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이사를 마치고 영화를 세편 보았다. 이번 이사는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고단했기 때문에 위로가 필요했다. 아내와 함께 여성 취향의 영화로 세편 보았다. 제인에어(Jane Eyre(2011)), 와일드(Wild), 이너프 세드(Enough Said). 잊기 전에 시간 나는대로 하나씩 짧게 감상을 남길 생각이다. 오늘은 Jane Eyre (2011).

아내와 같이 볼만한 영화를 고를 때 제일 먼저 생각난 것은 로맨스 영화이다. 그 중에서 아내가 고등학교 때 즐겨 읽었다는 제인에어를 골라봤다. 브론테 자매의 소설은 언젠가 읽어 봐야지 하면서도 손에 잘 안갔다. 영화로 책읽기를 대신하려는 얄팍한 생각도 있었다.
요크셔와 브론테 자매
영국 리즈(Leeds)에서 버스로 1시간 반 정도 이동하면 하워스(Haworth)라는 시골 동네가 나온다. 2003년 봄에 이 동네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 당시는 브론테 자매에 별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감흥이 크지 않았다.
그래도, 기억에 남는 것은
– 요크셔 사투리
– 영국 외딴 촌동네 풍경
– 10분 정도 올라가는 언덕길
– 기념품 가게들
– 브론테 자매 박물관
– 그리고 황량한 들판 (moor) 이다.
사진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딱히 남겨둔게 없다. 요크셔 지방은 지금이나 그때나 척박하다. 어디를 둘러봐도 황량한 들판이 펼쳐져 있었다. 브론테 자매가 쓴 소설 ‘폭풍의 언덕’은 을씨년 스럽다. 소설을 읽고서 을씨년 스런 언덕이 떠오른다면 그게 딱 하워스이다.
제인에어가 로체스터가를 뛰쳐나오면서 영화는 시작한다. 이때 제인은 세상에 홀로 남겨진 기분이다. 황량한 풍광은 제인의 심정을 대변하는 듯 하다. 멀리서 잡은 카메라의 시선이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어디서 갑자기 귀신이 나와도 자연스러울 분위기. 카메라의 시선 때문인지 제인은 쫓기는 것 처럼 보인다. 그녀는 자신의 운명에서 탈출을 시도 했던 것일까.
고딕소설
고딕 소설은 쉽게 말하면 호러와 로맨스가 결합된 장르의 소설이다. 여기서 고딕은 중세의 건축 양식을 말하는 그 고딕이다.
중세의 분위기는 왠지 모르게 호러와 잘 어울린다. 무너져가는 저택과 성. 그리고 몰락한 귀족. 고1 때 에드가 앨런포의 ‘어셔가의 몰락’을 읽었는데, 이게 가장 대표적인 고딕소설이라고 한다. 유령이 나오지도 않고 잔인한 묘사가 있는 것도 아닌데, 왠지 모르게 으시시 하다. 소재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미친여자, 관, 유전병, 가문의 비밀은 고딕 소설이 즐겨 다루는 소재이다. 브론테 자매가 살았던 시대는 고딕소설이 가장 인기가 있었을 때였다.
영화에서 흥미로웠던 점 중에 하나는 실내 장면에서 인공조명을 쓰지 않았던 것인데, 이렇게 하니까 더 음침하게 느껴진다. 어두운 분위기는 우울했던 그 시절 여성들의 상황과 왠지 묘하게 어울린다.
소설을 읽는 이유 중의 하나
뛰어난 작가는 독자를 소설 속의 장소와 시간으로 인도한다. 비록 그 시대와 환경을 경험해 보지 못했어도, 소설을 읽는 동안은 내가 그 곳에 있는 것 같다. 그런 점에서 샬롯 브론테는 탁월한 작가이다. 소설을 읽다보면 (나의 경우는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를 보다보니) 당시의 영국 귀족 사회의 분위기, 그 안에서의 여성의 입장이 그대로 다가온다. 현대인의 눈으로 보기에는 제인의 행동이나 반응이 답답해 보일런지 모르겠으나,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여성상이었을 것이다.
(참고: 19세기 영국 여성에 대한 이야기)
소설을 읽는 방법 중 하나는 ‘이럴 때 나라면 어찌 했을까’를 떠올려 보는 것이다. 나는 여자도 아니고 그 시대에 영국을 경험해 본 사람도 아니지만, 영화보는 내내 ‘내가 제인이었다면’ 하는 생각이 머리 속을 떠나지 않았다. 내가 딸이 없었고 미혼이라면, 여성의 삶 / 가정 생활에 대해 아무 생각이 없었을 것이고, ‘제인에어’에 공감하고 느끼는 바가 달랐을 것이다. 그래서 고전이라는 것은 경험이 쌓여가며, 나이를 먹어가며 다시 읽는 책인가 싶다.
책이 사람의 인생을 바꿀 수 있을까. 그렇게 희망적이진 않다. 책 몇 권 읽는다고 달라지는 사람이 더 이상하다. 그런 경험이 있다고 누군가 반론을 제기한다면, 나는 책의 힘이 라기 보다는, 책을 읽은 사람의 힘이라고 말해줄 것이다. 책은 들을 만한 귀가 있는 사람에게만 말을 한다.
잘 씌여진 책은 독자에게 말을 한다. 책을 통해서 나와 다른 누군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고, 공감하게 되고, 이해하게 되는 일이 일어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잘 쓰여진 책을 읽는 일은 의미가 있다.
기타 등등
제인에어는 청소년 시절 아내의 인생의 책 중에 하나이다. 아내는 워낙 책을 잘 알고 있어서 인지 영화에는 좀 실망했다. 우선 제인의 고아원 시절의 이야기가 생략되었고, 스토리가 더 단순하다고 하다. 뭐 영화와 소설이 같을 수가 없으니 이해가 가는 일이다.
그것 말고도, 아내는 주연배우의 외모에 실망했다고 한다. 책에 그려진 모습과 딱맞는 배우를 찾기는 쉽지 않다. 나는 책을 읽지 않았기 때문에, ‘나의 제인이 이럴리 없어…’ 같은 느낌은 받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