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 is taller than me 가 맞을까? 아니면 he is taller than I 가 맞을까?
보통은 둘다 맞다고 한다. 엄격하게 영문법을 적용하면 I 가 맞지만 me 도 구어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허용이 된다 정도가 일반적인 설명이다.
좀더 자세히 풀자면 ‘than’의 품사를 뭘로 보느냐의 관점에 따라 답이 달라질 수 있다. than을 접속사로 본다면, He is taller than I (am). 에서 am 이 생략된다고 보기 때문에 I 가 맞을 것이다. 반대로 me 를 쓴다면 than을 전치사로 사용한 것이고.
그러니까 앞의 설명대로라면, 엄밀한(?) 영문법이라는 관점에서 than은 전치사로 쓸 수 없다고 하고, 따라서 me를 사용하는 것은 틀린 문법이지만, 현대에 와서 (?) 사람들이 많이 쓰니까 일종의 grammatical laziness로 me를 허용해 준다.
사족이지만, 예전에 GMAT 공부할 때 이문제를 마주친 적이 있는데, GMAT은 문법이 맞고 틀리고 보다는 분명한 의사전달력을 보는 시험이기에, He is taller than I am. 이라고 다 풀어서 쓰는 것을 답(?)으로 본다.
여기까지가 지금까지 내가 알고 있던 내용이고, 오늘은 이코노미스트 기사에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어서 메모를 남긴다.
그러니까 me를 쓰는게 현대에 와서 생긴 grammatical laziness만은 아니라고 한다. 영어의 표준을 정립한 위대한 셰익스피어 님께서도 than을 전치사로 사용하셨다고.
셰익스피어의 줄리어스 시저 1막 3장에 보면 아래와 같은 문장이 나온다.
A man no mightier than thyself or me.
셰익스피어 말고도, 걸리버 여행기를 쓴 조너선 스위프트나 18세기 시인 사무엘 존슨도 than을 전치사로 쓴 적이 있다. 그러니 than을 전치사로 쓰는게 현대 영어에서 새로 생긴 버릇은 아니다.
누군가가 He is taller than me. 를 바로잡으려고 지적질을 한다면 당당하게 받아쳐야 겠다. 당신이 영어에 있어서 셰익스피어보다 위대한 사람이냐고.

셰익스피어 (1564 – 1616)
.
참고 기사
Why both I and me can be right, the Economist, 2016년 4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