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대선에서 드러난 교회의 분열

이번 프랑스 대선에서 나타난 (가톨릭) 교계 표심에 대한 기사.

세계 각지에서 보이는 양극화의 물결은 프랑스 카톨릭 계도 예외가 아닌듯. 강력한 세속주의를 기반으로 한 나라 프랑스에서도 종교/윤리 문제가 이번 대선에서 이슈가 되었다는 내용이 흥미로워 저장해 둔다.

프랑스 대선에서 드러난 교회의 분열 (가톨릭 뉴스, 5월 11일자)

Image result

Emanuel Macron (1977- )

.

미국 정치와 보수 기독교 가치관에 대한 생각들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한 개인으로서 가끔 드는 의문이 있다. 왜 소위 복음주의 기독교인은 강력한 보수주의자가 되는 것일까. 물론 이건 미국 정치 이야기다.

Image result for evangelical politics

미국 정치에서 낙태는 항상 중요한 이슈였다. 그리고 최근에 동성애 이슈가 더해졌다. 몇몇 보수적인 복음주의자들에게는 낙태 금지가 너무나도 중요하기에 pro-life라는 이유 만으로 특정 후보를 지지하기도 한다. (우리말로는 낙태 반대/찬성으로 쓰는 게 맞겠지만, 여기서는 pro-life/pro-choice로 표기하기로 하자.)

그렇다. 특정후보는 트럼프를 말한다. 처음부터 트럼프가 보수 기독교인들의 표심을 대변하지는 않았다. 공화당 경선에서 마지막까지 트럼프를 추격했던 테드 크루즈가 오히려 보수주의 기독교인을 대변했다고 보는 게 더 타당하다.

관련한 이전 포스트
공화당 경선 정리: 트럼프와 크루즈 (05/06)

점잖은(?) 기독교인들에게 트럼프는 너무나도 저속하고 세속적인 사람이다. 그는 대법관으로 pro-life 노선인 사람을 지명하겠다고 하면서 보수적 복음주의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를 두고서 어떤 이들은 대법관에 보수적인 인사를 지명하겠다고 약속만 한다면 복음주의자들은 누구에게라도 표를 던질 것이라고 비아냥 거린다.

사실 트럼프는 낙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조차 없어보인다. (정확히 말하면 낙태 말고도 대부분의 이슈에 대해서도 조금만 깊이 들어가면 무지가 금새 드러난다.) 이번주 수요일 마지막 대선 토론에서 낙태 이슈가 언급되었다. 그는 힐러리가 말하는 대로 하면 임신 9개월된 태아를 자궁에서 꺼내는 비극이 일어날 것이라며 pro-life를 지지한다고 했다. “If you go with Hillary is saying, in the ninth month you can take the baby and rip the baby out of womb of the mother.”

그가 낙태의 끔찍함을 표현하려는 의도는 이해(?)하지만 미국에서 낙태가 합법이라고 해서 실제 그런일이 일어나진 않는다. 산모의 생명을 위협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서는 9개월 된 태아는 인큐베이터에 넣는게 보통이다. 이 과정에서 아이를 사산하게 되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임신 후기로 넘어가면 낙태하는 경우가 원칙적으로 없다고 봐야한다. 그리고 일부 주는 법으로도 이를 금지하고 있다.

관련 기사

어쨌든 원래 이야기로 돌아가자. ‘대법관’ 선정 이슈를 이해하려면 조금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미국 대선에서 후보의 진보/보수 여부가 중요한 이유는 미국 대법원이 가진 독특한 위상 때문이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헌법을 해석하고 판결을 내리는 독자적인 권한이 있다. 미국 헌법이 워낙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고 모호하게 쓰여져서 그렇다. 그리고 그렇게 내려진 연방 대법원의 판례는 향후 다른 재판의 근거가 된다.

미국에서 낙태는 1973년 Roe v. Wade 건 이후 합법이 되었다. 미국 보수 기독교계는 이를 뒤집으려고 오랜시간 노력해왔다. 그러다보니 9명의 판사가 다수결로 판결을 내리는 연방 대법원에서 대법관의 진보/보수 구성비가 중요하다. 그리고 종신직인 대법원관을 임명하는 권한을 가진 대통령의 진보/보수 여부가 정치적 쟁점이 되는 것이다. 대법원은 이미 1명이 공석이고,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2~3명의 신입 대법관의 보수/진보 구성비가 바뀐다.

관련 포스트
미국 낙태 이슈 관련 논점들 (07/01)

이번 선거에서 보수 기독교 유권자층은 혼란을 겪고 있다. 기독교인들을 혼란에 빠뜨린 것은 트럼프이다. 트럼프 이전, 보수 기독교 유권자들은 대선 후보자들이 보수적인 가치관을 가졌는가를 먼저 판단했다. 그리고서 그 후보자가 대법관으로 보수적인 인물을 선정할 것인지를 가늠해 보고서 지지 여부를 결정했다.

