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며: 언제나 그렇듯이 제 포스팅의 일차 목적은 생각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다만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었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야기를 싫어하는 분들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떤 이에게는 종교적인 내용이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런 분들은 이번 연재를 읽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번 연재는 전도하고자 하는 목적이 없으며 저 자신의 신앙을 점검하는 데에 있습니다.
하나 더 덧붙이자면, 이글은 이슬람교인과 대화를 나누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글의 독자는 ‘성경과 기독교에 의문을 가진 이슬람 교인’인 셈입니다. 이점을 감안하고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
이전 글에서 저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간의 해법중에서 물질적인 방법에 대해 말씀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정신적인 방법에 대해 말하려고 합니다. 그것은 철학의 모습이 될 때도 있고 종교의 모습이 될 때도 있습니다.
정신적인 방법이 주목하는 것은 나라는 존재 입니다. 물질적인 방법이 주변의 환경을 변화시켜서 자신을 지키려고 하는 방법이라고 하면, 이것은 나 자신에 집중하는 방법입니다. 물질적인 방법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 옷을 더 껴입는 것이라고 한다면, 정신적인 방법은 건강을 키워서 추위가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세상에는 수많은 종교와 철학/사상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하나의 관점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저는 정신적인 방법에는 이러한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image source: wikipedia)
자신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종교별로 다양합니다. 이를테면, 불교의 경우는 참선을 하고, 유대교는 율법을 암송합니다. 또, 이슬람은 꾸란을 암송합니다. 저는 이러한 방법이 종교적인 열심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기준은 다를 지언정 (율법/꾸란/불경 등등…) 자신을 갈고 닦는 행위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K님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으니 이슬람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K님께서 댓글을 단 내용을 인용했습니다.
실제로 이슬람에서는, 죄를 지으면 동물을 잡는 행위를 다른 시각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죄를 지은 후 ‘진정으로’ 참회할 때만이 하나님의 용서를 받는 것인데, 자신이 ‘진정으로’ 참회하는 것을 어떻게 증명하냐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값비싼 것도 하나님의 용서를 위해 포기하는 것입니다. 당시 사람들에게 양이나 소는 고기나 우유의 근원이 되는 등 경제적 가치가 뛰어나 모두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용서를 받기 위해, 그렇게 값비싼 것을 하나님을 위해 포기함으로써 선행이 쌓이는 것이고, 선행을 쌓음으로써 자신의 악행이 용서받는 것입니다. 꾸란에서 희생물을 잡는 것과 관련하여 말하길 ‘동물의 고기를 하나님께서 받는 것이 아니며 동물의 피를 하나님께서 받는 것도 아니라. 그분께서는 그대들로부터의 경외심을 받는 것이라'(그 의미의 번역, 꾸란 제22장 37절)
K님께서는 동물을 잡는 행위에 대해서 선행을 쌓는 것이라고 표현하셨습니다. 저에게는 이말이 이슬람에서 알라께 용서를 받는 다는 것은 인간의 입장에서 무엇을 해야한다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앞에서 제가 이야기 했듯이 나라는 존재의 행위가 강조되어 있는 것이지요.
제가 다른 종교에 대해서 그렇게 많이 알지는 않지만, 나의 행위를 강조한다는 점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두가지 방법 (정신적인 방법/물질적인 방법)이 완전히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인간은 정신과 육체를 가진 존재 이기 때문에 너무 극단적으로 치우쳐져 있다면 문제가 생긴다고 봅니다. 현대 문명은 너무나도 세속화되었기 때문에 정신적인 부분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소외를 가져왔기 때문에 현대인들이 더욱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현대인들은 지구 환경을 너무나도 훼손시켰습니다. 저는 그것이 인류가 환경을 변화시켜서 불확실성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 때문에 온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덧붙이자면, 기독교 역시 종교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독교의 많은 부분은 정신적인 해법에 속합니다. 그리고 교회에 나가는 많은 분들이 교회를 정신수양을 하는 곳으로 여깁니다. 기독교도 종교의 하나이고 그러한 유익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은 정신수양으로만 보기 어려운 몇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가 ‘대속’이라는 개념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이야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 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