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의 여성과 제인에어

어제 제인에어 포스팅을 했는데, 마침 페북에 19세기 여성에 대한 글이 있길래 공유한다.

링크 (이미혜 작가의 페북 포스트)

  • 아쉽게도 위의 링크는 2016 3월 23일 현재 기준으로 깨져있네요. 참고하세요.

The Proposal. John Pettie, R.A. (1839-1893). Oil On Canvas, 1869.

(image source: wikimedia)

이 그림은 19세기의 스코틀랜드 화가 John Pettie가 그렸다. 그림에서 여성은 청혼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 여성의 반응은 기쁨이나 놀라움이 아니다. 죄지은 사람의 표정이다. 시대적 배경을 고려해야 왜 그런지 이해가 간다. 19세기 영국의 여성들은 남자와 눈을 마주치거나 감정을 표현한다거나 하면 정숙하지 못한 여자로 취급받았다.

지난번에 포스팅 했듯이 제인에어는 시대를 앞서가는 여성이었다. (링크: 영화 ‘Jane Eyre(2011)’를 보고서) 제인은 자기 의견을 말하는데 주저함이 없고, 남자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며 말하고, 주체적으로 행동한다.

고전을 읽을 때, 20세기 이전 사람들에게 ‘개인(individual)’이라는 단어가 생소한 개념이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인권/여권의 신장은 20세기에서야 이뤄졌다. 물론 고전이 지금까지 읽히는 이유는 인류에게 호소하는 보편적인 감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화적/시대적 배경까지 생각한다면 좀더 폭넓게 고전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내가 믿는 기독교 : 1. 이슬람과 기독교

# 들어가며: 언제나 그렇듯이 제 포스팅의 일차 목적은 생각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다만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었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야기를 싫어하는 분들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떤 이에게는 종교적인 내용이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런 분들은 이번 연재를 읽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번 연재는 전도하고자 하는 목적이 없으며 저 자신의 신앙을 점검하는 데에 있습니다.

하나 더 덧붙이자면, 이글은 이슬람교인과 대화를 나누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글의 독자는 ‘성경과 기독교에 의문을 가진 이슬람 교인’인 셈입니다. 이점을 감안하고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islam_christianity

—————————————————————————–

이곳에서 이뤄지는 토론을 보면서 저 또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여기 적는 이야기는 제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저는 신학/역사/인문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한 일이 없기 때문에 깊이에 한계가 있으리라 봅니다. 그러나 기독교인으로서 성경에 대한 고민은 언제나 해왔던 부분이고 저의 신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생각을 몇자 나누고자 합니다.

우선 저는 L님과 K님의 토론을 보면서 이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슬람이 꾸란을 접근하는 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꾸란은 선지자 무하메드의 계시를 기록한 책입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슬람은 꾸란의 단어 (아랍어) 하나하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암기하며, 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종교입니다.

제 생각은 선지자 모하메드가 중세(6~7세기)의 인물이 었다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무슬림의 모든 행동의 근거는 모하메드의 계시에 바탕합니다. 그런데 중세의 도덕관념과 세계관은 현대인의 눈으로는 몹시 이질적입니다.

저는 역사가 진보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옳고 그름을 떠나서, 인류는 변해왔고 이슬람 세계는 중세의 가치관(정확히 말하자면 모하메드의 계시)을 이상적으로 그리고 있기 때문에 비무슬림의 눈으로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기독교의 경우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려는 중세의 종교관은 현재까지 이어지지 않습니다. 종교개혁을 기점으로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관점은 주류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성경을 연구하므로서 성경을 통해 드러난 하나님을 더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 물론 그것은 성경을 더 잘 이해하려는 신학 연구의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기에, 성경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일을 그만 두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루터가 종교개혁 시절에 가장 열중했던 일이 독일어 성경 번역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것은 이해가 가는 일입니다. 이슬람교에서 아랍어로 씌어진 꾸란의 원문 자체를 신성시 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접근법인 것이지요.

종교개혁 이후에도 서양의 세계관은 많이 달라졌습니다. 저는 근대/현대로 오면서 인류가 겪었던 가장 큰 변화중에 하나가 ‘개인’의 발견이라고 생각합니다. 현대에 와서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개인/사회라는 개념은 비교적 생긴지 얼마 되지 않습니다. 19세기 미국의 철학자 랄프 왈도 에머슨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그는 당시 새로운 개념이었던 ‘individualism’을 ‘self-reliance’라는 말로 정리한 바 있습니다. 당시만 해도 개인주의라는 말이 없었기 때문에 ‘self-reliance’라고 정의한 것이지요.

당시 철학자들 사이에서만 논의되던 이야기는 20세기로 넘어오면서 모든 사람들에게 당연한 가치가 되었습니다. 20세기가 되면 사람들은 개인의 가치를 고귀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인류는 인권을 신경쓰기 시작했고 여성의 인권도 비약적으로 개선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겪은 비무슬림의 눈으로 무슬림 사회를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러한 사람들의 눈에는 이슬람 국가에서 인권은 무시되고, 여성은 억압된다고 비판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 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

기독교는 왜 동성애에 이토록 민감한가? (ㅍㅍㅅㅅ)

기독교는 왜 동성애에 이토록 민감한가? (ㅍㅍㅅㅅ)

