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에 대하여

어제 샤워를 하며 시간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시작은 넷플릭스의 비즈니스 모델을 떠올리면서 였다. 넷플릭스는 정액제로 과금을 한다. 회원들은 무제한으로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기 때문에 얼핏 싸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러나 무제한 이라고 여겨지는 컨텐츠는 시간이라는 제약조건 때문에 실상은 무제한이 될 수 없다. 누구에게나 TV를 볼 수 있는 시간은 (크게 보면 레져시간은) 정해져있다. 부페가 손해를 보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게다가 음식과 달리 컨텐츠는 한계비용이 사실상 제로에 가깝다. 좋은 컨텐츠만 확보해 두면 그다음은 회원수를 늘릴 수록 그만큼 이익이다.

젊어서는 간과하기 쉽지만 시간은 유한한 재생불가능한 자원이다. 다양한 공부를 하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지만, 누구에게나 주어진 시간은 별반 차이가 없다. 돌이켜보면 전공을 바꿔서 가방끈도 늘려보고, 사는 나라도 한차례 바꾸어 보았지만, 흰머리만 생겼을 뿐 그다지 현명해 지지도 않았다. 아무리 부유한들, 아무리 성취를 이룬들, 가족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마침 시간에 대한 the Economist 기사를 보았는데 공유한다. 2014년 크리스마스 특집기사라 the Economist 기사 치고는 좀 긴편인데, 그래도 해당 주제에 관심이 있다면 읽어볼 만 하다.

In search of lost time: Why is everyone so busy? (the Economist, 2014년 12월 20일자)

1930년대에 케인즈는 시간에 대해서 이렇게 예측한 적이 있다. 자신의 손자 시대 쯤 가면 하루에 3시간 정도만 일하면서 여유있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천재 케인즈도 시간에 대한 예측은 전혀 헛방을 짚었다.

물론 (미국 기준으로) 주당 근무시간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40년 전에 비해 미국인들은 주당 12시간을 덜 일하고, (세탁기, 청소기 같은 가전제품의 도움으로) 여성들은 요리와 청소에 시간을 덜 소비한다. 남편들도 60년대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가정에서 가사활동에 보낸다. 그런데 왜 사람들은 더 시간이 없다고 느끼게 된 것 일까.

the Economist 지는 두가지 정도로 이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번째는 시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이고, 두번째는 시간 자원 배분의 양극화이다.

18세기에 시계가 발명된 이후 사람들은 점차 시간을 돈으로 치환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사람들은 시간을 돈으로 생각하게 될 수록 점점더 시간을 쓰는데 인색해진다. 토론토 대학의 한 심리학자는 실험을 했는데, 두 그룹에 똑같이 86초 짜리 오페라 도입부를 들려주었다고 한다. 그런데 한그룹에는 실험 전에 시급 hourly wage에 대한 질문을 했고, 이 그룹은 오페라를 들으면서 더 시간이 아깝다고 느꼈다.

그렇다고 시간이 적다는 불만을 단순히 심리적인 요인으로만 치부하기는 어렵다. UT Austin과 서강대학교 교수팀의 한 연구에 따르면 시간이 적다고 불평하는 사람들일 수록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러니까 항상 바쁘게 살면 좀더 부유한 삶을 살게될 가능성은 높아지지만 동시에 더욱더 바쁘다는 압박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다.

바쁘다고 불평을 하는 현대인은 좀더 시간을 쪼개서 ‘멀티태스킹’에 몰입한다. 나는 1970년대 한 경제학자가 말한 성공한(?) 사람의 레져 시간 묘사를 보고서 아이러니하다고 느꼈다. 그에 따르면 성공한 사람은 브라질 산 커피를 마시면서, 네덜란드산 시가를 피우고, 동시에 프랑스 꼬냑을 마시면서 뉴욕타임스를 읽고, 브란덴브르크 협주곡을 들으며 스웨덴 출신의 와이프와 여가시간을 갖는 이 모든 것을 동시에 하는 사람이다.

지금와서는 다소 우습게 읽히지만, 현대인의 욕망이라고 딱히 다르지는 않다. 그러니까 시간을 쪼개서 열심히 살고 성취를 이룬 사람들의 꿈은 여가시간에 그 시간을 다시 쪼개어 동시에 여러가지를 멀티로 즐기는 것이다.