트럼프는 이 과정을 역으로 뒤집었다. 본인이 먼저 유권자들에게 ‘pro-life’ 재판관을 선임한다고 약속한 것이다. 그런데, 트럼프의 언행은 저속할 뿐 만아니라 그는 기독교적 가치관과는 정반대로 행동한다. 그는 최소한의 가식적인 예의도 없다.

트럼프의 언행은 기독교 유권자들이 쉽게 (또는 떳떳하게) 공화당을 지지하기 어렵게 한다. 대표적으로 비디오 테입 유출 사건 이후로 유타주의 이탈현상이 특히 두드러진다. 트럼프에게 도저히 표를 못 주겠다는 사람들이 제3후보 맥멀린을 지지하고 나선 것이다. 맥멀린은 제 3후보로는 이례적으로 유타에서 22%의 지지율을 보인다. 물론 유타가 맥멀린을 뽑을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만약 그가 당선되면 1968년 이후 매번 공화당을 지지했던 유타로서는 큰 이변이다.

그렇다면 대법관 선정 이슈를 떠나서 개인 도덕성에 대해서 기독교인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지난주에 발간된 한 조사에 의하면 61%의 미국인들이 개인의 도덕성과 대통령 후보의 자질은 무관한다고 답했다. 불과 5년 전에 같은 질문에 44%였던 것을 생각하면 큰 변화이다. 흥미로운 것은 동일한 질문을 백인 복음주의자 기독교인에게 했을 때, 72%의 사람이 도덕성과 대통령의 자질이 무관하다고 답했다는 사실이다. 놀랍게도 이 그룹은 5년전에 30% 만이 무관하다고 답했다. 예외가 유타주의 몰몬들이다.

(한국 기독교 기준으로 몰몬은 이단이지만, 미국에서는 이단에 대한 적대감이 그리 크지 않고 오히려 도덕적인 이슈에서는 기독교와 몰몬은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는 편이다. 그래서 대체로 미국 정치 분석에서는 몰몬을 기독교 유권자에 포함 시킬 때가 많다.)

관련 여론 조사 출처

Clinton maintains double-digit (51% vs. 36%) lead over Trump | PRRI/Brookings Survey

***

다시 처음 질문으로 돌아와서, 왜 기독교인은 보수적인 정치색을 보일까.

기독교 안에서 다양한 정치 스펙트럼을 살펴보자. 사실 모든 기독교인이 보수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런 관점에서 내게 2주전에 있었던 부통령 후보 토론은 몹시 흥미로웠다. 둘의 토론은 종교적 신념을 가진 두 정치인이 어떻게 다른 정치적인 행동을 하는가를 잘 보여준다.

펜스에 대해서는 예전에 한차례 포스팅한 적이 있다. 펜스는 학부시절 예수를 만나고 회심한 이후로 자신의 삶을 주님께 바쳤다고 공개적으로 말하는 사람이다. 소위 말하는 신실한 기독교인으로 사람들이 그의 앞에서는 비속어를 말하기도 불편함을 느낀다고 한다.

그가 전국구 정치인으로 부상한 것은 작년 인디아나 주에서 낙태를 제한하는 법을 통과 시키면서 이다. 그는 태아를 생명으로 믿고, 그 신념하에서 인종, 성별, 유전병 같은 어떤 이유로도 낙태 시술을 하는 것은 금지시켰다. 그는 생명은 어떠한 이유로도 차별을 받을 수 없다고 말했고, 기도하는 마음으로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한다. 물론 이 법은 현재 연방 대법원에서 위헌 판정을 받은 상황이다.

관련 포스팅
테드 크루즈와 마이크 펜스 (07/21)

팀 케인 역시 종교적인 가치를 중요시 여기는 사람이다. 그는 학부시절 1년을 휴학하고 예수회 선교사로 온두라스에서 선교활동을 한 경력이 있다.

그는 최근 NCR (카톨릭 뉴스)에서 개인의 종교 신념과 공직으로 정치인의 입장이 충돌 하는 상황에 대한 어려움에 대해 토로한 바 있다. 그는 개인적으로는 심지어 히틀러 조차도 사형을 시행하기를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기독교인인 동시에 국가의 시민이고 법원의 판결을 존중하기에 버지니아 주지사로서 11건의 사형집행을 진행시켰다고 한다.

팀 케인의 말을 인용한다. “The hardest thing about being a governor was dealing with the death penalty. I hope on Judgement Day that there’s both understanding and mercy, because it was tough.”

관련 기사
Spiritually motivated: How Tim Kaine navigates his faith and politics, NCR, 08/25

부통령 후보 토론에서도 낙태 이야기가 나왔다. 펜스는 평소대로 자신의 신념을 말한다. 하나님이 창조한 생명인 태아를 지우는 일은 있을 수 없다고 한다. 그러면서 팀 케인에게 되묻는다. 생명을 존중하는 후보께서 어찌 pro-choice를 지지할 수 있는가?

