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수다

며칠전에 지인과 페북에서 코맥 맥카시 수다를 떨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나는 영화를 본적이 없었고, 넷플릭스에서 찜만 해두었었다. 내게는 ‘언젠가는 보려 했지만 선뜻 손은 안가는’ 그런 류의 영화.

Image result for no country for old men

내친김에 넷플릭스에 들어가 보니 며칠안에 영화를 내린다고 했다. 나는 부리나케 영화를 봤다.

영화는 무겁고, 잔인하고, 불친절하다. 심지어 배경음악도 거의 없다. 그렇지만 워낙 몰입감이 쩔어서 보는 내내 숨죽이고 봤다. 나는 잔인한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데… (못 보는 건 아닌데, 굳이 불쾌한 경험을 찾아가며 할 필요는 없다는 생각.) 킬러가 워낙 예측 불허라서 언제 사람을 죽일지 몰라 조마조마 하고 본 거 빼고는 그냥 볼만했다.

영화에 나오는 희대의 킬러 안톤 쉬거는 이해가 불가능한 존재이다. 동전 던지기는 그에게 죽음과 삶을 가르는 신성한(?) 의식이다. 잠깐 생각해봤다. 작가가 인생은 이해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삶과 죽음은 결정적으로 운에 달렸다는 메세지를 주는게 아닐까 싶었다.

어떠한 아이디어를 극단적으로 밀어부치면 그 아이디어에는 논리적인 구멍이 생기게 마련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 극단의 아이디어는 고유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사람의 생과 사가 우연으로 결정된다는 하나의 아이디어는 지나치게 극단적이고, 그 아이디어를 존재 자체로 증명하는 쉬거는 공포와 혼돈이다. 영화에서도 그는 사람들에게 싸이코패스라고 불린다.

이건 다른 이야긴데, 나는 머리 속에서 공리주의의 벤담이 떠올랐다. 언젠가 한번 수다를 떨 기회가 있겠지만, 세상의 모든 가치를 공리 utility로 압축하고 숫자로 quantify할 수 있다는 그의 아이디어는 지나치게 극단적일 뿐 아니라 많은 사람을 불쾌하게 한다. 하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이 아이디어가 근대 서양의 수많은 사상의 토대가 (특히 경제학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다.) 되었다는 건 아이러니다.

영화를 보고서 위키를 찾아 읽었다. 어떤 분들은 쉬거의 존재를 재앙으로 해석하더라. 타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재앙은 갑자기 들이닥친다. 이성적인 이해나, 논리적인 설명이 불가능 하다. 삶과 죽음의 문제 앞에서 이성과 논리가 무슨 힘을 가지고 있는가. 평생을 계획하고 성실하게 살아온 사람도 재앙의 방문에는 무력하다. 인간은 연약하고, 그럼에도 살아야하는 인생이 버겁다. 지인의 말처럼 (그리고 보완관 에드의 말처럼) overmatched이다. 극단적인 아이디어는 역시 극단적인 상황을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영화를 보며 한편으로는 내내 엘파소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영화의 배경은 멕시코와 미국의 접경 도시 엘파소이다. 그리고 바로 며칠전 엘파소에서 백인 우월주의자의 총기 난사가 있었고 월마트에서 40여명이 죽거나 다쳤다.

Image result for el paso

내가 알기로 엘파소가 그렇게 위험한 곳은 아니다. 그러니까 영화를 보고서 상상할 만한 그런 곳, 멕시코 갱단이 길거리를 활보하는 그런 곳은 당연히 아니다. 또 엘파소는 우리 트황상의 말만 들으면, 멕시코에서 건너온 범죄자들이 득실대고 총질과 마약거래를 보는게 일상인 동네일 것 같지만… 실상은 치안이 가장 좋은 동네 중 하나이다. 아무래도 군병력이 주둔한 곳이고 하다보니 오히려 안전한 동네가 됐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차로 10시간 걸려 댈러스에서 운전을 하고온 백인 우월주의자가 더 위험한 존재지.

국경지대라는 곳은 참 묘한 곳이다. 두개의 다른 국가의 정체성이 하나의 선으로 나뉘는 곳. 국가라는 정체성이 마찰을 일으키는 그곳 만큼 폭력을 상상하기 딱 어울리는 곳이 없다.

코맥 맥카시는 엘파소에서 20년을 살았다고 한다. 그는 핏빛 자오선,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말고도 국경 3부작을 썼는데… 그의 작품속에 그려진 폭력의 세계는 그 국경이라는 독특한 환경에서 자란게 아닐까 싶었다. 요며칠 그 폭력을 영화에서 그리고 뉴스에서 동시에 보았다. 영화처럼 현실도 불쾌하다.

