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금융위기, 짧은 스케치

터키 리라가 연초 대비 40%가 빠졌다. 지난 주말 터키 뉴스를 무심히 흘려 들었는데, 사태가 점점 심상치 않게 흘러간다.
.
오늘자 뉴스를 보니, 강한 남자 에르도안이 미제 전자제품을 (아이폰을 예를 들면서) 보이콧 할거라고 한다. 터키가 주장하는 금융위기의 원흉은 미국이다.
.
Image result for erdogan

강한 남자 Erdogan (1954 – )

.
관련 뉴스
.
지난 금요일 트럼프의 보복 관세 트윗 이후, 리라가 급락한 거에 비하면 일단은 안정세로 접어들었다. 5%가 올랐으니. 그렇지만 자꾸 이게 끝은 아니지 싶어 불안하다.
.
불안함의 근저에는 에르도안의 근거없는 자신감이 있다. 에르도안의 저금리에 대한 확신은 찾아보니 꽤나 오래되었다.
.
.
에르도안의 이론(?)에 따르자면 저금리가 물가를 안정시킨다고!!! 저금리와 더불어 강력한 경기 부양책으로 계속해서 엑셀을 밟고 있으니. 이쯤되면 여기서 어떤 설명을 더 붙이겠는가.
.
외환 위기는 실물경제에 상당한 충격을 주는데, 한국인은 IMF 위기로 이걸 뼈져리게 경험했었다. (물론 아직까지도 97년 위기의 원인을 기업의 탐욕이나 특정 국가/단체의 음모로 이야기하는 분이 있다만…)
.
수식으로 풀자면, 소위 말하는 sudden stop 이후 자본 유입이 유출로 바뀌면서 모든 비극이 시작된다.
.
   경상수지 + 자본 수지 = 외환 보유고(의 증감).
.
위키피디아 sudden stop
.
예전에 먼델 플레밍 모델 포스팅할 때도 잠깐 언급했지만, 경상수지랑 자본수지를 동시에 흑자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지만 환율 때매 그게 안된다.
.
예전 포스팅
.
소설 속의 이야기라면 모든 것은 한편의 코메디 쯤 될 듯하다. 저금리가 인플레를 잡는다며 잔뜩 가속 페달을 밟은 개도국의 대통령. 터키가 미국 적자를 키운다면서 보복 관세를 매기는 트황상. 관세 때문에 환율 시장이 더 요동치고 (트럼프가 원하는 것과 반대방향으로!) 리라는 더 급락하는 해프닝. 달러화로 표기되는 부채는 환율이 급등하면 더 커지게 마련이고. 거기다 더해 뱅크런을 더 부추기는 듯한 개도국의 대응. 웃어야 하는 건지.
.
예전에 포스팅한 적이 있다. 나는 국가 경제가 대통령하고 (특히 단기적으로는) 큰 관계가 없다고 보는 편이다. 예외가 있는데, 경제 위기 대처이다. 사후대처는 전적으로 정부의 책임이다. 물론 세상에는 똑똑한 사람들이 많으니, 터키에 경제 전문가 몇은 있지 않을까 싶고, 그 사람들이 어떻게든 위기를 돌파하려고 동분 서주 하고 있겠지. 그렇길 바란다.
.
예전 포스팅: 미국 제조업 임금 상승 (2017년 11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