19세기에는 레저가 특권층의 상징이었다면, 현대인에게는 바쁨 그 자체가 부유함과 성공의 척도가 되었다. 페북/인스타를 둘러봐도 놀러가는 자체가 자랑할 꺼리는 아니다. 휴가를 얼마나 꽉채워서 즐겼는가 그와중에도 나는 얼마나 빡세게 사는 가를 보여주는게 관건이지.

인터넷 문화는 멀티 태스킹과 성급함을 일반화 시켰다. 현대인의 시간 감각에서 250 밀리세컨드는 의미가 있는 차이이다. 구글의 한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이 250밀리 세컨드 느린 웹사이트를 덜 방문한다고 한다.

시간을 쪼개서 사는 삶과 세속적인 성공에의 욕망 추구는 다분히 미국적이다. 한국인들이 미국의 삶을 상상할 때 미국인들은 휴가를 마음대로 쓰고 여유로운 삶을 누릴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 모습과는 거리가 있다. 글래스도어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직장인의 반이상이 주어진 휴가의 반정도를 쓰고 있고, 15% 정도는 휴가를 전혀 쓰지 못한다고 한다. 글래스도어 자료의 신뢰성은 둘째 치더라도 미국이 한국 사람들 생각하는 것 만큼 널널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 나라는 아니다. 유럽사람들은 이러한 미국적인 기업문화를 속물적이라고 말하지만 유럽도 휴가 문화가 예전만 못하다.

시간을 쪼개쓰는 현대인의 문화가 보편적이 되면서 가장 도전을 받는 사람들은 여성들이 아닐까 한다. 여성의 직장활동이 늘어나는 동시에 좋은 엄마의 기준은 높아졌다. 시간 소비의 절대치 기준으로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미국기준) 그러나 아무리 가사분담이 잘 되어있는 가정이라고 하여도 여성의 가사 노동은 요리나 청소, 빨래 그러니까 아무리 해도 티도 안나고 끝도 없는 일인 경우가 많고 남성의 경우는 아이들과 놀아주기, 또는 (미국의 경우) 잔디 깍기 아니면 집 수선, 가구조립 같은 좀더 티나는 또는 재미있는 일인 경우가 많다. (개인적으로 가구 조립 같은 일들을 즐기지는 않는다만 미국에서는 피할 수 없다.)

하나만 더 보태자면, 그러니까 이것도 미국 중산층 (또는 상류층) 부모의 느낌이겠지만, 중산층 가정은 대부분 계획을 해서 (경제적으로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느정도는 준비된 상태로 아이를 갖는다. 노산이 늘었고, 교육받은 사람들일 수록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면서 예전보다 더 가족과의 시간을 보내려고 노력하고, 그것이 가능하지 않은 사람도 최소한 죄책감을 가지게 된다. 그들의 부모님과 비교했을 때 훨씬더 많은 시간을 아이들과 보내고 있음에도 말이다.

시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생각들이 있지만 이정도로 마무리 지을까 한다. 이런 글을 올리는 나도 최근에 블로그에 너무 많은 시간을 쏟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고.

시간에 대해 생각해보면 생각해 볼 수록 참 묘하다. 그러니까 시간이 소중하다는 생각이 들면 시간을 좀더 잘 쓰고 많은 것을 얻을 것 같지만, 실상은 시간이 부족한다는 것을 더욱 느끼게 되고 더 불행해 진다. 인간이 가진 불완전함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시간이다.

the Economist지 기사는 레져에 대한 1962년 Sebastian de Grazia의 고전 ‘Of Time, Work and Leisure’의 한구절을 인용하면서 마무리를 짓는다. 나도 여기에 옮겨두고 글을 마치려고 한다.

“Lean back under a tree, put your arms behind your head, wonder at the pass we’ve come to, smile and remember that the beginnings and ends of man’s every great enterprise are untidy.”

Image result

덧. 관련 이전 포스트 링크
젠더와 육아이슈 (2016년 1월 7일자 포스트)
산타크로체님 블로그: 왜 고학력자들은 끼리끼리 결혼할까?
직장문화와 성평등 (2016년 9월 12일 포스트)
유럽인의 긴휴가에 대한 수다 (2016년 9월 13일 포스트)

임신의 날: 이탈리아의 사례를 통해서 본 저출산 문제

권남훈 교수님과 산타크로체님이 저출산 관련해서 좋은 글들을 올리셨다.

