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가 세상에 남긴 것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루터를 재조명하는 기사들이 많았다. 요며칠 나는 종교개혁이 세상에 남긴 것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잊기전에 정리해본다.

나는 예전부터 루터보다는 에라스무스가 좋았다. 루터를 생각하면 혁명가, 확고한 신념의 고집스러운 신앙인이 떠오른다.

에라스무스는 르네상스의 마지막 인물이다. 그는 세상의 불확실성과 현실의 모호함을 그대로 존중했다. 온건주의자, 평화주의자였던 그는 루터와 끝까지 대립했다. 그는 종교개혁가들의 스승이었지만 종교개혁을 끝내 지지하지 않았다. ‘우신예찬’을 통해서 카톨릭의 부패를 비판했지만, 그의 개혁은 카톨릭의 안에 있었다. 결국 에라스무스는 카톨릭도 아니고, 개신교도 아닌 회색지대에서 여생을 마친다.

나는 ‘자유주의자’ 에라스무스의 경건함, 소박함, 신중함, 정직함이 더 좋다.

Erasmus (1466-1536)

.

2년전 올렸던 에라스무스 포스트
회색인간 에라스무스 (2015년 3월 5일자)

루터가 95개조 반박문을 정말 비텐베르크 성당에 게시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한다. 종교개혁을 1517년 10월 31일로 기념하는 것은 루터의 말년에 가서 이루어진 종교개혁 신성화 작업의 일환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루터가 주교에게 반박문을 보냈다는 것에는 모두 동의를 한다.

사실 날짜가 뭐그리 중하겠는가. 95개조 반박문을 계기로 종교개혁이 시작이 되었지만 종교개혁이 전파된 것은 그 이후에 루터가 목숨을 걸고 믿음을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고집했기 때문이다. 그 신념은 Sola Fide 오직 믿음, Sola Scriptura 오직 성경, Sola Gratia 오직 은혜 라는 그의 사상이다. (물론 여러가지 우연도 따랐다. 이에 대해서는 지난번 포스트 참조.)

루터에 대해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그가 근대를 열었다고 평가한다.

거칠게 요약하면 이렇다.

종교개혁은 교회의 권위를 성경의 권위로 대체했다. 여타의 고전이 그러하듯이, 모든이가 똑같이 성경을 해석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당장 루터 이후에 개신교는 수많은 교파로 갈리게 된다. 이에 양심/사상의 자유라는 관념이 형성 된다. 사상의 자유가 성경을 해석하는 일과 무슨 상관일까 싶지만 17세기만 해도 모든 사상은 성경(또는 기독교)이 기반이 되었다. 그리고 종국에 사상의 자유가 자유, 인권, 그리고 개인의 발견으로 나아가는 시발점이 되었다.

그런데 나는 이렇게 역사가 명쾌하게 설명이 되는게 항상 불편하다. 종교개혁이 이 모든 일의 계기가 되었다는 것까지 인정을 한다고 하자. 그러나 그 과정은 짧지도 깔끔하지도 않았다.

1517년에 루터가 던진 불씨로 인해 16-17세기 유럽은 전쟁터가 되었다. 구교와 신교는 200년 가까이 싸움을 한다. 종교라는 이름 아래서 벌어진 학살, 강간, 파괴는 21세기 시리아/이라크, 미얀마와 남수단에서 벌어지는 살육과 큰 차이가 없다. 이 난장판은 Peace of Westphalia 1648 베스트팔렌 조약, Act of Tolerance 1689 신교 자유령을 지나고서야 어느 정도 정리가 된다.

그래서 그 시대의 사상가들 그러니까 로크 같은 사람이 들고나온 사상이 ‘관용의 정신’이다.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종교를 개인의 영역으로 한정해야한다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주장을 한다. 정말 흥미로운 건 구교와 신교가 목숨을 걸고 싸우던 그 시기에 오히려 이슬람의 오스만 제국은 타종교 (카톨릭/개신교/정교회)에 상당히 관용적이었다는 사실이다. 지금의 이슬람을 생각하면 참 아이러니하다.

참고자료: Christianity, Islam, and Locke (the Economist, 2015년 2월 3일자)

John Locke (1632-1704)

.

어쨌든 볼테르, 루소, 흄 같은 계몽주의자들은 이를 발전시켜 결국 이신론/무신론에 이른다. 여기에 더해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구조의 변화들이 기독교의 세속화를 부추겼다. 현대에 와서 기독교는 개인의 신념으로 한정되고, 정교분리는 상식이 되었다. 현대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현대화된 기독교가 더 진정한 ‘사랑’의 정신을 반영한다고 믿는다. 그 기독교는 중세인이 믿었던 기독교와는 상당히 다른 믿음이다.