팀 케인은 여기서 직답을 회피하고 화살을 트럼프에게 돌린다. 트럼프는 낙태한 여성을 처벌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에 펜스는 트럼프가 세련된 정치인 polished politician은 아니지 않냐면서 쉴드를 친다.

여담이지만, 부통령 후보 토론은 본인들의 토론의 승패가 중요하지 않기에 결국은 서로의 대통령 후보를 방어하거나 상대방측 후보를 비판하는게 주가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올해 토론이 정확히 그랬다.

부통령 후보 토론 스크립트

그렇다면 팀 케인의 평소 입장은 어떨까. 그는 낙태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은 있지만, 정부는 여성들에게 결정을 할 권리를 주여야 한다고 말했었다. “I’ve got a personal feeling over abortion, but the right role of government is to let women make their own decisions.”

개인적으로는 케인의 의견에 80% 쯤 동의한다. 여기에 내 의견을 더하자면, 개인의 종교적인 (또는 도덕적인) 신념의 옳고 그름을 떠나서 동일한 신념을 가지지 않고 있는 타인에게 그 가치를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생각한다. 낙태를 금지할 때 그 부담을 지고갈 당사자는 국가가 아니다. 약간의 비약을 감수하고 단순하게 말하자면, 이는 국가차원에서 이뤄지는 꼰대질이 아닐 수 없다.

어쨌든 케인의 이러한 애매(?)한 입장은 비판을 받기 딱 좋다. 실제로 펜스는 토론회에서 케인이 pro-choice를 지지한다고 하면서도 Hyde Amendment를 지지하는 것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참고로 Hyde Amendment는 연방정부가 낙태에 재정적인 지원을 하는 것을 제한하는 법이다. pro-choice인 힐러리가 폐지 하려고 하는 법안이지만 기독교인 케인은 Hyde Amendment를 지지한다.)

강경한 pro-life인 펜스 입장에서는 이해하지 못할 이야기이다. 위선이나 박쥐 같은 행동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선으로 보는 것은 상황을 너무 단순하게 파악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공적인 영역에서 pro-choice를 지지한다고 해서 그것이 낙태를 권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나름대로 결론을 맺는다. 현대에 와서는 정치인 뿐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도 애매하고 불확실한 사안에 대해 결정할 것을 강요당한다. (때로는 결정을 하지 않는 것 조차 결정이다.) 그리고 사안에 따라서 종교적 신념과 정치적 방향, 그리고 이념적 노선은 자주 충돌하게 마련이다.

이런 때에 정치에서는 선명하고 분명한 입장을 취하는 분들은 인기를 얻는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다면적인 현실을 살아가는 유권자들이 모두 분명한 입장을 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나 삶을 진지하게 살아가려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선택들은 더욱 어렵고 본질적인 문제가 된다. 매일의 삶에서 복잡한 현실을 그대로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가치관을 재점검하며 행동을 바로잡는 일은 누구나 해야하는 일이 아닌가. 최소한 내가 이상적으로 그리는 신앙인의 모습에 따르면 그러하다.

한때는 유권자층의 종교와 지지자의 종교의 일치 여부가 중요한 시절이 있었다. (예를 들자면 케네디 시절 그의 캐톨릭 신앙은 선거에서 상당한 논란이 되었다.) 지금은 후보자의 신앙 자체가 선거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한국도 이제는 그렇지 않다고 믿고 싶다. 장로님 대통령은 도대체 무슨 의미인가.)

다만 지금에 와서도 유권자들이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선명한 이념이나 또는 (특히 미국의 경우) 종교적인 가면 뒤에는 대부분 정치적인 계산들이 숨어있다는 사실이다.

여성의 의복과 종교에 대한 단상들

1.
터키의 노벨문학상 작가 오르한 파묵이 정치소설을 하나 쓴 적이 있다. 제목은 ‘눈’이다. ‘눈’에는 아래와 같은 세속주의자와 이슬람 근본주의자의 대화가 나온다. (편의상 A와 B로 칭한다.)

Image result for orhan pamuk

Orhan Pamuk (1952 – )

.

A: 여자들이 히잡을 벗고 머리를 내놓는 것이 이 나라에 무슨 이익을 주지? 히잡을 벗으면 유럽인들의 대우가 달라지나?

서구화에 대한 이슬람 근본주의자의 입장을 대변한다.

B: 나도 딸자식이 있어. 히잡을 쓰지 않았지. 아내가 히잡을 쓰는 일에 간섭하지 않는 것처럼. 난 여식에게도 간섭하지 않네. (중략) 내 딸은 ‘아버지, 저 역시 모든 여학생들이 히잡을 쓰고 들어오는 교실에 머리를 드러내놓고 입실하는 용기를 내지는 못할 거예요. 할 수 없이 히잡을 쓸 거예요.’ 라고 말했네.