관련해서 마침 어제 읽은 뉴욕타임스 기사가 생각나서 공유한다.

이탈리아에는 임신의 날 fertility day가 있다. 저출산으로 고민하는 이탈리아가 국가적으로 임신을 장려하고 나선 것.

이탈리아 정부는 이번달 22일을 임신의 날로 정하고 대대적인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그런데, 이 캠페인 광고들이 지나치게 성차별 적이고 공격적이다는 논란을 불러왔고 결국은 광고를 중단하기에 이르렀다.
캠페인 광고 문구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Beauty has no age limit. Fertility does.”
“Don’t let your sperm go up in smoke.”

캠페인은 임신을 장려하는 데에 실패한 대신 왜 이탈리아가 출산율이 낮은가에 대한 국가적인 토론의 장을 여는 데에 성공(?)했다.

인터뷰 몇개를 옮긴다.

“정부는 아이를 가지라고 권장하지만, 이탈리아의 복지 시스템은 여전히 할머니들에 의존하고 있어요.”

“서류상으로 이탈리아 여성들은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지고 있어요. 그러나 실상은 다르죠. 여자들이 아이들을 더 돌볼 것이 요구됩니다. 만약 육아 시설이 잘되어 있는 지역에 살거나,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소도시에 산다면, (아이를 가지고도) 직업을 유지할 겁니다. 그러나 만약 복잡한 대도시에 살면서 주변에 가족이 없다면, 여자들은 임신에 신중하게 됩니다. 아니면 직장을 그만두지요.”

이탈리아는 유럽에서도 가장 낮은 출산율로 고민하고 있는 나라이다. (이탈리아: 1.37명, 유럽 평균: 1.6명, 한국: 1.23명) 그래서인지 그들이 고민하는 내용도 한국과 유사하다.

이 기사에 따르면, 이탈리아 사람들이 말하는 출산률이 낮은 요인은 크게 두가지이다. 첫째는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고 육아의 부담이 높아서이고 (좀더 설명하자면, 여성이 교육을 받으면서 경제활동 참가가 가능한 인구는 늘었지만 실제 사회통념이나 시스템은 여전히 여성에게만 육아의 책임을 지우는 구조이기에), 둘째는 이탈리아의 암울한 경제 전망이다.

우선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가 출산율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까? 권남훈 교수님이 인용하신 Feyrer, Sacerdote and Stern 팀의 연구에 의하면 그러하다. 아래 도표를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활발할 수록 출산율이 높다. 이탈리아와 한국은 여성경제활동 참여와 출산율이 가장 떨어지는 국가들 중에 하나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가장 여성이 평등하다고 이야기 되는 스웨덴은 모범사례이다. 여성 경제 활동 참여율이 85%정도이고 출산율도 상당히 높다. (1.9명 수준)

capture

관련 페이퍼 링크
UNDERSTANDING FERTILITY WITHIN DEVELOPED NATIONS by Feyrer, Sacerdote and Stern (2008년)

그러면 출산율이 이탈리아의 암울한 경제전망과도 연관이 있을까? 산타크로체님이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어느정도 상관관계가 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미국의 경우, 대공황과 70년대 오일쇼크 때, 그리고 2008년 금융위기 때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가 없을 때에 아이를 낳는 것을 주저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

capture1

마지막으로 기사에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난임에 대해 잠깐 이야기하고 마무리를 지으려고 한다.

지난달 이코노미스트지에서도 마침 출산율에 관한 기사들이 실렸는데, 그중 하나가 시험관아기에 대한 이야기다.

An arm and a leg for fertilised egg (the economist, 8월 27일자)

기사에 따르면, 시험관아기 시술 비용은 나라마다 조금 차이가 있다. 인도는 한차례 시술에 2-3천불 정도, 미국은 만2천에서 만 5천불 정도 이다. 시험관아기 시술에 친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부연설명을 하자면,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는다고 한번에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다. 평균적으로 삼회 이상 시술을 받고, 어떤 경우에는 일년이 넘게 노력하다가 결국 포기하기도 한다. 또한 시술을 한 사이클 받을 때마다 엄청난 양을 호르몬 제를 꾸준히 맞아야 한다. 대부분 시술 비용은 호르몬 제와 약품비용이다.

