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미대사관 예루살렘 이전에 대해 수다를 떨었다. 근데 생각해보니 몇가지가 빠졌다. 괜한 오해만 사겠다 싶다. 추가로 몇자 더 남긴다.
.
우선 며칠간 뉴스를 지켜본 결과로는 트럼프의 이번 결정이 중동 정세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논란은 많이 되고 있지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이 예전처럼 중동 정세의 중심은 아닌 것 같다는 느낌? 아마도 그런 판단하에 트럼프의 깜짝 발표가 있었겠지.
다만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입지가 중동에서 더 약해질텐데, 트럼프는 별로 상관 안하는 것 같기도 하고. 어쨌든 트럼프 핵심 지지층인 미국 보수 복음주의자들은 두팔벌려 환영하고 있으니까. 대표적으로 친트럼프계 Paula White 목사는 환영한다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그녀는 트럼프 정부 evangelist 자문 위원장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http://www.cnn.com/2017/12/06/politics/american-evangelicals-jerusalem/
기독교계가 모두 한목소리를 내는 것은 아니다. 미국 공화당을 지지하는 복음주의 계열 기독교인은 열정적인 환호를 보였다. 반대로 프란치스코 교황은 ‘deep concern 깊은 우려’를 표명했고, 정교회쪽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기독교인들과 유대인들은 사실 오랜기간 애증의 관계였다. 이를테면 루터는 유대인들이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았다는 이유로 경멸했고, 이는 나치 인종청소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
그럼 성경은 무엇이라고 말할까? 내가 알기로 이스라엘과 유대인, 비유대인 (성경 용어로는 Gentile 이방인)을 보는데에 크게 2가지 관점이 있다.
첫번째는 시오니즘에 동질감을 느끼는 보수 복음주의 계열의 관점이다. 이쪽이 정치적으로는 공화당의 hawkish policy에 동조하는 분들이다.
이쪽 주장을 성경에서 근거를 찾자면 대표적으로 바울이 로마인들에게 쓴 편지, 로마서 11장을 들 수 있다. 유대교는 선민사상에 기반한다. 그러나 본인이 유대인이 었던 바울은 예수교의 신앙과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유대인들을 안타깝게 여긴다. 그러면서 비유대인을 접붙인 올리브나무에 비유한다.
그리고 26절에 이르러서 이렇게 말을한다.
all Israel will be saved. As it is written: “The deliverer will come from Zion; he will turn godlessness away from Jacob.” (NIV) 그후에는 모든 이스라엘 사람이 다 구원을 받을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성경에 이렇게 쓰인 말씀과 같습니다. “구원자가 시온에서 올 것이니 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서 경건치 않은 것을 제거할 것이다.” (현대인의 성경)
지난번 포스트에도 시온산에 대해 언급을 했는데, 시온산은 예루살렘에 있는 산중에 하나이고, 종종 예루살렘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는 (유대인에게) 신성한 산이다. 그러니까 보수 복음주의 쪽에서는 이에 근거해서 유대인이 예루살렘을 회복하고 예수를 믿게되면 예수가 재림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지난번 포스트
종교의 땅, 예루살렘(12월 7일자)
시오니즘에 공감하지 않는 다른 한쪽이 근거로 대는 구절은 갈라디아서 3장이다. 이 또한 바울의 편지이다.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이 편지는 할례와 믿음을 둘러싼 갈라디아인들의 신학 논쟁에 대한 바울의 대답이다.
할례는 유대인의 징표이다. 당시는 유대교와 기독교가 명확히 갈라서기 이전이었고, 따라서 어떤이들은 할례가 구원에 필수적인 절차 중에 하나라는 주장했다. 그러나 바울은 예수를 믿는 믿음외에 다른 징표가 있을 수 없다고 대답한다. 그리고 3장 28-29절에서는 신분제 사회인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주장을 하기에 이른다.
There is neither Jew nor Gentile, neither slave nor free, nor is there male and female, for you are all one in Christ Jesus. If you belong to Christ, then you are Abraham’s seed, and heirs according to the promise. (NIV) 여러분은 다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나가 되었으므로 유대인이나 그리스 사람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차별이 없습니다. 여러분이 만일 그리스도에게 속한 사람이라면 여러분은 아브라함의 후손이며 하나님이 약속하신 것을 받을 상속자들입니다. (현대인의 성경)
갈라디아서 선언 이후, 더이상 기독교에서 ‘선민’은 존재하지 않는다. 인종이나 종교나 성별이나 신분에 관계 없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동일한 존재로 초대되었다.
여담이지만 갈라디아서 3장 28절은 내가 성경에서 좋아하는 구절 중에 하나이다. 시대와 장소를 초월해서 공감을 이끌어내는 구절이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막부시대 기독교인들은 이 구절 하나에 감복해서 예수에 귀의하기도 했고 목숨을 내어놓기도 했다.
대충 정리해보자. 예루살렘이 가지는 의미는 기독교 안에서도 다양하게 해석된다. 어떤이에게 예루살렘은 유대인에게 회복되어야 할 물리적인 장소이기도 하고, 어떤이에게는 유대인과 타민족은 별다른 차이가 없기도 하다.
사실 미국 (또는 일부 한국) 보수 기독교인들에게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하는 것은 단순히 정치적인 의미를 넘어서기도 한다. 트럼프가 종교적인 인물은 아닌 것이 분명하기에 그의 정치적인 메세지는 분명해 보인다. (외교적으로는 손해만 봤다는게 대다수의 분석이고)
예루살렘은 목놓아 울뿐이다. 그 조그마한 땅에 수천년간 종교적/정치적/지정학적 의미가 얽히고 설켜 흘린 피가 얼마인가.
마지막으로 성경 한구절만 인용하며 글을 마친다.
예레미아 7:34 그 때에 내가 유다 성읍들과 예루살렘 거리에 기뻐하는 소리, 즐기는 소리, 신랑의 소리, 신부의 소리가 끊쳐지게 하리니 땅이 황폐하리라. I will bring an end to the sounds of joy and gladness and to the voices of bride and bridegroom in the towns of Judah and the streets of Jerusalem, for the land will become desolate. 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