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버노 청문회는 인준 후보의 35~36년전 과거 행적에 대한 논란이 주이다. 그러다보니 1980년대 초반 엘리트 프렙 스쿨문화가 재조명된다. 그런 맥락에서 어떤 이들은 이번 청문회를 80년대 백인 청소년 문화 전반에 대한 미투로 읽기도 한다.
80년대 초반은 지금보다 청소년의 성적 일탈에 대해 좀더 너그러운 시대였다. 그리고 에이즈의 공포가 확산되기 이전이었다. 조금 앞으로 시대를 되돌려 보자면 70년대 성혁명이 미국을 흔들었었다.
돌이켜보면 80년대는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버젓이 하드코어 포르노 공연이 있던 시절이었다. (댓글 첨부 참조) 참고로 맨하탄 (크게는 미국) 섹스 인더스트리의 발흥은 요즘 방영중인 HBO 드라마 deuce가 잘 묘사했다.
여담이지만 80년대는 (아마도 90년대 까지?) 한국도 청량리 등지에서 버젓이 사창가 영업이 벌어지던 시기이기도 하다. 초등학생이던 나도 그 정경을 기억한다. 청량리역에 택시를 타고 갈일이 있었고, 그때 기사가 소위 588을 통해서 지나갔었다. (교통 체증 때문이 아니었을까 짐작한다.) 초등학생임에도 풍경이 기억에 남는걸 보면 그닥 교육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 그러니까 그당시는 초등학생에게 그런 풍경을 보는 것이 대수롭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물론 어머니는 불편한 기색이 역력했던게 기억난다.
어쨌든 미국얘기로 돌아와서. 80년대 일부 부유한 백인 청소년들은 매주 술파티를 벌였다. 그당시 개봉한 영화들을 보면 80년대 초반 미국 틴에이져들의 성풍속이 잘 드러난다. 대표적인 영화가 1983년도 톰크루즈의 ‘위험한 청춘 risky business’ 이다.
당시 미국 틴에이지 영화는 십대 남자들이 몰려다니며 술파티를 벌이고, 자빠뜨릴(!) 여자를 찾거나, 아니면 창녀를 불러내 질펀한 파티를 벌일 생각에 몰두해 있었다고 말한다. 코메디 영화라 그 과정에 벌어지는 주인공들의 어이없는 실수와 해프닝이 주된 소재이다.
1980년대 초반은 플레이보이지의 전성기였다. 소위 말하는 “if it feels good, do it” 이라는 플레이보이 철학이 그 시대를 대표한다. 페미니즘을 기준으로는 70년대 에리카 종의 ‘비행공포 fear of flying’이 이미 담론 형성을 마친 상황이었다.
그럼 마지막으로 지난 주말 SNL에서 방영한 80년대 파티 라는 제목의 에피소드를 소개하며 수다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