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 경선 정리: 트럼프와 크루즈

Disclaimer: 페북에 지인들과 댓글로 수다 떤 내용이 생각보다 길어져서 수정없이 이곳에 저장합니다. 저는 미국 정치에 조예가 없습니다. 자료도 근거도 빈약합니다. 그저 어디서 줏어들은 이야기를 옮겼을 뿐이니 과도한 신뢰나 비난은 삼가주세요. 다 그냥 감으로 하는 이야기고 정밀하게는 학자나 전문가들이 퀀트/퀄 분석을 하겠죠.

Q: 최근 트럼프가 힐러리를 앞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있던데.

A: 최근에 Rasmussen이라는 곳에서한 여론 조사가 그렇게 나오긴 했는데, outlier로 보시는게 맞을 것 같아요. 그 outlier를 말하는게 좀더 선정적이고 기사감이 되는지라, 한국 언론은 그 결과만 언급하더군요. 저는 huffpost pollster를 참고합니다. 거기 차트는 여러 여론 조사를 취합해서 이동평균으로 추세선을 그리거든요. 링크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2016 General Election: Trump vs. Clinton (실시간)

20160506133535553

(5월 6일 기준)

그리고 하나만 덧붙이면, 미국 선거는 전체 지지율도 중요하지만, 승자독식 선거제 때문에 스윙 스테이트 결과가 더 중요합니다. 전체 지지율은 물론이고, NYT 분석대로 주별로 자세히 보면, 스윙스테이트서도 대부분 힐러리가 확실히 우세한지라, 이리봐도 저리봐도 아직은 트럼프가 큰차로 뒤지는 것이 맞습니다.

Q: 힐러리 이메일 수사나 향후 다른 스캔들이 생길 변수는?

A: 트럼프가 넌지시 이메일 스캔들을 언급하면서 벌써부터 힐러리의 약점을 물고 늘어지긴 하더군요.

사실 작년에 있었던 벵가지 청문회도 공화당에서 힐러리를 잡기위해 준비한 회심의 카드였다고 들었습니다만, 당시는 케빈 맥카시가 뻘짓을 하고 공화당 조사위원회도 어설프게 준비하는 바람에 결국에는 힐러리만 득을 봤죠.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눙치면서 받아치는데 능숙한 힐러리의 강점이나 풍지박산난 요새 공화당 상황으로 보면 대단한 내용이 아닌 이상 큰 흠집이 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힐러리는 르완스키 스캔들 때부터 청문회와 언론 다루기를 경험해온 사람입니다. 새로운 비젼을 제시하는 건 몰라도 터프하게 방어하는 데에는 충분한 단련이 되어 있습니다.

물론 결과야 그 때 가봐야 아는 거 겠죠. 정말 대박 껀이 있다면야 아무리 힐러리라도…

아래 기사는 벵가지 청문회가 끝나고 뉴욕타임스 칼럼리스트 Blow가 올린 기고문입니다.

Q: 트럼프와 개신교/천주교 표심의 연관성은? 트럼프의 인기가 개신교의 반발작용인지?

A: 천주교는 잘 모르겠고요. 트럼프 지지자들 중에서 보수 복음주의자 기독교인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트럼프에 대해서는 예전에 제가 한번 정리글을 올린 적도 있습니다.

여기서 언급한 NYT 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의 인기가 높은 지역은 인구 구성으로 봤을 때, 보수 복음주의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기도 하고요.

Capture

다만, 트럼프가 보수 복음주의자를 대변했다고 보기에는 좀 애매한 점이 있습니다. 트럼프는 원래 아주 세속적인 사람이고, 옛날부터 낙태를 찬성해왔던 사람이기도 하고요. 물론 선거가 본격적으로 돌입한 이후에는 기독교계의 표를 의식하여 낙태에 대한 이야기를 피하기는 합니다.

오히려 보수 복음주의자의 표심을 대표하는 인물은 테드 크루즈 입니다. 그는 남침례교 목사의 아들이라 교회 문화에 익숙하고, 유세도 잘 들어보면 부흥회 스타일로 진행합니다. 크루즈는 교회 집회를 돌아다니면서 연설을 했고, 연설 할 때 교회에서 좋아하는 부흥 단어 대신 미국의 부활을, 초대교회의 성령의 역사 회복 대신에 레이건 시대의 회복이란 단어를 사용했죠. 이에 대한 포스팅은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링크

크루즈의 전략은 가능한한 모든 원리주의자의 표를 끌어드린다 였고, 종교계는 물론이고, 작은 정부 주의자, 극단적인 리버테리안 까지 지지자로 만드는데 어느정도는 성공했습니다. 그의 타협을 모르는 원리주의자 이미지는 2013년 미국 정부 셧다운 사태를 주도한 모습으로 대표됩니다. 결국 나중에는 보수 복음주의자의 표를 마이크 허커비, 벤카슨, 릭 샌트럼 같은 사람에게서 가져오는데 성공하고, 랜 폴에게서 리버테리안의 표를 가져오는데도 성공하죠.