히잡을 쓰지 않을 권리를 말하는 세속주의자의 항변이다.

이어서 B: 내 딸의 변명은 동시에 다른 많은 터키 여성의 변명이기도 하네. 여성이 히잡을 벗는다면, 사회에서 살아가기가 더 편하고, 더 존경받는 위치에 있게 될 걸세.

히잡이 여성을 억압한다는 세속주의자의 의견이다.

A: 히잡은 여성을 불편, 겁탈, 모욕으로부터 보호하고, 사회 속에 더 편히 나갈 수 있게 만들어. 과거에 밸리 댄서였던 멜라핫 샨드라를 포함해 나중에 히잡을 쓰게 된 많은 여성들이 밝혔듯이, 히잡은 여성들로 하여금, 길거리에서 남자들의 동물적인 감정에 호소하는가하면, 더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해 다른 여성들과 경쟁을 하고 이 때문에 화장을 해대야 하는 가련한 존재에서 벗어나게 했지.

Image result for orhan pamuk kar

오르한 파묵, ‘눈’

.

참고로, 터키는 이슬람 국가이다. 그리고 프랑스와는 반대로 이슬람의 입장에서 세속주의, 즉 정교분리 원칙을 채택한 나라이다. 프랑스처럼 학교에서 히잡을 금지하였었다. 그러나 2013년에 이 법은 폐지 되었다.

참고자료: 세속주의라는 또 다른 이데올로기: 사람들은 왜 에르도안에 열광할까? (산타크로체 블로그)

두사람의 대화는 평행을 달린다. 서로 귀를 막고 대화를 하던 끝에 근본주의자 A는 세속주의자 B를 살해한다.

2.
‘눈’에서 내가 인상깊게 읽은 다른 구절은 다음과 같다. 소설의 초반부에서 세속주의자도 이슬람 근본주의자도 아닌 주인공 카는 이렇게 말한다.

“터키에서 신을 믿는다는 것은, 가장 숭고한 사고 가장 위대한 창조자와 홀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집단 어떤 단체에 들어가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3.
세속주의자들은 무슬림 여성의 히잡을 벗기는 일이 여성을 해방시키는 일이라고 믿는다. 그들의 견해에 따르면, 히잡을 쓰는 여성의 결정은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인 무형의 압력에 굴복하는 일이다.

그러나 서구사회에서 히잡착용은 반대의 의미를 가진다. 이슬람이 소수인 곳에서는 히잡착용이 반대로 사회적인 압력에 저항하는 행위이다.

프랑스 공화주의자들은 이를 세속주의에 대한 무슬림 집단의 분노라고 말한다.

Image result for hijab

히잡을 쓴 여성 (출처: wikipedia)

.

4.
나는 꽤나 보수적인 신앙을 가진 교회에서 컸다. 여름이 되면 나의 교회는 성도들의 복장을 주의시키는 일을 잊지 않았다. 서로가 시험에 들지 않기 위해, 짧은 치마, 끈나시, 슬리퍼를 자제해 달라는 이야기였다. 그리고 누군가가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 오면 어김없이 따가운 시선이 꽂혔다.

5.
법으로 복장을 규제하는 프랑스, 터키의 사례와 한국 보수적 교회안에서의 복장 권고를 동일 선상에 놓고 비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왜 종교는 여성의 복장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6.
꾸란을 우선 보자. 히잡의 근거가 되는 구절은 33:59이다.

“예언자여 그대의 아내들과 딸들과 믿는 여성들에게 베일을 쓰라고 이르라 그때는 외출할 때라 그렇게 함이 가장 편리한 것으로 그렇게 알려져 간음되지 않도록 함이라 실로 하나님은 관용과 자비로 충만하심이라”

꾸란에 근거하여, 무슬림들은 히잡이 여성을 보호한다고 항변한다. 그리고 강간과 모욕, 불필요한 시선에서 여성을 자유하게 한다고 말한다. 이는 소설 ‘눈’에서 등장하는 근본주의자의 생각과 일치한다.

그렇다면 성경은 어떻게 말하고 있을까.

“무릇 여자로서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 (고린도전서 11:5)

천주교에서 미사를 볼 때에 여성이 흰천을 쓰는 전통은 이에 근거한다. 다만 현대에 와서 천주교는 이를 강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독교는 성경의 정신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 전통을 폐지 시켰다.

7.
내가 아는 바로는 무슬림에게 신앙은 꾸란을 글자그대로 지키는 것이다. 꾸란은 알라의 말씀이다. 아랍어로 쓰인 경전 자체를 신성하게 여기는 무슬림은 원어의 의미를 해치지 않기 위해서 번역본을 사용하는 것조차도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한한다. (예를 들어 아랍어를 모른다거나…) 그리고 신자에게 아랍어를 배울 것을 권장한다.

