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ISTRUST OF SCIENCE – Atul Gawande (New Yorker)

젊은 시절 내가 전공을 바꿔가며, 그리고 가방끈을 늘려가면서 유일하게 배운게 있다면, 그것은 과학으로 세상을 보는 자세 같은 것이다.

과학은, 내가 어릴적 오해했던 것 처럼, 불가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요술 방망이나 놀라운 지식이 아니다. 아툴 가완디를 인용하자면,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에의 결단이고 a commitment to a systematic way of thinking, 관찰과 실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쌓겠다는 결의이다 an allegiance to a way of building knowledge explaining the universe through testing and factual observation.

20대를 돌이켜보면, 나는 새로운 지식 자체를 갈구했었다. 고정관념을 깨는 새로운 지식을 얻고서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기계는 어떻게 움직이는지,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지, 사람의 마음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게 되는게 신기했다. 기존의 지식을 새로운 지식으로 바꾸는 그 경험에만 열광했던 것이다.

그리고 언제 부터인가 과학이 단순히 놀라운 지식을 의미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천문학자 Hubble을 인용하자면, 과학은 건강한 회의주의이며 healthy skepticism, 판단을 보류하는 것이며 suspended judgement, 훈련된 상상력 disciplined imagination 이다.

불변하는 지식은 없다. 과학적인 지식은 단지 가능성이 높은 근사치 probable knowledge 이다. 언제나 반례가 존재할 수 있다. 세상을 열린 마음으로 보고서 가설을 세우며 (또는 다른 이의 가설을 받아들이고) 사실 관찰을 통해서 자신의 가설을 검증해 간다. 어느정도 관찰이 진행된 후에 자신의 가설을 수용할 건인지 기각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과학은 세상을 근사치로 (또는 모델로) 이해하고 그 근사치는 계속해서 수정 보완 되어 간다. (successive approximation)

아툴 가완디가 어제 칼텍에서 졸업식 축사를 했다. 그는 과학을 불신하는 현상에 대해 이야기 했다. 단어 문장 하나하나에 공감했고, 많은 생각을 불러왔기에 공유한다.

간혹 음모론에 근거하여 과학의 가장 기본 지식마저도 흔들어버리려는 시도를 볼 때가 있다. 미디어는 검증된 기초적인 과학 지식을 흔들 때 종종 ‘주류’ 과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충분히 교육받은 이들이 ‘주류’, ‘비주류’라는 구분짓기에 흔들리고, 필요이상으로 회의를 하게 되는 것을 볼 때마다 의아해 진다. 그리고 그럴때마다 나는 자신을 다시 돌아본다.

과학은 직관에 반하는 이야기를 할 때가 많다. 그것은 과학이 직관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관찰과 실험에 의해 입증되는 proven 것이기에 그러하다.

THE MISTRUST OF SCIENCE by Atul Gawande, 6월 10일자 New Yorker

The New Yorker

(image source: 해당 기사)

Beautiful stories about Oliver Sacks by Atul Gawande

이번 주 뉴요커에 실린 글을 공유한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의 저자 아툴 가완디가 얼마 전 작고한 올리버 색스에 대해 썼다. 최근에 읽은 글 중 가장 따뜻한 글이다.

Oliver Sacks by Atul Gawande (The New Yorker 2015년 9월 14일자)

캡처

(image source: the New Yorker)

느낀점 1.
의사라는 직업은 생명을 다루는 직업이지만, 어쩔 수 없이 냉정함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의사의 직업과 작가의 마음을 동시에 가진 색스는 끊임없이 환자의 시각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나는 글을 쓰는 사람들은 (특히 문학의 경우) 누군가를 미워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글은 공감하는 능력이 없이 쓸 수 없다. 말하자면, 드라마에서 아무리 악역이라 하더라도 배경 스토리가 들어가게 되면 절대 미워할 수 없는 인간이 되는 원리랄까. 그런 점에서 가완디나 색스 같은 분들의 시선은 참 아름답다.

느낀점 2.
생의 마지막까지도 쓰기와 읽기를 멈추지 않았던 노학자에게 경의를 표한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연구를 놓지 않았고, 친구들에게 손편지를 보냈으며, 책을 읽었다. 이보다 아름답게 삶을 마칠 수 있을까.

느낀점 3.
‘어떻게 죽을 것인가(Being Mortal)’을 사두기만 하고 아직 시작을 못했다. 가완디는 이 책을 쓰는 중에 색스와 서신을 교환했다고 한다. 당시 색스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상태에서 자서전을 저술하고 있었다. 책을 빨리 읽고 싶어졌다.

덧.
색스가 임종 전에 읽고 있었다는 책이 E.M.Forster의 ‘The Machine Stops’라고 한다. 다음에 서점에 갈 일이 있으면 한번 들춰봐야겠다.

참고로 올리버 색스가 임종을 앞두고 뉴욕타임즈에 기고한 글을 같이 올려둔다.

원문: My Own Life (뉴욕타임즈 2015년 2월 19일자)

한글번역: 나의 생애 (뉴스 페퍼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