의학계는 시험관아기 시술비용을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한가지 방법은 투여 약물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이는 소위 ‘mild IVF’ approach라고 불리고 일본, 프랑스 쪽에서 인기가 좋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시험관 lab실 비용을 저렴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는 shoe-box-sized IVF laboratory라고 불리며, 영국, 포르투갈, 가나 쪽에서 주로 사용된다.

내가 알기로 한국의 경우는 시술비용을 낮추는 노력이 크지는 않다. 이보다는 정부에서 시술비용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진행된다. 지자체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한국에서 시험관 시술은 (지원을 받는다면) 거의 공짜로 알고 있다. 이에는 한국의 낮은 의료비용도 한몫을 하고 있다.

결론을 짓자. 사실 나는 출산율이 낮아서 GDP가 낮아진다는 이야기에 좀 시큰둥 한편이다. 권남훈 교수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출산율을 높여서 국가 경제가 성장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하는 생각도 든다. (물론 정부재정에는 영향을 미치겠지만 말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왜 출산율이 낮아지는 가이다. 앞에서 언급한 이탈리아 사례처럼,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보장이 안되고 경제전망이 좋지않아 사람들이 아이를 낳기를 꺼린다면, 이는 사람들이 더이상 미래를 희망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니 그것이 더 암울하다. (물론 결과적으로는 이것이 경제 활력을 잃게 하는 일일런지도 모르겠다.)

경제 논리를 떠나서 사람들이 원하는 아이를 갖지 못하는데에, 의학적원인이 있거나 (난임), 사회적인 원인이 있다면 (유아 빈곤률이나 미래에 대한 비관적 전망) 그것이 더 안타까운 일이다. 아이를 갖고 싶어도 갖지 못하는 것은 겪어보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는 고통이다. (가난한 나라에서는 여전히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성을 쫓아내고 심지어 죽이는(!)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 지난달 케냐에서는 한 재봉사가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부인을 칼로 찔러 살해하려는 살해 미수건이 있었다.)

사족이지만 하나만 더하자. 반대로 세상에는 아이를 갖지 않고자 했으나 갖게 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가난한 국가들은 적절한 피임이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생긴다. 인도나 나이지리아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다. 의외로 인도 사람들은 아이를 많이 가지려고 하지 않는다. 이코노미스트지 자료를 참조하면 인도사람들은 평균적으로 1.9명 정도 자녀를 가지는 것을 이상적으로 본다. (아래 그림 참조) 인도나 중국 같은 경우는 오히려 서구 국가들보다 더 적은 수의 아이를 원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들은 더 많은 아이를 가지는 데, 이는 적절하지 못한 피임으로 생기는 일이다.

20160827_fbc212

관련 기사: The Economist | Demography and desire: The empty crib (8월 27일자)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출산율이 떨어지기 시작한 것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의학적으로만 본다면야 피임의 보급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피임의 보급은 ‘성적인 쾌락’과 ‘임신’을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에 대한 윤리적, 종교적 관점의 고찰 또한 내가 관심있는 주제이긴 하지만 여기서는 주제를 벗어나니 넘어가기로.) 선진국이라 하더라도 적절한 피임이 이루어지지 않는 청소년이나 빈곤층은 여전히 출산율이 높다. 아이를 원하지만 아이를 가지지 못하는 고통이나 원치않는 아이를 가진 부모들의 고통은 동일하게 힘든 문제라고 생각한다.

다만,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 어느 정도 준비가 되지 못했더라도 아이를 키우는 일은 키우기 전에 예상했던 것 보다는 큰 기쁨을 준다는 것은 덧붙이고 싶다. 물론 내가 육아에 한발 비켜선 남성이기에 할 수 있는 이야기 인지도 모르겠다.

참고자료
저출산 문제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발상 전환 (권남훈 교수님 블로그)
페미니즘은 출산율을 높일까? 노르딕 모델의 고유한 가치 (산타크로체 블로그)

 

직장 문화와 성평등

일전에 올린 [실리콘 밸리와 직장문화] 포스트에 Santacroce G Nam 님이 댓글을 달아주셨다. 답변이 길어져서 따로 포스트로 옮겨둔다.