이슬람과 교회(여기서는 천주교, 기독교를 합쳐서 교회라고 그냥 칭하기로 한다.) 모두 동일하게 ‘경전’을 중요시하는 종교이다. 그러나 교회는 종교개혁 이후에 번역된 성경도 권위를 인정하였다. 그리고 성경을 글자 그대로를 따르기 보다는 성경을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을 더욱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사소해보이는 이 변화는 생각보다 큰 차이를 가져왔다. 문자 그대로의 해석이 이슬람을 중세(선지자 무하메드 시절)의 세계관에 머물러 있게 만들었다면, 교회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관습에 열린 태도를 갖게 된 것이다.

8.
시간이 된다면 이어서 교회가 종교개혁 이후 어떻게 바뀌었는지 (특히 이슬람과 비교해서), 그리고 존 로크를 살펴보면서 세속주의와 계몽주의가 서구사회와 교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생각해볼 계획이다.

종교적인 주제의 포스트는 부담스럽지만, 어쨌든 burkini를 시작으로 연결되는 이번 포스트에서 종교 이야기를 빼놓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9.
오늘의 이야기를 맺으며 성경과 하디스(이슬람의 또다른 경전)를 인용한다. 둘다 내가 좋아하는 구절이다. 그리고 의복 논쟁을 둘러싼 나의 결론 이기도 하다.

“나의 보는 것은 사람과 같지 아니하니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 (사무엘상 16:7)”

“Allah does not look at your figures, nor at your attire but He looks at your hearts [and deeds]” Chapter 1 – Hadith 7

관련 포스트
프랑스의 수영복 전쟁
프랑스와 세속주의 laïcité (라이시테)
여성의 의복과 종교에 대한 단상들
이슬람 여성 복장을 둘러싼 논의를 살펴보면서…
일상이 된 테러의 위협

미디어가 과학을 소비하는 법, 그리고 그 폐해

“Science is by its nature imperfect, but it is hugely important.”

블로그에서도 몇번을 언급했지만, 나는 John Oliver쇼의 애청자이다. 지난 주말 방송은 그중에서도 베스트로 꼽을만 했다. Vox에서 지난 주 에피소드를 소개하길래 공유한다.

John Oliver exposes how the media turns scientific studies into “morning show gossip” (Vox, 5월 9일자)

존 올리버도 언급하지만, 오늘날 미디어가 과학을 소비하는 방식은 철저하게 가십 위주이다. 이를테면, 커피가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든가, 방귀가 암예방에 도움이 된다든가 등등…

미디어의 가십위주 과학 소비는 대중의 인식 속에 과학을 흥미거리로 전락시켰을 뿐 아니라,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가치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 뉴스를 듣다보면 도대체 커피가, 포도주가, hug가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 해가 되는지 알 수 없다. 그저 자기 편한대로 끌어다가 믿어버리면 된다.

이는 대중이 유사과학을 맹신하게 하는 부작용마저 만들고 있다. ‘기후 변화는 거짓이다’나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 같은 터무니 없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과학적으로는 유의성이 약한) 이야기가 최근 힘을 얻는 배경이기도 하다. 이 두가지 명제는 이미 과학자들 사이에서 거짓이라는 과학적 공감대 scientific consensus가 형성되어 있는 바이다.

“No! No, no, no, no, no, no, no, no! In science, you don’t just get to cherry-pick the parts that what you were going to do anyway. That’s religion. You’re thinking of religion.”

다시한번 깊이 공감하게 되는 John Oliver 이야기. 과학은 종교가 아니다. 대중은 ‘섹시’한 결론만을 듣고 싶어하지만, 과학은 느리게 오랜 시간에 걸쳐 검증되어 가는 과정과 방법론 그 자체이다.

Capture

돈키호테와 산초 – 두려움에 대하여

두려워하는군, 산초야. 네 마음 속의 두려움이 네가 올바르게 듣지도 보지도 못하게 하는 것이다. 두려움의 효력이 바로 마음을 혼란스럽게 하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Don_Quijote_and_Sancho_Panza

두려움은 영혼을 갉아먹는다. 딸아이가 두려움을 호소할 때가 있다. 유난히 겁이 많은 편이라 눈앞에서 잠시만 부모가 없어도 난리가 난다. 어떻게 두려움을 대처해야 하는가 잘 가르쳐주고 싶다.

가장 편한 방법은 아빠가 항상 옆에 있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효과적이지만, 일시적인 해법이다. 나는 그것이 지킬 수 없는 약속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부모가 자식을 평생 지켜주는 것은 불가능하다.

두려움은 대부분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을 만났을 때 생겨난다. 초자연적인 현상이나 갑작스런 놀래킴은 공포영화의 단골 소재이다. 나쁜일도 미리 예측이 가능하고, 대처가 가능하다면 공포의 대상이 아니다. 내게 있어 가장 힘든 것은 나쁜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그 은근한 긴장감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이다.