프렌즈 방영권 밸류에이션 – 좀더 기술적인 분석

어제 프렌즈 1년 방영권이 $100MM에 팔렸다는 기사를 공유했다. 생각해보니 나도 나름 MBA인데, 기업뉴스를 너무 감상위주로 올렸나 싶어서 자료를 좀 찾아봤다.

어제 포스트 링크

프렌즈의 밸류에이션을 하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CLV (customer lifetime value)를 써보는 거다. 넷플릭스의 경우는 한명의 가입자가 얼마의 가치를 가지냐가 될꺼다. 대충 이쪽 업계에서 CLV를 $1000 정도로 보는 것 같다. 그러니까 이 계산으로는 $100MM이 말이되려면 올해 프렌즈로 10만명의 추가 가입자가 생겨야 한다. 아니면 기회비용 관점에서 프렌즈의 소유권을 갖고 있는 타임워너가 2020년에 프렌즈를 방영한다면 내년 방영권을 팔았기 때문에 10만명의 가입자를 못끌어온다는 계산이 나오거나. (타임워너는 또다른 스트리밍 시장 참여자 HBO의 소유주 이기도 하다.)

아니면 SAC (subscriber Acquisition Cost) 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건 가입자 한명을 끌어오는데 드는 마케팅 비용이다. SAC를 한명당 $200로 친다면, (작년 자료를 보니까 넷플릭스가 SAC를 $200로 잡았더라.) 프렌즈가 50만명의 추가 가입자를 끌어와야 수지가 맞다는 이야기다.

회계적으로는 프렌즈의 가치를 산정한 다음에 일년 방영한 다음에 얼만큼 amortized 되었나를 따지는 게 맞을 것 같다. 인간적으로 프렌즈 전 시즌 본다음에 다음해에도 또 정주행하는거는 아니지 않나. 그치만 이건 좀 내부자료가 있어야 할 것 같아서 패스.

또는 넷플릭스가 자체적으로 가진 다른 컨텐츠 가격과 비교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이건 회사 내부적으로는 좀더 수월하지 않을까 싶다. 잘나가는 넷플릭스 드라마 Crown이나 Strange Things 아니면 Narcos 같은 컨텐츠 가격을 산정한 다음에, 비교할 만한 숫자를 토대로 (시청자수, 시청시간, 독점 방영여부 등등…) 프렌즈랑 비교하는 거다.

넷플릭스야 워낙 데이타 중심의 회사 / 빅데이타의 선구자로 불리는 회사니까 프렌즈의 가치를 잘 판단했을 꺼다. 당연히 $100MM 딜 산정하려고 숫자쟁이들이 달라붙어서 엄청 엑셀을 돌렸겠지. 그래도 $100MM는 좀…

이 동네 워낙 경쟁이 치열해서 점점 그렇게 되는 것 같다. 프렌즈 판권을 가진 타임워너 (라고 쓰고 AT&T라고 읽는다.) 가 HBO의 소유주라 계산이 더 복잡하다. (어제 살짝 언급한 디즈니는 hulu를 갖고 있고.) 그리고 프렌즈가 끝이 아니다. 얘기를 들어보니 NBC 쪽 미드 오피스도 곧 재계약에 들어간다고 한다. ㅎㄷㄷ

Image result for friends netflix

넷플릭스 프렌즈 방영권 계약

넷플릭스가 1000억원에 프렌즈 방영권을 1년 연장했다고. 작년 300억원에 비해서도 엄청난 액수. 금액이 워낙 크니 감이 잘안온다. 프렌즈 보려고 넷플릭스 계정을 가진 분들이 있긴 하겠지만, 그래도 프렌즈가 그정도 값어치가 되나?

Image result for friends

관련기사

Netflix Will Keep ‘Friends’ Through Next Year in a $100 Million Agreement (NYT, 12월 4일자)

스트리밍 쪽이 확실히 치열하긴 하다. 아마존도 나름 강점이 있고, 디즈니도 내년 말에 출사표를 던진 상황이다. 디즈니는 자체 컨텐츠 (마블/스타워즈랑 디즈니 만화 등등…) 도 있고, ESPN이 자회사인지라, 스포츠 쪽도 꽉잡고 있다.

어쨌든 넷플릭스가 요즘 방송계의 큰손이긴 하나보다. (바꿔 말하면 호구라고 할 수도…)

+ 덧: 프렌즈가 꼭 미쿡 사람만 보는 시트콤은 아닐 꺼다. 당장 한국에도 여전히(!) 프렌즈 팬이 있고, 넷플릭스 가입자 수도 미국 6천만/월드와이드 1억 3천만으로 해외 시청자가 더 많기도 하고.

