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over Beach by Matthew Arnold

누구하고 약속한 건 아니지만, 일주일에 한번 이상은 포스팅을 해왔는데, 열흘 정도 블로그를 방치해두었다. 집에 3주간 손님이 머물렀고, 이번주는 친구가 다쳐서 이런저런 일을 도와주느라 정신이 없었다.
11월 들어서는 글쓰고, 그림 그리는 창작하는 쪽의 잉여질보다는 책을 읽고, 컴퓨터 게임하고, 영화를 보는 소비쪽의 잉여질에 열을 더 내고 있다. 몇년간 꽤 바쁘고 힘에 부치게 살았는데, 올해는 원없이 잉여질을 하며 산다. 아이도 조금 컸고, 미국에서 삶도 어느 정도 안정되었고, 회사도 한국 생각하면 몹시 널널한 편… 이렇게 살아도 되나 싶다. 나란 인간이 게으르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기 때문에, 적당히 먹고 사는 문제와 연결되야지 잉여질도 좀더 생산적이 될 텐데, 이건 그냥 소모적으로 내가 만든 세상에 침잠해 가는가 싶다.
10대 때는 소설을 꽤 좋아했는데, 한동안은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들어서 보지 않았다. 살아가는 일은 소설보다 치열하고, 훨씬 더 다양한 관점과 진실을 보여주는데, 굳이 소설에서 무언가를 찾을 필요가 있을까. 문학은 때로 작가의 관점에서 일말의 진리를 보여주지만, 그것은 작가가 묘사하는 배경을 능동적으로 마음에 그려보고, 사건을 상상해보고, 그리고 인물에 자신을 투영해보는 일종의 과정을 거쳐야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떻게 생각해도 시간 소모적이다.
며칠전 가장 소모적인 일을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래서 고른 것이 사랑 이야기. 이언 매큐언(Ian McEwan)의 On Chesil Beach이다. 한국에도 체실비치에서 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것으로 안다. 굳이 이언 매큐언을 고른 것은 영미 문학권에서 핫한 작가를 동시대를 사는 사람의 눈으로 읽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한글책을 구해보는 건 돈도 시간도 아까우니 그냥 주위에서 구하기 쉬운 영어책을 보자는 귀차니즘도 있었고…
그래도 왜 사랑이야기일까? 사실 나도 잘 모르겠다. 한참 피가 끓던 나이에 남녀상열지사에 뜨거운 가슴을 품어본일이 없는 것은 아니나, 나는 항상 어설펐다. 게다가 30을 넘기고서는 사랑은 별 관심사가 아니다. 결혼하고서 좋았던 점 중 하나는, 이제 만나는 여자와 썸을 걱정할 필요가 없겠구나… 인 것도 있을 정도였다. 썸은 은근한 긴장감을 주고, 긴장감이란 대체로 기분 좋은 류의 긴장감이지만, 그 긴장감은 내가 좋아하는 편안함과는 반대기제이다.
어쨌든, 책얘기로 들어가서… 책에서 첫날밤에 대한 묘사는 구체적이다. (몸의 구석구석을 표현하는 명사, 신체접촉에 관련되는 동사를 사전에서 좀 찾아봐야했다.) 육체로 시작되는 감정의 파장. 그리고 엇갈리는 말들. 내가 20대 청년 일 때 읽었다면 이해할 수 없는 감정과 상황들이다.
작가는 사랑 이야기를 참 먹먹하게 하고 있다. 이야기는 잔잔하게 차곡차곡 쌓이다가 마지막 순간에 몰아친다. 결국 책장을 덮으면 진한 여운이 남는다. 플롯을 쫀쫀하게 짜는 것, 디테일한 묘사에서 작가의 꼼꼼함이 느껴진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작가의 대표작이라는 atonement도 한번 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