두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을 것 같다. 과학의 방법과 종교의 방법. 무지의 영역을 지식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과학의 방법이고, 무지의 영역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종교의 방법일테다.

딸이 가장 배우지 않았으면 하는 것은 두려움의 영역을 짖밟고 부정하는 것이다. 두려움에 가득찬 사람들은 사물을 그대로 보지 못하며 사실을 사실 그대로 보지 못한다. 사람들이 상식적인 이야기를 못하는 것을 볼 때마다, 저 이는 무엇이 그렇게 두려운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내가 믿는 기독교 : 5.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들어가며: 언제나 그렇듯이 제 포스팅의 일차 목적은 생각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다만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었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야기를 싫어하는 분들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떤 이에게는 종교적인 내용이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런 분들은 이번 연재를 읽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번 연재는 전도하고자 하는 목적이 없으며 저 자신의 신앙을 점검하는 데에 있습니다.

하나 더 덧붙이자면, 이글은 이슬람교인과 대화를 나누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글의 독자는 ‘성경과 기독교에 의문을 가진 이슬람 교인’인 셈입니다. 이점을 감안하고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

이전 글에서 저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간의 해법중에서 물질적인 방법에 대해 말씀 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정신적인 방법에 대해 말하려고 합니다. 그것은 철학의 모습이 될 때도 있고 종교의 모습이 될 때도 있습니다.

정신적인 방법이 주목하는 것은 나라는 존재 입니다. 물질적인 방법이 주변의 환경을 변화시켜서 자신을 지키려고 하는 방법이라고 하면, 이것은 나 자신에 집중하는 방법입니다. 물질적인 방법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 옷을 더 껴입는 것이라고 한다면, 정신적인 방법은 건강을 키워서 추위가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세상에는 수많은 종교와 철학/사상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하나의 관점으로 보는 것은 무리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저는 정신적인 방법에는 이러한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RELIGIONES

(image source: wikipedia)

자신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종교별로 다양합니다. 이를테면, 불교의 경우는 참선을 하고, 유대교는 율법을 암송합니다. 또, 이슬람은 꾸란을 암송합니다. 저는 이러한 방법이 종교적인 열심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기준은 다를 지언정 (율법/꾸란/불경 등등…) 자신을 갈고 닦는 행위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K님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으니 이슬람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K님께서 댓글을 단 내용을 인용했습니다.

실제로 이슬람에서는, 죄를 지으면 동물을 잡는 행위를 다른 시각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죄를 지은 후 ‘진정으로’ 참회할 때만이 하나님의 용서를 받는 것인데, 자신이 ‘진정으로’ 참회하는 것을 어떻게 증명하냐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값비싼 것도 하나님의 용서를 위해 포기하는 것입니다. 당시 사람들에게 양이나 소는 고기나 우유의 근원이 되는 등 경제적 가치가 뛰어나 모두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용서를 받기 위해, 그렇게 값비싼 것을 하나님을 위해 포기함으로써 선행이 쌓이는 것이고, 선행을 쌓음으로써 자신의 악행이 용서받는 것입니다. 꾸란에서 희생물을 잡는 것과 관련하여 말하길 ‘동물의 고기를 하나님께서 받는 것이 아니며 동물의 피를 하나님께서 받는 것도 아니라. 그분께서는 그대들로부터의 경외심을 받는 것이라'(그 의미의 번역, 꾸란 제22장 37절)

K님께서는 동물을 잡는 행위에 대해서 선행을 쌓는 것이라고 표현하셨습니다. 저에게는 이말이 이슬람에서 알라께 용서를 받는 다는 것은 인간의 입장에서 무엇을 해야한다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앞에서 제가 이야기 했듯이 나라는 존재의 행위가 강조되어 있는 것이지요.

제가 다른 종교에 대해서 그렇게 많이 알지는 않지만, 나의 행위를 강조한다는 점에 있어서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두가지 방법 (정신적인 방법/물질적인 방법)이 완전히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인간은 정신과 육체를 가진 존재 이기 때문에 너무 극단적으로 치우쳐져 있다면 문제가 생긴다고 봅니다. 현대 문명은 너무나도 세속화되었기 때문에 정신적인 부분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이 우리에게 소외를 가져왔기 때문에 현대인들이 더욱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현대인들은 지구 환경을 너무나도 훼손시켰습니다. 저는 그것이 인류가 환경을 변화시켜서 불확실성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 때문에 온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덧붙이자면, 기독교 역시 종교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독교의 많은 부분은 정신적인 해법에 속합니다. 그리고 교회에 나가는 많은 분들이 교회를 정신수양을 하는 곳으로 여깁니다. 기독교도 종교의 하나이고 그러한 유익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은 정신수양으로만 보기 어려운 몇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그중에 하나가 ‘대속’이라는 개념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이야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 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

내가 믿는 기독교 : 4.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들어가며: 언제나 그렇듯이 제 포스팅의 일차 목적은 생각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다만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었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야기를 싫어하는 분들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떤 이에게는 종교적인 내용이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런 분들은 이번 연재를 읽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번 연재는 전도하고자 하는 목적이 없으며 저 자신의 신앙을 점검하는 데에 있습니다.