나는 프렌즈 지금 보려면 너무 올드하지만, 올드한 거 좋아하는 사람도 있으니까… 심지어 Jeopardy도 넷플릭스에 있다. AFKN 틀면 주구장창 나오던 스핀 돌려서 quiz 맞추던 게임.

Fire Chasers

요즘 보고 있는 다큐멘터리 Fire Chasers. 4시간짜리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이다.

Image result for fire chasers

산불과 싸우는 캘리포니아 소방관들 이야기. 헬리콥터를 타고 투입된 대원들이 작전을 짜고, 장비를 챙기고, 전선을 형성한다. 그리고는 다시 헬기의 지원. 말그대로 전투상황이더라.

공유한 클립은 6분짜리 발췌본.

다음은 다큐멘터리 예고편

다큐멘터리 트레일러

시간에 대하여

어제 샤워를 하며 시간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시작은 넷플릭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떠올리면서 였다. 넷플릭스는 정액제로 과금을 한다. 회원들은 무제한으로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기 때문에 얼핏 싸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러나 무제한 이라고 여겨지는 컨텐츠는 시간이라는 제약조건 때문에 실상은 무제한이 될 수 없다. 누구에게나 TV를 볼 수 있는 시간은 (크게 보면 레져시간은) 정해져있다. 부페가 손해를 보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게다가 음식과 달리 컨텐츠는 한계비용이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좋은 컨텐츠만 확보해 두면 그다음은 회원수를 늘릴 수록 그만큼 이익이다.

젊어서는 간과하기 쉽지만 시간은 유한한 재생불가능한 자원이다. 다양한 공부를 하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지만, 누구에게나 주어진 시간은 별반 차이가 없다. 돌이켜보면 전공을 바꿔서 가방끈도 늘려보고, 사는 나라도 한차례 바꾸어 보았지만, 흰머리만 생겼을 뿐 그다지 현명해 지지도 않았다. 아무리 부유한들, 아무리 성취를 이룬들, 가족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마침 시간에 대한 the Economist 기사를 보았는데 공유한다. 2014년 크리스마스 특집기사라 the Economist 기사 치고는 좀 긴편인데, 그래도 해당 주제에 관심이 있다면 읽어볼 만 하다.

In search of lost time: Why is everyone so busy? (the Economist, 2014년 12월 20일자)

1930년대에 케인즈는 시간에 대해서 이렇게 예측한 적이 있다. 자신의 손자 시대 쯤 가면 하루에 3시간 정도만 일하면서 여유있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천재 케인즈도 시간에 대한 예측은 전혀 헛방을 짚었다.

물론 (미국 기준으로) 주당 근무시간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40년 전에 비해 미국인들은 주당 12시간을 덜 일하고, (세탁기, 청소기 같은 가전제품의 도움으로) 여성들은 요리와 청소에 시간을 덜 소비한다. 남편들도 60년대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가정에서 가사활동에 보낸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더 시간이 없다고 느끼게 된 것 일까.

the Economist 지는 두가지 정도로 이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번째는 시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이고, 두번째는 시간 자원 배분의 양극화이다.

18세기에 시계가 발명된 이후 사람들은 점차 시간을 돈으로 치환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사람들은 시간을 돈으로 생각하게 될 수록 점점더 시간을 쓰는데 인색해진다. 토론토 대학의 한 심리학자는 실험을 했는데, 두 그룹에 똑같이 86초 짜리 오페라 도입부를 들려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한그룹에는 실험 전에 시급 hourly wage에 대한 질문을 했고, 이 그룹은 오페라를 들으면서 더 시간이 아깝다고 느꼈다.

그렇다고 시간이 적다는 불만을 단순히 심리적인 요인으로만 치부하기는 어렵다. UT Austin과 서강대학교 교수팀의 한 연구에 따르면 시간이 적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일 수록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러니까 항상 바쁘게 살면 좀더 부유한 삶을 살게될 가능성은 높아지지만 동시에 더욱더 바쁘다는 압박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바쁘다고 불평을 하는 현대인은 좀더 시간을 쪼개서 ‘멀티태스킹’에 몰입한다. 나는 1970년대 한 경제학자가 말한 성공한(?) 사람의 레져 시간 묘사를 보고서 아이러니하다고 느꼈다. 그에 따르면 성공한 사람은 브라질 산 커피를 마시면서, 네덜란드산 시가를 피우고, 동시에 프랑스 꼬냑을 마시면서 뉴욕타임스를 읽고, 브란덴브르크 협주곡을 들으며 스웨덴 출신의 와이프와 여가시간을 갖는 이 모든 것을 동시에 하는 사람이다.

