琉璃窓(유리창)
流璃(유리)에 차고 슬픈 것이 어린거린다.
열없이 붙어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다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디치고,
물먹은 별이, 반짝, 寶石(보석)처럼 백힌다.
밤에 홀로 流璃(유리)를 닥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흔 肺血管(폐혈관)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山ㅅ새처럼 날러 갔구나!
+ 덧: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처음 접했던 시. 정지용이 아들을 폐결핵으로 잃고서 썼다는 시이다. 시인 이상이 애송했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잊히지 않는 게 먼저 죽은 자식인가부다.
정지용 가족사진을 첨부한다. 결핵으로 죽은 아들은 차남 구익씨고 사진의 아들은 장남 구관씨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