 되지 않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게 ‘대속’ 이야기는 개인적인 신앙고백입니다. 저는 기독교 신앙은 ‘성경’과 ‘대속’이 핵심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L님이 신학을 공부 했던 입장에서 성경적인 관점으로 잘 설명해 주리라 믿습니다만, 거기에다 제 신앙고백을 덧붙이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일이 될 것 같아서 이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불확실성과 금융이야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금융 이야기를 하는 것은 제가 그나마 조금 아는 주제이기도 하고, (저는 MBA에서 금융을 전공했습니다.) 현대 물질 문명이 불확실성을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대해 말하는 것이 이야기의 실마리를 푸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서 입니다. 조금 전문적인 이야기가 나오는데, 제 능력한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보겠습니다.

1921년 경제학자 프랭크 나이트는 ‘리스크, 불확실성, 그리고 이윤’이라는 책을 발표합니다. 그가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인간의 경제 활동에는 리스크(risk)와 불확실성(uncertainty)이 존재하는데, 리스크는 계측이 가능한 대상인 반면에 불확실성은 계측이 불가능한 대상이라는 말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현대 금융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금융학은 거칠게 말하자면 (특히 금융공학의 경우) 이 리스크에 대해서 다루는 학문입니다. 1970년대에 들어 블랙과 슐츠는 통계학/미적분학을 기반으로 블랙-슐츠 방적식을 발표합니다. 이 방정식이 발전해서 1990년대 금융공학이 학문으로 태어납니다. 현대의 주식시장에서 옵션과 트레이딩, 파생상품은 상당수가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합니다.

문제는 현대의 금융이론은 리스크(계측 가능한 것)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불확실성(계측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2008년에 있었던 금융위기에 세계 경제가 대책없이 무너지기만 했던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저는 이것이 금융만의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만들어낸 물질문명, 즉 자본주의는 인간의 방법으로 각종 상황에 대해서 대비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고작해야 일부 계산 가능한 리스크에 대해서만 대처가 가능할 뿐입니다.

주로 학문적인 이야기를 했지만, 기실 불확실성의 문제는 우리가 매일 마주치며 사는 문제 입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는 밥을 먹지 않으면 배고프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매일 끼니를 챙겨 먹습니다. 교통사고가 나지 않기 위해 교통법규를 준수하고 삽니다. 추위를 막기 위해 옷을 입고, 외부의 위협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집을 짓습니다. 인간은 존재하고 살아가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불확실성에서 자신을 지키고자 합니다.

그러나, 인간이 마주한 불확실성은 결국에는 죽음의 문제에 이르게 되어있습니다. 누구나 인간은 죽게 마련입니다. 나를 포함해서 주변의 모든 사람들 (친구/가족)은 역시 언젠가는 죽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주위의 사람들이 죽는 것을 보고 결국 사람은 죽기 마련인데 아둥바둥 살아가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죽음의 문제를 항상 생각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해결할 방법이 우리에게 없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래서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외면합니다. 계측가능한 리스크에 집중하고 계측이 불가능한 불확실성은 외면하는 것과 같은 모습입니다.

예수는 바로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한 적이 있습니다. 누가복음을 인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비유를 하나 말씀하셨다. “어떤 부자가 밭에서 많은 소출을 거두었다. 그래서 그는 속으로 ‘내 소출을 쌓아둘 곳이 없으니, 어떻게 할까?’ 하고 궁리하였다. 그는 혼자 말하였다. ‘이렇게 해야겠다. 내 곳간을 헐고서 더 크게 짓고, 내 곡식과 물건들을 다 거기에다가 쌓아 두겠다. 그리고 내 영혼에게 말하겠다. 영혼아, 여러 해 동안 쓸 많은 물건을 쌓아 두었으니, 너는 마음놓고, 먹고 마시고 즐겨라.’ 그러나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리석은 사람아, 오늘밤에 네 영혼을 네게서 도로 찾을 것이다. 그러면 네가 장만한 것들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자기를 위해서는 재물을 쌓아 두면서도, 하나님께 대하여는 부요하지 못한 사람은 이와 같다.” (누가복음 12:16-21)

003-rich-fool

(image source: freebibleimages.org)

현대인은 불확실성의 문제를 자신의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하지만, 물질적인 해결책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현대인은 공허함을 가지고 삽니다. 물질적인 해법을 극단으로 밀어붙이면 허무주의에 다다릅니다.

심지어 현대에 와서는 종교조차도 이러한 물질적인 방법을 해법으로 내 놓기도 합니다. 어떤이들에게는 교회나 절에 가는 것 조차도 더 소유하기 위해서 신에게 기도를 하는 것을 의미할 뿐입니다.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 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

내가 믿는 기독교 : 3.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400px-Psalms_Scroll

(Image source: wikipedia) 사해버전 성경 (Est. 408 BCE to 318 CE)

쓰다보니 그렇다면 기독교인은 왜 성경을 믿는가에 대한 이야기가 빠졌습니다. 예전에 제가 생각을 정리해 두느라 적어둔 글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제 의견은 링크 걸어둔 글로 대신하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 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