하나 더 덧붙이자면, 이글은 이슬람교인과 대화를 나누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글의 독자는 ‘성경과 기독교에 의문을 가진 이슬람 교인’인 셈입니다. 이점을 감안하고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

지난번 이야기에 이어서 몇가지 이야기를 덧붙이려고 합니다.

오늘은 K님의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그러니까 ‘대속’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대속에 대한 이야기는 좀 길어 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대속에 이야기는 그 전제(인간의 상황)가 없이 설명이 되지 않는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제게 ‘대속’ 이야기는 개인적인 신앙고백입니다. 저는 기독교 신앙은 ‘성경’과 ‘대속’이 핵심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L님이 신학을 공부 했던 입장에서 성경적인 관점으로 잘 설명해 주리라 믿습니다만, 거기에다 제 신앙고백을 덧붙이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일이 될 것 같아서 이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불확실성과 금융이야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금융 이야기를 하는 것은 제가 그나마 조금 아는 주제이기도 하고, (저는 MBA에서 금융을 전공했습니다.) 현대 물질 문명이 불확실성을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대해 말하는 것이 이야기의 실마리를 푸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서 입니다. 조금 전문적인 이야기가 나오는데, 제 능력한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보겠습니다.

1921년 경제학자 프랭크 나이트는 ‘리스크, 불확실성, 그리고 이윤’이라는 책을 발표합니다. 그가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인간의 경제 활동에는 리스크(risk)와 불확실성(uncertainty)이 존재하는데, 리스크는 계측이 가능한 대상인 반면에 불확실성은 계측이 불가능한 대상이라는 말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현대 금융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금융학은 거칠게 말하자면 (특히 금융공학의 경우) 이 리스크에 대해서 다루는 학문입니다. 1970년대에 들어 블랙과 슐츠는 통계학/미적분학을 기반으로 블랙-슐츠 방적식을 발표합니다. 이 방정식이 발전해서 1990년대 금융공학이 학문으로 태어납니다. 현대의 주식시장에서 옵션과 트레이딩, 파생상품은 상당수가 이 이론을 바탕으로 합니다.

문제는 현대의 금융이론은 리스크(계측 가능한 것)에 너무 집중한 나머지 불확실성(계측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2008년에 있었던 금융위기에 세계 경제가 대책없이 무너지기만 했던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입니다. 저는 이것이 금융만의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만들어낸 물질문명, 즉 자본주의는 인간의 방법으로 각종 상황에 대해서 대비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고작해야 일부 계산 가능한 리스크에 대해서만 대처가 가능할 뿐입니다.

주로 학문적인 이야기를 했지만, 기실 불확실성의 문제는 우리가 매일 마주치며 사는 문제 입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는 밥을 먹지 않으면 배고프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매일 끼니를 챙겨 먹습니다. 교통사고가 나지 않기 위해 교통법규를 준수하고 삽니다. 추위를 막기 위해 옷을 입고, 외부의 위협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집을 짓습니다. 인간은 존재하고 살아가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불확실성에서 자신을 지키고자 합니다.

그러나, 인간이 마주한 불확실성은 결국에는 죽음의 문제에 이르게 되어있습니다. 누구나 인간은 죽게 마련입니다. 나를 포함해서 주변의 모든 사람들 (친구/가족)은 역시 언젠가는 죽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주위의 사람들이 죽는 것을 보고 결국 사람은 죽기 마련인데 아둥바둥 살아가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죽음의 문제를 항상 생각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해결할 방법이 우리에게 없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래서 죽음의 문제에 대해서 외면합니다. 계측가능한 리스크에 집중하고 계측이 불가능한 불확실성은 외면하는 것과 같은 모습입니다.

예수는 바로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한 적이 있습니다. 누가복음을 인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비유를 하나 말씀하셨다. “어떤 부자가 밭에서 많은 소출을 거두었다. 그래서 그는 속으로 ‘내 소출을 쌓아둘 곳이 없으니, 어떻게 할까?’ 하고 궁리하였다. 그는 혼자 말하였다. ‘이렇게 해야겠다. 내 곳간을 헐고서 더 크게 짓고, 내 곡식과 물건들을 다 거기에다가 쌓아 두겠다. 그리고 내 영혼에게 말하겠다. 영혼아, 여러 해 동안 쓸 많은 물건을 쌓아 두었으니, 너는 마음놓고, 먹고 마시고 즐겨라.’ 그러나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리석은 사람아, 오늘밤에 네 영혼을 네게서 도로 찾을 것이다. 그러면 네가 장만한 것들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자기를 위해서는 재물을 쌓아 두면서도, 하나님께 대하여는 부요하지 못한 사람은 이와 같다.” (누가복음 12:16-21)

003-rich-fool

(image source: freebibleimages.org)

현대인은 불확실성의 문제를 자신의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하지만, 물질적인 해결책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현대인은 공허함을 가지고 삽니다. 물질적인 해법을 극단으로 밀어붙이면 허무주의에 다다릅니다.