Originally posted 05/29/2014 @ facebook

작년부터 미국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소식 중에 하나는 ‘XX 주가 동성 결혼을 허용했다.’ 또는 ‘대법원이 다시 기각했다/승소했다.’ 등등 이다. (또 다른 하나는 마리화나 합법화 관련 뉴스) 거의 매달 한번 이상 듣는 것 같다. 작년 오바마 대통령이 조심스레 same-sex marriage 지지 발언을 꺼낸후 더 많아 지는 추세다. 물론 내가 살고있는 조지아 주는 바이블 벨트로 불리는 종교색이 강한 지역이기 때문에 동성 결혼 허용은 아직 먼 이야기로 들리긴 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미국은 이미 여론이 동성혼 찬성이 되었다. 오바마가 지금까지 동성혼에 대한 주제를 피하다가 same-sex marriage 지지 발언을 한건 이런 계산이 깔린게 아닌가 싶다. 심지어는 요새 커밍아웃하면 cool한 사람이 되기도 한다. 얼마전 MTV에서 Faking it이라는 드라마가 시작했는데 고등학생 둘이 인기 끌려고 거짓으로 레즈인 척하는 주제의 시트콤이다. 반면에 아이러니하게도 Christian이라고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은 금기시 되는 이상한 상황까지 연출된다. 우리나라 정서로는 이해가 어렵지만, 작년에 내가 학교 다닐 때 레즈였던 친구가 술자리에서 게이 비하 발언을 했던 다른 친구를 이슈화 시켜서 결국 학기마다 주는 ‘Integrity 상’을 받았던 일도 있었다.

동성간의 결혼은 정치적으로 상당히 민감한 이슈이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려면 아직 먼 이야기다. 얼마전 김한길이 차별 금지법 제정하려다가 큰 타격을 입지 않았던가? 현재 야당이 동성혼 문제를 당론으로 이슈화 한다면 강산이 바뀌기 전까지는 야당 계속할 각오를 해야할 것 같다. 커밍아웃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는 사회적인 자살행위이다. 단, 한가지 집고 넘어갈 점은 동성혼에 관한 논의는 인권(human rights)에 관한 논의가 아니라는 것이다. 인권은 보평타당한 관점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이다. 반면 동성결혼은 민권(civil rights)의 문제로 이해가 되어져야 한다. 민권은 특정 사회에 속한 시민들에게 보장된 권리이다. 사회적으로 동성결혼에 대한 합의가 없는 상황에서 동성혼을 인권의 문제로 끌고 가는 것은 정당성이 약해질 수 밖에 없다.

조금 범위를 넓혀서 동성애에 관해 이야기 해볼까? 2002년까지도 나의 동성애에 관한 입장은 명확했다. 기독교인의 관점에서는 더욱 그러했다. 왜냐하면 성경은 다른 죄와 달리 동성애에 관해서는 한치의 망설임도 없이 죄라고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는 율법에서 뿐만 아니라 율법의 완성인 신약에서도 명확하다. 자세한 내용는 share된 article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관심있으면 읽어보길 바란다. 저자가 정말 꼼꼼하게 잘 정리해 놨다. 이 주제에 관심있는 사람은 요약해가면서 봐도 괜찮을 정도이다.

생각나는 일이 하나 있다. 2002년에 나는 캐나다에 있었는데, 캐나다는 동성애에 대해 가장 개방적인 국가 중에 하나기에 동성애자들을 접할 기회가 많다. 이때 크리스챤 친구들과 한번은 동성애자에 대해 교회는 어찌 반응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이 붙었다. 나는 정말 문자 그대로 핏대를 세워가며 동성애는 성경에서 명시된 죄악이기 때문에 성경을 진리로 고백하는 교회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싸웠다. 너무 격하게 싸워서 집에와서도 한참을 씩씩거렸던 기억이 난다. 생각해보면 그땐 정말 고지식한 열혈청년이었다. ㅎㅎ 왜 그렇게 속상하고 분하던지… 지금은 한발 물러서서 잘 모르겠다는 입장이다.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도 있고, 사회적/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동성애를 받아들이기엔 성경의 입장이 너무 명확하므로 그냥 모르겠다 정도로 판단을 유보하고 있다. 하지만 성경의 논리를 제외하고 비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볼때는 딱히 동성애를 아니라고 말할 논거는 거의 없다.

단 기독교인이 동성애자를 차별하는 것은 잘못이다. 죄인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다른 사람을 차별할 권리는 없다. 이런 점에서 동성애로 인한 차별은 민권의 문제가 아니라 인권의 문제이다. (동성혼과는 달리…) 또한 동성애의 논의를 비기독교인과 이야기 할 때, 이러한 부분에 대해 충분한 고민이 없는 상태에서 섣불리 감정적으로 비이성적인 주장을 한다면 그들에게 기독교에 대한 반감을 불러올 가능성이 아주 크다. 성경을 떠나서는 동성애에 대해서 아니라고 말할 근거가 그렇게 강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이 그사람 관점에서의 진리를 논리가 아닌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라고 이야기 할 때 사람들은 강압적이라고 생각하게 되고 꽉 막힌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될 뿐이다.

갑자기 삘받아서 장황설을 늘어 놓긴했는데 쓰다보니 좀 조심스러워진다. 괜히 민감한 주제를 다뤘나 싶기도 하다. (내 페친 인맥의 반이상이 크리스챤인데…. –;;) 뭐 이렇게 길게 쓰긴 했지만, 개인적으로 동성애가 편하지는 않다. 불편한 거는 불편한 거고 공감하지 못한다고 해도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이 말할 권리는 존중해 줘야 하지 않나 싶긴 하다. 뭐 그렇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