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입학식이 잘 기억나지는 않는다. 꽤나 추웠고, 교장선생님 훈화가 길었던 것 같은데 그 기억은 입학식이 맞는지 아니면 매주 있었던 야외 조회시간 중에 하나였는지 확실하지는 않다. 학교에 가려면 가파르고 길다란 언덕을 지나야 했다. 왜 그시절 초등학교들은 하나같이 언덕위에 있었던 것일까. 오른손에 신발주머니를 앞뒤로 흔들며 왼손에 도시락 가방을 들고서 내 몸만큼이나 큰 책가방을 매고 헐레벌떡 학교에 가곤 했다.
(사진출처: e-영상 역사관)
학교 이름은 신명국민학교였다. 나의 성과 똑같이 ‘신’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친구들이 놀렸고 나는 그게 싫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별것도 아닌 건데, 아이들은 말장난을 참 좋아한다. 겨울이면 학교 뒷편에 논바닥을 얼린 스케이트장이 열린다. 아마 서울에서 마지막 남은 논이 아니었을까. 어쨌든 논바닥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다가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간이매점 떡볶이를 먹다보면 겨울 방학이 지나고 개학을 했다.
아내는 어린시절을 독일에서 지냈다. 나는 초등학교 선생님의 이름은 커녕 얼굴조차 기억이 나질 않는데, 아내는 세세한 것까지 기억하고 있다.
선생님 이름은 Frau Ruppel. 반에는 스무명의 친구들이 있었어. Silke, Ida, Boris, Natascha, Carmen, Sascha, Sonja. 잠깐 그 나타샤가 내가 아는 그 나타샤야? 맞아. 유치원을 같이 다녔는데 초등학교도 같이 갔어. 옛날 얘기하니까 독일에 가고 싶네.
오늘은 딸아이가 학교에 입학한다. 담임은 20대 금발의 아가씨. 반 친구들은 스무명이 조금 넘는다. 아시아계는 두세명. 인도계 대여섯명. 흑인 대여섯명. 북유럽 출신 조금. 나머지는 백인이다. 아내는 실감이 나지 않는다는 말을 반복했다. 딸아이는 몇주전 부터 맥락없이 학교 가기 싫다는 말을 던진다. 은근한 두려움을 저렇게 표시하나보다.
아이와 나는 전날 잘 잤고, 아내는 밤새 잠을 못이뤘다. 그렇게 수선하고 분주한 등교 첫날 아침이 시작되었다.
Reblogged this on Isaac의 생각저장 창고 and commented:
작년 오늘. 페북이 친절하게 알려주길래 생각이 났다.
첫째가 초등학교에 입학한지 일년이 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