심지어 현대에 와서는 종교조차도 이러한 물질적인 방법을 해법으로 내 놓기도 합니다. 어떤이들에게는 교회나 절에 가는 것 조차도 더 소유하기 위해서 신에게 기도를 하는 것을 의미할 뿐입니다.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 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

내가 믿는 기독교 : 1. 이슬람과 기독교

# 들어가며: 언제나 그렇듯이 제 포스팅의 일차 목적은 생각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다만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었기 때문에 종교적인 이야기를 싫어하는 분들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떤 이에게는 종교적인 내용이 공격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런 분들은 이번 연재를 읽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번 연재는 전도하고자 하는 목적이 없으며 저 자신의 신앙을 점검하는 데에 있습니다.

하나 더 덧붙이자면, 이글은 이슬람교인과 대화를 나누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글의 독자는 ‘성경과 기독교에 의문을 가진 이슬람 교인’인 셈입니다. 이점을 감안하고 읽으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islam_christianity

—————————————————————————–

이곳에서 이뤄지는 토론을 보면서 저 또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여기 적는 이야기는 제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저는 신학/역사/인문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한 일이 없기 때문에 깊이에 한계가 있으리라 봅니다. 그러나 기독교인으로서 성경에 대한 고민은 언제나 해왔던 부분이고 저의 신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생각을 몇자 나누고자 합니다.

우선 저는 L님과 K님의 토론을 보면서 이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슬람이 꾸란을 접근하는 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꾸란은 선지자 무하메드의 계시를 기록한 책입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슬람은 꾸란의 단어 (아랍어) 하나하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암기하며, 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종교입니다.

제 생각은 선지자 모하메드가 중세(6~7세기)의 인물이 었다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무슬림의 모든 행동의 근거는 모하메드의 계시에 바탕합니다. 그런데 중세의 도덕관념과 세계관은 현대인의 눈으로는 몹시 이질적입니다.

저는 역사가 진보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옳고 그름을 떠나서, 인류는 변해왔고 이슬람 세계는 중세의 가치관(정확히 말하자면 모하메드의 계시)을 이상적으로 그리고 있기 때문에 비무슬림의 눈으로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기독교의 경우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려는 중세의 종교관은 현재까지 이어지지 않습니다. 종교개혁을 기점으로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관점은 주류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성경을 연구하므로서 성경을 통해 드러난 하나님을 더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 물론 그것은 성경을 더 잘 이해하려는 신학 연구의 과정에서 일어난 일이기에, 성경을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일을 그만 두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루터가 종교개혁 시절에 가장 열중했던 일이 독일어 성경 번역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것은 이해가 가는 일입니다. 이슬람교에서 아랍어로 씌어진 꾸란의 원문 자체를 신성시 하는 것과는 조금 다른 접근법인 것이지요.

종교개혁 이후에도 서양의 세계관은 많이 달라졌습니다. 저는 근대/현대로 오면서 인류가 겪었던 가장 큰 변화중에 하나가 ‘개인’의 발견이라고 생각합니다. 현대에 와서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개인/사회라는 개념은 비교적 생긴지 얼마 되지 않습니다. 19세기 미국의 철학자 랄프 왈도 에머슨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그는 당시 새로운 개념이었던 ‘individualism’을 ‘self-reliance’라는 말로 정리한 바 있습니다. 당시만 해도 개인주의라는 말이 없었기 때문에 ‘self-reliance’라고 정의한 것이지요.

당시 철학자들 사이에서만 논의되던 이야기는 20세기로 넘어오면서 모든 사람들에게 당연한 가치가 되었습니다. 20세기가 되면 사람들은 개인의 가치를 고귀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인류는 인권을 신경쓰기 시작했고 여성의 인권도 비약적으로 개선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겪은 비무슬림의 눈으로 무슬림 사회를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러한 사람들의 눈에는 이슬람 국가에서 인권은 무시되고, 여성은 억압된다고 비판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연재글 목차)

+ 이슬람과 기독교

+ 유대교와 기독교

+ 나는 성경을 어떻게 믿는가?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1 (물질적인 해법)

+ 인간과 불확실성의 문제 2 (정신적인 해법)

+ 기독교의 방식 (대속)

+ 내가 믿는 기독교 연재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