지금와서는 다소 우습게 읽히지만, 현대인의 욕망이라고 딱히 다르지는 않다. 그러니까 시간을 쪼개서 열심히 살고 성취를 이룬 사람들의 꿈은 여가시간에 그 시간을 다시 쪼개어 동시에 여러가지를 멀티로 즐기는 것이다.

19세기에는 레저가 특권층의 상징이었다면, 현대인에게는 바쁨 그 자체가 부유함과 성공의 척도가 되었다. 페북/인스타를 둘러봐도 놀러가는 자체가 자랑할 꺼리는 아니다. 휴가를 얼마나 꽉채워서 즐겼는가 그와중에도 나는 얼마나 빡세게 사는 가를 보여주는게 관건이지.

인터넷 문화는 멀티 태스킹과 성급함을 일반화 시켰다. 현대인의 시간 감각에서 250 밀리세컨드는 의미가 있는 차이이다. 구글의 한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250밀리 세컨드 느린 웹사이트를 덜 방문한다고 한다.

시간을 쪼개서 사는 삶과 세속적인 성공에의 욕망 추구는 다분히 미국적이다. 한국인들이 미국의 삶을 상상할 때 미국인들은 휴가를 마음대로 쓰고 여유로운 삶을 누릴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모습과는 거리가 있다. 글래스도어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직장인의 반이상이 주어진 휴가의 반정도를 쓰고 있고, 15% 정도는 휴가를 전혀 쓰지 못한다고 한다. 글래스도어 자료의 신뢰성은 둘째 치더라도 미국이 한국 사람들 생각하는 것 만큼 널널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나라는 아니다. 유럽사람들은 이러한 미국적인 기업문화를 속물적이라고 말하지만 유럽도 휴가 문화가 예전만 못하다.

시간을 쪼개쓰는 현대인의 문화가 보편적이 되면서 가장 도전을 받는 사람들은 여성들이 아닐까 한다. 여성의 직장활동이 늘어나는 동시에 좋은 엄마의 기준은 높아졌다. 시간 소비의 절대치 기준으로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미국기준) 그러나 아무리 가사분담이 잘 되어있는 가정이라고 하여도 여성의 가사 노동은 요리나 청소, 빨래 그러니까 아무리 해도 티도 안나고 끝도 없는 일인 경우가 많고 남성의 경우는 아이들과 놀아주기, 또는 (미국의 경우) 잔디 깍기 아니면 집 수선, 가구조립 같은 좀더 티나는 또는 재미있는 일인 경우가 많다. (개인적으로 가구 조립 같은 일들을 즐기지는 않는다만 미국에서는 피할 수 없다.)

하나만 더 보태자면, 그러니까 이것도 미국 중산층 (또는 상류층) 부모의 느낌이겠지만, 중산층 가정은 대부분 계획을 해서 (경제적으로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느정도는 준비된 상태로 아이를 갖는다. 노산이 늘었고, 교육받은 사람들일 수록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면서 예전보다 더 가족과의 시간을 보내려고 노력하고, 그것이 가능하지 않은 사람도 최소한 죄책감을 가지게 된다. 그들의 부모님과 비교했을 때 훨씬더 많은 시간을 아이들과 보내고 있음에도 말이다.

시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생각들이 있지만 이정도로 마무리 지을까 한다. 이런 글을 올리는 나도 최근에 블로그에 너무 많은 시간을 쏟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고.

시간에 대해 생각해보면 생각해 볼 수록 참 묘하다. 그러니까 시간이 소중하다는 생각이 들면 시간을 좀더 잘 쓰고 많은 것을 얻을 것 같지만, 실상은 시간이 부족한다는 것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불행해 진다. 인간이 가진 불완전함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시간이다.

the Economist지 기사는 레져에 대한 1962년 Sebastian de Grazia의 고전 ‘Of Time, Work and Leisure’의 한구절을 인용하면서 마무리를 짓는다. 나도 여기에 옮겨두고 글을 마치려고 한다.

“Lean back under a tree, put your arms behind your head, wonder at the pass we’ve come to, smile and remember that the beginnings and ends of man’s every great enterprise are untidy.”

Image result

덧. 관련 이전 포스트 링크
젠더와 육아이슈 (2016년 1월 7일자 포스트)
산타크로체님 블로그: 왜 고학력자들은 끼리끼리 결혼할까?
직장문화와 성평등 (2016년 9월 12일 포스트)
유럽인의 긴휴가에 대한 수다 (2016년 9월 13일 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