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an Cain On Why It’s OK To Eat Alone (TED idea 8월 11일자)을 읽고서 든 생각
(image source: TED idea 해당 기사)
나는 내향적인 사람 (introvert) 이다. 내향적이라는 의미가 사람을 싫어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사람들하고 오래 있으면 빨리 지치고, 그래서 어느정도는 혼자만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반대로 외향적인 사람들은 혼자인 시간을 견디지 못하는 사람을 말한다.
미국 사회는 외향적인 (extroverted) 성향을 긍정한다. 미국에서는 내향적이다는 말은 anti-social하다는 의미로 해석되기 쉽상이다. 미국인들은 처음보는 사람들과도 쉽게 수다를 떤다. 에너지가 넘치고,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며, 분위기를 주도하는 사람들을 리더십이 있다고 하고, 능력이 있다고 한다.
학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미국식 교육은 참여를 권장한다. 참여를 잘한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외향적이고 잘 나선다(?)는 의미이다. 조별 과제에서 능동적으로 분위기를 이끌어 가는 사람이 칭찬 받는다.
그런 점에서 내게 수잔 케인의 TED 강의는 인상적이었다. (링크) 내향적인 사람들의 장점은 분명하다. 그들은 한발짝 물러서서 생각한다. 다양한 정보들 중에 소음을 구분할 줄 알고, 그렇게 습득된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할 줄 안다.
회사는, 대부분의 경우, 외향적인 사람들에게 주도권이 가기가 쉽다. 내가 미국 사람들한테 가장 많이 받은 조언은 ‘Never eat alone.’이었다. 인맥은 일을 하는데나 커리어를 착실하게 쌓아가는데에 중요한 자산이다. 그렇게 보면 이 조언은 가장 확실하고 직접적인 조언이다.
.
그러나, 성향과 더불어 문화적인 차이 때문에, 이것이 내게는 쉽지는 않은 임무이다. 긍정 에너지가 넘치는 잠깐의 순간을 제외한다면, 대부분 나는 내 옆에 누가 앉지 않기를 바란다. 물론 이야기가 시작된다면 밝은 얼굴로 즐겁게 대화를 하겠지만 말이다. 믿기 어렵겠지만, 나는 나름 농담을 구사하기도 하고, 소셜 이벤트를 조직(!)하기도 한다.
(image source: https://infjoe.wordpress.com/)
이러한 상황에 대한 나의 가장 현실적인 대처 방법은 어떤 것일까. 내향적인 성향도 괜찮다는 것을 인정하는게 첫번째 스텝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나서 내게 적합한 다른 모델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인터뷰에서 수잔 케인이 말한 것처럼, 칵테일 파티나 네트워킹 이벤트에서 여러 사람과 만나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지 말자. 대신에 한명과 의미 있는 대화를 나눴다면 그것으로 그날의 임무는 완성이다.
그녀의 이야기들은 꽤 위로가 된다. 미국이라고 해도 외향적인 사람만 있는 건 아니구나 싶다. 그녀의 책과 강연은 미국 내에서도 반향을 일으켰다. 교육계에서도 내향적인 아이들을 위한 몇가지 시도들이 있었다고 한다. 관련해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아래의 Atlantic지 기사를 읽어봐도 좋을 듯 하다.
링크: When Schools Overlook Introverts (the Atlantic 9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