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에 시카고 살인 사건 발생률에 대한 포스팅을 했다. 혹시 모를 오해를 방지하고자 몇가지 설명을 추가한다.
오해: 숫자를 보면 (3일 연휴 동안 시카고에서 64명이 총에 맞았고 그중 6명이 죽었다.) 전쟁터 같은데, 미국에 살면 몇년 안에 총맞는 거 아니냐?
아니다. 총기 사고는 대부분 치안이 좋지 않은 우범지역에서 벌어진다. 아래 그래프에도 볼 수 있듯이, 총기 난사 (4명 이상 총상 기준)는 대부분 가난한 지역에서 일어난다. 사고가 일어난 지역의 86%가 빈곤지역으로 분류된다.
평범한 미국인들은 치안에 민감하기 때문에 우범지대에 가지 않는다. 반대로 안전한 지역은 집값이 높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아니면 방범이 잘되어 있어 (잠정) 범죄자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미국은 특이하게도 집값이 높은 곳이 오히려 대중교통이 안좋다.)
인종적으로 보자면, 대부분 총기 관련 살인 사건은 흑인들 사이에서 일어난다. 다음 그래프를 보면, 흑인 끼리 발생한 사고가 백인 끼리의 사고보다 4~5배 정도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지난번에 올렸던, 시카고 memorial weekend 총기 사고의 경우도 흑인 갱단간의 보복성 살인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대부분 갱단간의 다툼이나 마약 문제가 엮여 있다. 목격자도 가해자도 불분명한 이런 류의 사건은 절반 정도가 미결 사건으로 남는다. (첨부한 NYT 기사의 분석에 따르면, 2015년 기준, 358건의 사건중 160건이 미결이다.)
안타까운 점은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이러한 문제와 분리되어 살기 때문에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우범지대에 있는 흑인들과 유일하게 접하는 사람들은 경찰정도가 될텐데, 폭력 상황에 매일 노출되는 경찰들은 (모두는 아니겠지만) 그지역에 사는 흑인들을 잠재적인 범죄자로 보고 조금만 의심이 되는 행동을 하면 (주머니에 손을 집어넣는 다거나) 주저없이 총격을 한다. 최근 미국에서 Black Lives Matter 운동이 힘을 얻는 것도 이러한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관련 기사도 함께 함께 첨부한다.
A Drumbeat of Multiple Shootings, but America Isn’t Listening (NYT, 5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