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ISTRUST OF SCIENCE – Atul Gawande (New Yorker)

젊은 시절 내가 전공을 바꿔가며, 그리고 가방끈을 늘려가면서 유일하게 배운게 있다면, 그것은 과학으로 세상을 보는 자세 같은 것이다.

과학은, 내가 어릴적 오해했던 것 처럼, 불가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요술 방망이나 놀라운 지식이 아니다. 아툴 가완디를 인용하자면,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에의 결단이고 a commitment to a systematic way of thinking, 관찰과 실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지식을 쌓겠다는 결의이다 an allegiance to a way of building knowledge explaining the universe through testing and factual observation.

20대를 돌이켜보면, 나는 새로운 지식 자체를 갈구했었다. 고정관념을 깨는 새로운 지식을 얻고서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기계는 어떻게 움직이는지,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지, 사람의 마음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게 되는게 신기했다. 기존의 지식을 새로운 지식으로 바꾸는 그 경험에만 열광했던 것이다.

그리고 언제 부터인가 과학이 단순히 놀라운 지식을 의미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천문학자 Hubble을 인용하자면, 과학은 건강한 회의주의이며 healthy skepticism, 판단을 보류하는 것이며 suspended judgement, 훈련된 상상력 disciplined imagination 이다.

불변하는 지식은 없다. 과학적인 지식은 단지 가능성이 높은 근사치 probable knowledge 이다. 언제나 반례가 존재할 수 있다. 세상을 열린 마음으로 보고서 가설을 세우며 (또는 다른 이의 가설을 받아들이고) 사실 관찰을 통해서 자신의 가설을 검증해 간다. 어느정도 관찰이 진행된 후에 자신의 가설을 수용할 건인지 기각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과학은 세상을 근사치로 (또는 모델로) 이해하고 그 근사치는 계속해서 수정 보완 되어 간다. (successive approximation)

아툴 가완디가 어제 칼텍에서 졸업식 축사를 했다. 그는 과학을 불신하는 현상에 대해 이야기 했다. 단어 문장 하나하나에 공감했고, 많은 생각을 불러왔기에 공유한다.

간혹 음모론에 근거하여 과학의 가장 기본 지식마저도 흔들어버리려는 시도를 볼 때가 있다. 미디어는 검증된 기초적인 과학 지식을 흔들 때 종종 ‘주류’ 과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충분히 교육받은 이들이 ‘주류’, ‘비주류’라는 구분짓기에 흔들리고, 필요이상으로 회의를 하게 되는 것을 볼 때마다 의아해 진다. 그리고 그럴때마다 나는 자신을 다시 돌아본다.

과학은 직관에 반하는 이야기를 할 때가 많다. 그것은 과학이 직관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관찰과 실험에 의해 입증되는 proven 것이기에 그러하다.

THE MISTRUST OF SCIENCE by Atul Gawande, 6월 10일자 New Yorker

The New Yorker

(image source: 해당 기사)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