다시 루터로 돌아오자. 그래서 루터가 500년전에 95개조 반박문을 게시한게 ‘개인’, ‘인권’, ‘자유’로 연결되는 시발점이 되었을까? 그럴수도 아닐 수도 있을 것 같다. 보는 관점과 자신이 발을 딛고 서있는 생각의 뿌리에 따라 다르겠지.

사실 루터는 자신의 고집스러움, 반골기질이 역사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지 생각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의 믿음이 수많은 사람들의 피를 불렀다는 것. 그리고 또 그로인해 양심과 사상의 자유라는 사상이 꽃피게 되었다는 사실. 그런 일들을 생각하다보면 참 묘한 감정이 든다.

1517년을 생각해본다. 나는 여전히 에라스무스가 좋다. 내가 그시대 중요한 인물이었다면, 교회 내부에서의 조용한 개혁을 해보려 하지 않았을까. 그런 상상을 해보았다. 그러나 다시 루터를 생각해보면, 변곡점에 이른 어떤 순간이 오면 신은 혁명가의 손을 빌어 물줄기를 바꾸는 걸 즐기는 것 같다.

회색분자와 에라스무스

나는 회색분자이다. 흑백논리로 세상을 보는 사람들이 좀 불편하다. 내가 보는 세상은 항상 불투명하고 딱잘라 말하기 어려운 모습만 가득하다. 그렇지만 결국 세상을 바꾸는 것은 흑백 논리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Hans_Holbein_d._J._-_Erasmus_-_Louvre

네덜란드의 문화사가 하우징어 (Johan Huizinga, 1887 – 1945)는 에라스무스(1466-1536)를 이야기하면서 이렇게 썼다.

The ideal joy of life is also perfectly idyllic in so far that it requires an aloofness from earthly concerns and contempt for all that is sordid. It is foolish to be interested in all that happens in the world; to pride oneself on one’s knowledge of the market, of the King of England‘s plans, the news from Rome, conditions in Denmark. The sensible old man of the Colloquium Senile has an easy post of honor, a safe mediocrity, he judges no one and nothing and smiles upon all the world. Quiet for oneself, surrounded by books.- that is of all thing most desirable.
– Erasmus and the Age of Reformation

인생의 진정한 즐거움이 세속적 관심사로부터의 초연함과 지저분한 것들에 대한 경멸에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전원적 즐거움이 되어야 마땅하다. 이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시장의 물품 가격을 잘 알고, 영국 왕의 원정계획에 대해 소상하고, 로마에서 온 소식을 잘 알며, 덴마크의 생활환경을 꿰뚫고 있어 봐야 그게 무슨 소용인가? <대화집>에 나오는 현명한 노인은 그리 높지 않은 명예의 자리에서 안전하고도 평범한 생활을 하면서 그 어떤 것도 그 누구도 판단치 않으며, 이 세상에 대해 미소를 짓는다. 책들로 둘러싸인 채 늘 고요하게 있으면서 자족하는 것, 그것이 무엇보다도 바람직하다. (에라스뮈스 평전 – 요한 하위징아 저, 연암서가)

에라스무스는 르네상스의 마지막 인물이다. 그는 세상의 불확실성과 현실의 모호함이 그대로 존중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온건주의자, 평화주의자였던 그는 종교개혁을 일으킨 루터와 끝까지 대립했다. 그는 수많은 종교개혁가의 스승이었지만 종교개혁을 끝내 지지하지 않았다. <우신예찬>을 통해서 카톨릭의 부패를 비판했지만, 그의 개혁은 항상 카톨릭의 안에 있었다. 결국 에라스무스는 카톨릭도 아니고, 개신교도 아닌 회색지대에서 여생을 마친다.

후세는 루터의 이름을 기억한다. 당대에 학문적 깊이와 고고함으로 존경을 받았던 에라스무스는 지금에 와서 유약한 지식인, 이도저도 아닌 신학자 정도로 매도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루터는 개신교의 아버지가 되었고, 종교개혁의 기치는 서양 정신사의 물줄기를 바꾸었다.

그러할 지라도 나는 루터가 아닌 에라스무스에 더 끌린다. 루터의 신학에 동의하지만 경건함/소박함/정직함/신중함이라는 가치를 지닌 ‘자유주의자’ 에라스무스가 더 아름답게 느껴진다. 나는 영락없는 회색분자인듯 하다.

+ 참고자료: 에라스뮈스의 인문주의 – 그의 생활방식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