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의 여성과 제인에어

어제 제인에어 포스팅을 했는데, 마침 페북에 19세기 여성에 대한 글이 있길래 공유한다.

링크 (이미혜 작가의 페북 포스트)

  • 아쉽게도 위의 링크는 2016 3월 23일 현재 기준으로 깨져있네요. 참고하세요.

The Proposal. John Pettie, R.A. (1839-1893). Oil On Canvas, 1869.

(image source: wikimedia)

이 그림은 19세기의 스코틀랜드 화가 John Pettie가 그렸다. 그림에서 여성은 청혼을 받고 있다. 그런데 이 여성의 반응은 기쁨이나 놀라움이 아니다. 죄지은 사람의 표정이다. 시대적 배경을 고려해야 왜 그런지 이해가 간다. 19세기 영국의 여성들은 남자와 눈을 마주치거나 감정을 표현한다거나 하면 정숙하지 못한 여자로 취급받았다.

지난번에 포스팅 했듯이 제인에어는 시대를 앞서가는 여성이었다. (링크: 영화 ‘Jane Eyre(2011)’를 보고서) 제인은 자기 의견을 말하는데 주저함이 없고, 남자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며 말하고, 주체적으로 행동한다.

고전을 읽을 때, 20세기 이전 사람들에게 ‘개인(individual)’이라는 단어가 생소한 개념이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인권/여권의 신장은 20세기에서야 이뤄졌다. 물론 고전이 지금까지 읽히는 이유는 인류에게 호소하는 보편적인 감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화적/시대적 배경까지 생각한다면 좀더 폭넓게 고전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