테드 크루즈는 야망도 크고 오랫동안 선거를 준비해온 사람인데, 어떻게 보면 거슬러 올라가서 미국 보수의 대부인 배리 골드워터 라인에 충실하고, 레이건 정부에서도 급진주의로 떨어져 나온 아웃사이더에 속합니다. 오히려 부시는 온건보수에 가깝죠. 크루즈가 온건 보수의 선택을 받은 마르코 루비오를 앞서고 나중에는 온건 보수 주류인 젭부시, 밋롬니, 린지 그램 같은 사람의 지지까지 이끌어 낸걸 보면 그의 전략은 어느 정도 성공하긴 했습니다.

다만 갑자기 트럼프라는 예상 못한 변수가 생기면서 선거판이 완전히 바뀐 거죠.

Mr_Donald_Trump_New_Hampshire_Town_Hall_on_August_19th,_2015_at_Pinkerton_Academy,_Derry,_NH_by_Michael_Vadon_02

정리하자면, 제가 이해하기로는 보수 복음주의계 표심은 크루즈가 대표했지만, 복음주의자들이 동시에 저학력 백인 블루칼라 이기도 했기 때문에 다수가 트럼프를 지지하는 사태가 벌어진 거고요.

크루즈는 워낙 야심이 크고 젊은지라 다음 선거에서 또 보게될 것 같습니다.

관련 기사

미국 민주당 싸움 이야기 업데이트

오늘자 뉴스에 따르면 샌더스 의원이 힐러리에게 대통령 자격이 없다며 강하게 비난했다고 한다. 지금까지 상대방에 대한 비난을 삼갔던 그의 톤이 사뭇 달라졌기에 의아해서 메모를 남긴다.

싸움에서 시시비비를 가리려면 전후사정, 맥락 등을 다 살펴야 하므로 기사에 인용된 이야기로만 판단하기는 무리가 있을 듯 하다. 그럼에도 나는 선거권이 없는 그저 구경꾼이니 기사 (링크: Bernie Sanders and Hillary Clinton Spar Over Presidential Qualifications, NYT 4월 7일자) 를 따라 상황을 재구성해보면,

– 클린턴이 샌더스의 월스트리트 개혁안이 구체적이지 않다며, 숙제를 덜 했다고 언급했다. (클린턴측 주장에 따르면 대통령 자격을 말한 것은 아니라고 함.)

– 샌더스가 어제밤 필라델피아 유세에서, 이에 대해 답하면서, 클린턴이 나에게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힐러리는 1) 슈퍼팩으로 각종 이익단체로 부터 수백억원을 기부 받았고, 2) 이라크 전쟁에 찬성표를 던졌고, 3) 수백만 미국인 일자리를 담보로한 trade agreements를 지지했기 때문에 대통령의 자격이 없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물론 슈퍼팩과 이라크 전쟁, 자유무역 반대는 샌더스 의원이 줄곧 이야기 해온 것이지만, 그 대상으로 힐러리를 직접적으로 언급한 적은 없었기에 의외이다.

맥락을 보자면, 샌더스의 경선 6연승 이후에 힐러리의 우세가 예상되는 뉴욕주 경선을 앞두고 나온 말이라서 참 묘하다.

나는 농담반, 진담반으로 선거는 싸움구경이라고 말하는데, 오늘 뉴스는 진짜 싸움 구경 하는 것 같았다.

Capture

미국 민주당쪽 이슈 관련 기사모음

트럼프 현상관련 글이 나름 반응이 있어서, 민주당쪽 상황 정리 포스트를 하려다가 말았다. 조금 거리감을 가지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백인 블루칼라 얘기와 달리 이쪽은 다소 핫한 주제라…

그냥 내가 정리했던 기사 링크만 걸어 둔다.

13BOOKMAYER-master180

 

혹시 내 의견이 진심으로 궁금한 사람들은 아틀란타 놀러와서 밥사주면 술술 불수 있다. ㅎㅎ

한편 민주당에서는… : 샌더스와 바이든

요즘 미국 뉴스는 도널드 트럼프 이야기로 가득하다. 반면 민주당은 큰 이슈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그 와중에 민주적 사회주의자 democratic socialist 라고 불리는 샌더스의 약진이 눈에 띈다.

며칠전에 샌더스가 클린턴을 앞섰다는 뉴스를 듣고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뉴햄프셔 한정이고 전국적으로는 아직 추격하는 단계이다. (뉴햄프셔가 중요한 곳이기는 하다.)

20150914133503039

(image source: 허핑턴 포스트, 링크)

아직까지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자들은 샌더스의 민주적 사회주의자 포지션을 불안해 한다. 내 주변의 미국인들은 (지지여부를 떠나) 당선가능성에는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하나 지켜볼만한 포인트는 부통령 바이든의 출마 여부이다. 클린턴 대세론이 힘을 잃자 바이든의 출마 여부에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바이든은 72년에 아내와 딸을 교통사고로 잃었고, 올해 5월에 아들을 먼저 떠나 보냈다. 최근 인터뷰에서 아들을 잃은 슬픔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하기에 (지금까지는) 심리적인 에너지가 부족했다고 밝혔다.

그제 (9월 12일) 영국 노동당 당수로 제레미 코빈이 당선 되었다. 그는 왼쪽 색깔이 뚜렷한 인물이라고 들었다. 비약일 수도 있겠지만, 전세계적인 불평등 이슈로 인해서 영미권 사람들도 사회주의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