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크기업 IPO와 차등의결권

lyft가 곧 있을 IPO에서 Dual class voting right 즉 차등의결권을 채택했다. 이에 다시금 미국에서 차등의결권 이슈가 주목받고 있다. 참고로 리프트는 우버의 경쟁사인 차량 공유 테크 기업이다.
.
Image result for lyft
.
관련기사
.
일단 집고 넘어갈게 있다. 이건 항상 미국 경제/경영 관련 포스팅을 할때 마다 느끼는 건데, 나는 대부분 한국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미국 얘기로 수다를 떠는데, 포스트는 그렇게 읽히지 않는 것 같다. 미국 얘기를 하면서 한국말로 글을 쓰니 피할 수 없긴하다. 그러나 현상이 비슷해도 맥락이 전혀 다를 때가 많다. 물론 세상일이 두부 자르듯 구분되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
차등의결권 이야기도 좀 그런 면이 있다. 내가 느끼기에 한국에서 차등의결권은 주로 오너의 경영권 방어와 재벌 기업 지배구조, 재벌 개혁의 맥락이 연결되어 있는 듯 하다. 그리고 이런 맥락에서 미국의 차등의결권 허용이 주로 오너 경영권 방어의 긍정적인 사례로 언급되는 것 같구.
.
그런데 알고보면 미국이라고 차등의결권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건 아니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긴 하지만 기업입장에서도 장단점이 있고, 잘못하면 오히려 악수가 되기도 한다. (자세한 예는 뒤에서.)
.
21세기 와서는 차등의결권을 채택하는 건 대체로 테크기업이다.  대표적으로 페이스북, 구글(알파벳). 이 기업들은 주식을 class a와 class b로 나누고 창업자가 가진 주식 class b가 좀더 큰 의결권을 가진다. 이번에 IPO를 하는 lyft도 이 방식을 채택했다. Lyft는 class b가 20표를 행사한다. 반면 일반적인 지배 구조에서는 1주가 1표를 행사한다. 그럼 founder가 class b 주식을 팔면 어떻게 되나? Class B의 효력을 상실하고 Class A 주식이 된다.
.
문제는 이렇게 의결권이 작은 주식을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이냐이다. 상식적으로는 의결권이 작으니까 그만큼 주가도 낮을 것 같다.
.
근데 테크기업들은 그렇질 않았다. 잘 알다시피 페북이나 구글 (알파벳) 주식은 잘나가는 주식이다. 그러니까 주주들은 별로 상관하지 않았다는 것. 오히려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 같다. 테크 기업들의 경우는 창업자의 카리스마가 기업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때가 많다. 그러니까 투자자들은 창업자의 의결권이 크기 때문에 기업이 단기적인 주식시장의 변덕 보다는 founder의 장기비전에 집중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보는 거다.
.
Image result for zuckerberg
.
여기서 흥미로운 사례가 있다. 2017년에 IPO를 한 스냅챗. 스냅챗의 IPO는 여러모로 뉴스가 되었는데 그중에 하나가 Zero voting right을 가진 class C 를 발행했다는 거다. 처음 시장의 반응은 좋았다. 근데 S&P에서 태클을 건다. S&P 500 index에서 스냅챗을 빼기로 결정한거다.
.
Image result for snapchat
.
미국 금융에서 인덱스 펀드 (그것도 가장 큰 S&P 500) 의 규모를 생각하면 이건 참 뼈아픈 일이다. 인덱스 펀드는 인덱스에 연동되어 있고, S&P 500 같은 펀드의 규모는 수조원에 달한다. 인덱스에 제외된다는 건 이 큰 규모의 투자에 제외된다는 의미.
.
결과적으로 스냅챗 주식은 엄청 빠졌다. 물론 회사 경영 자체가 좀 방향을 못잡는 면도 있지만 그와 별개로 인덱스에서 제외한 결정도 상당한 타격이었다.
.
그런데, 한국에서 차등의결권 미국 사례를 들 때 이 얘기가 언급되는 걸 본적이 없다. 잘 몰라서? 꼭 그런것 같지도 않다. 한국말로 검색해보니 스냅챗 IPO 직전에는 zero voting share에 대해 긍적적인 기사가 많더라. 그러게. 이글을 쓰면서 생각해보니 차등의결권 논의가 한국에서는 미국과 다른 맥락에서 이뤄진다는 확신이 든다.
.
당시 스냅챗 관련기사:
.
여담이지만 당시 블루 애이프런이나 알파벳(구글)도 class c 주식을 발행했었는데, 알파벳은 S&P 500에서 제명되진 않았다. (몇가지 다른 이유가 있다고 하는데 내막을 잘 모르는 나는 ‘이건 뭐야’ 싶다…ㅋ)
.
그래도 당시 S&P의 결정은 테크기업들이 차등의결권에 열광하던 분위기에는 확실히 찬물을 끼얹었고, 작년에는 차등의결권 논란이 잠잠해졌었다. 그리고 올해 lyft가 등장한 거다.
.
dual class stock은 미국에서도 학자마다 의견이 갈리는 주제이다. 워낙 논쟁적이기도 하고 말이다. 이런 주제에 정답이 어디 있겠나. 나같은 장삼이사야 그저 팝콘을 준비할 뿐이다. 또, 뒤이어 IPO를 하는 우버도 유심히 보고 있을 것이고.
.
+덧: 산타님이 댓글을 달아주셨는데, 한국의 차등의결권 논란이 제가 받은 인상과 좀 다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생각해보니 요즘은 한국도 스타트업이 많이 활성화 되었고 제가 그쪽 분위기는 전혀 모를 수 있겠다는 싶네요. 제가 얻는 한국 정보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을 수 있고, 그런 점을 감안해서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