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가 곡물가격에 미치는 영향

어제일자 WSJ에 따르면, 농산물 대기업중 하나인 신젠타가 듀폰의 agriculture division을 인수하려고 한다고.

알다시피 국제 곡물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2011년 피크를 친 후에 41%가 빠졌다.) 곡물업계의 채산성이 떨어지고, 이에 M&A논의가 활발해지는 것이다.

DuPont Exploring Agricultural Deals With Syngenta, Dow Chemical (WSJ, 11월 5일자)

Capture

그런데 한가지 의문이 생긴다. 국제 경기가 (특히 중국) 둔화되고, 각종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는 건 알겠는데, 왜 곡물가격이 하락하는 것일까? 돈이 없어서 사람들이 굶는 것일까? 아니면 농부들 생산성이 하락하나? 둘다 딱히 들어 맞는 이야기 같지는 않다.

찾아본 바에 따르면, 곡물가격은 크게 두가지 요소에 반응한다. 첫번째는 유가이고, 둘째는 각국 정부의 규제이다.

유가는 크게 두가지 이유로 곡물가격에 영향을 끼친다. 첫째는 원가부분이다. 곡물 가격의 20%는 석유와 관련되어 있다. 원유가 원재료인 비료와 각종 농기구의 연료, 운송비가 바로 그것이다. 둘째는 바이오 연료이다. 유가의 하락은 바이오 연료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이는 옥수수 같은 에탄올의 연료가 되는 작물의 수요를 떨어뜨리는 것이다.

두번째는 정부의 규제이다. 대부분의 나라는 농업을 안보와 연관짓는다. 정부들은 국제의 농산물 가격 변화로 인해 자국의 농업이 붕괴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 그래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농부들은 1)정부의 보조금을 받는다. 그리고 정부는 농산물을 사고 팔면서 2)가격을 조절한다. 정부미가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3)수출입을 통제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는 2007년 쌀값 폭등이다. 중국과 인도는 당시 쌀 수출을 제한했는데, 이로 인해 자국의 쌀값은 안정되었으나, 방글라데시 같은 나라는 쌀값이 두배로 뛰었다.

물론 이외에도, 기후변화로 인한 곡물 가격 변동 또한 무시 못할 원인일 것이다.

참고 자료: Oily food (economist 10월 10일자)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