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교육에 대해 올바로 질문하는 법

글을 쓰다가 자의식 과잉이 될 때가 있다. 오늘 글이 그러한데, 쓰다보니 개똥철학 교육론이 되어버렸다. 나는 교육에 대해 전문지식도 경험도 없는 평범한 회사원에 불구하다. 그렇지만 동시에 한 아이의 아버지이기도 하기 때문에, 생각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글을 적어본다.

질문이 왜 잘못되었는가?

두달 전에 Ivy League와 미국 교육 시스템에 대한 비판글을 공유한 적이 있다. 나는 거기서 아이비리그를 비판하는 글을 읽어봐야 딱히 해결책이 있는게 아니다. 부모의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명문대에 입학하되, 속물이 되지 않고, 생각할 줄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을 바라는 게 당연하지 않는가라고 얼버무리며 결론을 내었다.

그런데 글을 쓰고서 내내 찝찝한 거다. 왜 찝찝한가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 질문이 잘못되지 않았는가 싶었다. 어떤 경우는 ‘질문에 무엇을 답하는가’보다 ‘어떻게 질문을 하는가’가 더욱 중요하다.

말하자면 이런 거다. 인용한 칼럼의 필자의 글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아이들이 Ivy League에 진학을 해야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다. 필자는 Ivy League 시스템을 통렬히 비판했다. 그리고, 대안으로 (약간은 소심한 뉘앙스로) 주립대와 리버럴 아츠 칼리지를 제시했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는 필자가 질문에 대한 답을 해야하기에 어떤식으로든 대안을 제시하긴 했는데, 본인도 확신이 서지 않기 때문에 성급하게 마무리 지은 모양새다.

그 글을 읽었던 나도 필자의 논지를 따라가면서, ‘아이비리그가 주는 가치가 무엇인가.’, ‘아니면 한국의 명문대가 주는 가치가 무엇인가.’, ‘그러면 나는 내 자식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생각이 집중되었다.

그러나 ‘아이들이 Ivy League에 진학을 해야하는가?’라는 질문은 잘못되었다. 그 질문은 ‘아이들이 Ivy League에 진학을 하면 행복할 것이다.’, ‘성공할 것이다.’, ‘생각하는 법을 배울 것이다.’ 라는 전제를 가지고 시작한 질문이다. 그 글을 읽는 사람은 자연스레 Ivy League와 인생의 성공을 놓고서 자신의 잣대를 들이대며 판단을 하며 글을 읽게 된다.

질문을 제대로 하려면 ‘아이들이 어떻게 해야 행복하게 살 것인가?’ ‘생각하는 법을 배울 것인가?’ ‘부모는 자신의 기대를 아이들에게 어떻게 풀어낼 것인가?’ 부터 시작해야 한다. 어찌보면 명문대에 진학하는 문제는 부차적인(?) 문제이다. 중요하지 않은 문제라는 말이 아니라 본질이 아닌 질문이라는 것이다. 명문대에 간 아이가 불행할 수도 있고, 아닌 아이가 행복할 수 있다.

누군가는 계속 물을 수 있다. ‘그래도 역시나 명문대에 가는 문제가 중요하지 않은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그래도 그 누군가가 이 질문을 여전히 한다면, 나는 그분에게 당신은 잘못된 질문의 늪을 빠져 나오지 못했다고 말해줄 것이다.

진정 중요한 질문은

내가 진정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질문은 ‘어떻게 부모로서 아이에게 대리욕망을 하지 않는가?’ 이다.