산타크로체님: 매우 흥미있는 이슈인데 관련 글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정리된 생각은 아니지만 테크기업의 짧은 기술생애주기를 생각하면 예를들어 유럽식의 5주 휴가나 35시간 근무제 또는 매우 관대한 출산 및 육아휴가가 제도적으로 가능할까 싶긴 합니다. 어쩌면 조악한 방식으로 야근을 강요할 필요도 없이 Task 중심의 성과보상 체제라면 능력에 따른 업무 투입 시간은 상당한 개인차를 보일 것 같기도 합니다. 일정한 결과물을 제 시간안에 도출하는 것만 고려한다면 주 20시간을 일하든 집에까지 업무를 가져가서 50시간 이상을 일하든 상관하지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특히 관대한 출산육아 휴가가 보장되어 1년 정도 업무 공백이 생긴다면 스맛폰 같은 경우는 한 버전을 건너 뛰는 꼴인데 매니저는 생산성의 유지에 대한 고민이 들 것 같고 휴가 해당자는 커리어에 대한 고민이 들 것 같기도 합니다. 당연히 피고용자 입장에서는 유럽식이 좋긴 하겠지만 현 미국 테크기업이 그런 업무 스타일을 전면적으로 채택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나온 이야기였습니다.

나:
말씀하신 대로 실리콘 밸리 기업들은 대부분 task 중심의 성과 보상체제를 운영한다고 들었습니다. 굳이 실리콘 밸리가 아니더라도 미국 기업 대다수가 ‘일만 제 때 끝나면 근무시간이야 무슨 상관이람.’ 이란 마인드를 가진 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이것도 기업마다 달라서 온도차가 큽니다. 사실 성과중심체제가 일의 양을 줄인다기 보다는 더 과도한 일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아마존이 이슈가 되었던 것은 너무나도 과도하게 성과를 몰아부쳐서이기도 합니다.

또 말씀하신대로 업무 스타일에 따라 직무별로 flexible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일이 있고 아닌 일도 있습니다. 다만 근무 환경과 회사 문화가 좋은 회사일 수록 한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시스템적으로 일이 진행되도록 하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말씀하신대로 특히 순간순간 트랜드가 변하는 테크 쪽에서는 그다지 먹히지가 않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시스템으로 일하려고 해도 사람이 몸으로 떼워야 할 부분이 분명 있기도 하고요.

제가 이왕 출산휴가 이슈를 제기 했기에 마지막으로 성평등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자면, 유연한 근무환경을 만드는 것이 성평등(특히 남녀 임금 격차 부분)을 가져오는 데에 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vox에서 만든 동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2009년에 시카고대 MBA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하버드대 Bertrand 교수 팀), 직군에 따라 임금 차이가 다릅니다. 이를 테면, 테크나 과학쪽 일 처럼 철저하게 성과중심인 직군은 유연한 근무가 가능하기에 성차이에 따른 임금차이가 적은 반면, 미팅이나 팀웍이 중요한 경영관련 직군은 임금차이가 큰 편이었습니다.

해당 페이퍼: Dynamics of the Gender Gap for Young Professionals in the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ec%ba%a1%ec%b2%98

image source: 해당 기사

.

이와 관련해서 또하나 흥미로운 연구 결과는 미국 약사의 남녀간 급여 차이입니다. 미국 약국은 옛날에는 한국처럼 개인 사업자가 많았고 따라서 한사람이 몸으로 때워야하는 구조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미국의 약국은 기업화되어서 여러사람이 교대 근무가 가능해 졌습니다. 이 때문에 융통성 있는 근무가 가능해졌죠. 이 변화가 일어났던 30~40년 사이에 남녀의 임금 격차는 드라마틱하게 줄었습니다. 1970년 남성의 66%의 임금을 받던 여성 약사들이 지금은 92%의 임금을 받고 있습니다.

참고 그래프: What’s your pay gap? (WSJ, 5월 17일자)

참고자료
The truth about the gender wage gap (vox, 8월 1일자)
동영상 https://youtu.be/13XU4fMlN3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