아이는 언제나 아이의 삶을 산다. 아이를 키우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는 아이의 어떤 면은 나와 무서우리 만큼 닮은 동시에, 어떤 면은 정말로 생소한 이질적인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아이가 여섯/일곱살이 되면 그때부터 자의식이라는 게 생기게 되고, 조금씩 부모의 품을 떠난다. 유치원을 가게 되고 친구와 교류가 생긴다.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다가 보면 어느 순간, 아이가 집밖에서 배워온 것을 알고 말할 때가 있다. 부모의 눈에는 여전히 아기로만 보이는데, 아이는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터득하고 세상의 지식을 빨아들이고 있다. 그럴 때면, 아이는 내 소유가 아니구나. 스스로 크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것은 참으로 놀라운 경험이다.

내가 어떠한 기대를 아이에게 가지고 있던지간에 아이가 스스로의 삶을 산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부모는 일반적인 사회 통념과 한정된 인생경험으로 아이에게 가장 유익할 것으로 생각되는 길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그것은 부모가 이루지 못한 꿈을 아이에게 강요하는 것일 때도 있다.

부모의 역할

아이를 그냥 내버려두고, 아무것도 하지 말아야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한국인 나이 중간 값은 마흔하나이다. 그렇게 보면, 나는 인생의 반환점에 거의 다다른 샘이다. 짧게 나마 나를 돌이켜 보면, 나는 내가 진정 원하고 좋아하는 것을 아는데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지금도 내가 좋아하는 것/잘하는 것을 충분히 알지 못한다.

실존주의의 개념을 살짝 변형시켜 빌려오자면, 인간은 세상에 내동댕이 쳐진 존재이다. 내가 그러했듯이 아이는 본인이 좋아하는 것을 알아가는 데에 시간이 걸릴 것이다. 처음에 재미도 없고, 흥미를 못붙인다고해서 그것을 평생 즐기지 못하라는 법은 없다.

예를 들자면, 음식의 깊은 맛을 알아가는 것이 그러하다. 나물의 씁슬한 맛, 삭힌 음식의 깊은 맛 같은 것들은 훈련을 통해 알게되는 맛이다. 인간의 본성은 쓴맛과 삭힌 맛을 거부하는데, 꾸준히 먹어가며 입맛이 변하게 된다. 공부/책읽기/글쓰기 등등 몇가지 것들도 역시 그러한데, 본인의 취향을 알게 되기 까지는 훈련되고 익숙해지며, 알아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인의 전공이나 직업을 선택하게 되는 과정 역시 그러하다.

아마도 부모의 역할은 그 과정에 조금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도가 아닐까 싶다.

나와 부모님의 관계를 생각해본다. 나는 아직도 가끔 부모님께 이런저런 조언을 구할 때가 있다. 대부분은 부모님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다. 이제는 부모님도 연세가 들어 빠르게 변하는 세상을 온전히 따라잡지 못하신다. 반면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은 예전보다 복잡해져서 설명하는데에만도 힘겨울 때가 있다.

그럼에도 나는 그분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마음이 편해진다. 편안함은 그분들이 온전히 내편이라는데에서 온다. 내입장에서 생각해주신다. 나와의 관계에서 무엇을 얻으려 하지 않는다. 온전히 신뢰할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은 때로 큰 힘이 된다.

부모로서 해줄 수 있는 중요한 일 중에 하나는 자식을 신뢰하는 것. 그리고 본인이 스스로 자신을 알아갈 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 것이 아닐까한다.

미국식 엘리트 교육에 관한 책들

칼럼을 길게도 비평했다. 내가 못마땅 했던 것은 칼럼이 질문을 던진 방식이었고 그에 대한 대답이었다. 사실 필자의 논지 자체는 공감하는 부분이 적지 않았다.

제인 오스틴을 전공한 저자의 책은 한국에도 번역이 되어있다. 미국에서도 꽤 반향을 일으켰다고 들었다. 미국식 엘리트 교육에 대한 저자의 통렬한 비판은 한국의 상황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download       download (1)

그리고 저자는 에이미 추아의 <타이거 마더>에 대해서도 실랄하게 비판한다고 한다. <타이거 마더>는 저자와 대척점에 있는 스파르타식 아이 교육법에 대한 책이다.

download (2)      2011-03-23braces26808

에이미 추아는 중국계 이민 2세이다. 예일대 로스쿨 교수인데, 스파르타식 자녀 교육법으로 꽤 큰 파장을 불러 왔던 것으로 안다.

시간이 나면 두 책을 다 읽어 보고 싶다. 문제는 읽지 않은 책이 쌓이기만 한다는 거다.

Don’t Send Your Kid to the Ivy League을 읽고

페친의 페친이신 오석태 이코노미스트님께서 링크하신 칼럼을 읽었다. 생각할꺼리가 많은 글인지라 공유한다.

캡처

Don’t Send Your Kid to the Ivy League (New Republic 2014년 7월 21일자)

요약하자면,

– 능력주의 (meritocracy)로 입학 사정을 하는 Ivy League 학교들
– 명문대 입학을 위해서 스펙쌓기에 집중하지만 (르네상스를 공부하기 위한 ‘하루짜리’ 이태리 투어, 과테말라 봉사활동 등등…) 깊이가 없는 아이들.
– 생각하기를 가르치기 보다는 기술(technocratic)을 가르쳐서 좀비를 양산하는 명문학교들. 그리고 역시나 생각없이 컨설팅과 투자은행을 커리어로 선택하는 졸업생들.
– 능력지상주의는 결국 불평등을 고착시킨다. (‘다양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민족과 배경의 아이들을 뽑는다고 내세우지만, 부모들을 결국 중산층 이상의 의사나 금융업계 종사자 들이다.)
– 대안은 주립대(좀더 다양한 배경의 아이들을 접할 수 있는)나 리버럴 아트 칼리지 (liberal arts college) – 인문학 중심의 교육을 시키는 – 일 수도 있을 듯 하다.
– 우리는 신분제(aristocracy)와 능력주의 (meritocracy)를 시도해 보았다. 이제 민주주의 (democracy)를 시도해봐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허… 글이 길어 요약도 길다. 요약은 요약이니, 영어가 되는 분은 원문을 읽기를 추천한다.

비판적인 시각이 살아있는 글은 언제나 반갑다. 생각을 하게 해주니. 그런데 흥미롭게 읽고서도 내가 무엇을 해야할 지 잘 모르겠다. 미국의 명문대 시스템을 경험한 마눌님과 한국의 명문대 시스템을 경험한 나도 분명한 그림이 아직 없다. (아이가 아직 어려서 일지도…) 각 시스템의 장단점을 잘 알고 느끼기에 더욱 그러하다.

자식에 대한 기대라는 것은 어느 부모에게나 있지 않은가. 이 글을 읽고 자식을 아이비 리그에 보내지 말아야겠다라고 생각할 사람이 있을까 궁금하다. 아마 현실적으로는 내가 느꼈듯이 ‘명문대에 입학하되, 속물이 되지 않고,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칼럼을 쓴 필자도 콜럼비아를 졸업한 사람이 아닌가.

언젠가 자식을 몰래 미국에 유학보내면 진보계열 인사고, 떳떳하게 유학보내면 보수계열 인사라는 농담을 들은 적이 있다. 그 농담이 떠오르더라.

그렇긴 하지만…. 그래도 역시 글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글을 읽으면서 내가 무엇을 바라보고 대학을 갔고, 무엇을 얻었는가. 그리고 아이가 교육을 통해서 무엇을 얻었으면 좋겠는가 하는 것들을 차근차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예전에 우리나라 교육과 부모에 대한 글을 보고 짧은 감상을 남긴 적이 있다. 한국적인 상황에서는 이글이 좀더 와닿는다. (링크: 복상 ‘불안한 사회에서 부모의 욕망 비우기’를 읽고)

+ 덧(2015.6.1): 이 글을 쓰고서 찝찝한 느낌에 글을 하나 더 썼다. 아이 교육에 대해 올바로 질문하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