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ge-watching에 대해서, 그리고 미드와 한드에 대해서

2013년 하우스 오브 카드를 시작으로 넷플릭스는 시즌 에피소드 모두를 한번에 릴리즈한다. 그리고 미국인들 사이에서 binge watching 이라는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사실 작년이라면 몰라도 올해는 빈지왓칭을 유행어라고 하기에 이미 철지난 느낌이 들기는 한다.

Binge라는 말은 원래 eating과 같이 쓰이는 말인데 binge eating은 폭식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binge watching은 우리말로는 ‘몰아보기’ 쯤 될 듯하다.

한국에는 미국 드라마 ‘몰아보기’ 시청 패턴이 진작부터 있었다. 미드를 본방으로 볼 수 없는 여건 상, 한국 미드 매니아들은 미드를 시간이 지난 후에 볼 수 밖에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막을 기다려야 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이미 나온 에피소드들을 몰아보는 시청패턴이 생기게 된 것이다.

그런데 궁금한 건 왜 한국 드라마는 몰아보기 시청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물론 일부 드라마 매니아들은 종영된 한국 드라마를 몰아서 다시 보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한드는 미드보다는 몰아보는 맛이 덜하다.

생각해보면 한드는 몰아보기 보다는 배경으로 틀어두고서 딴짓을 하며 아무 생각없이 보는 데에 최적화되어 있다. 한드는 몇화정도 건너뛰어서 시청을 해도 이야기를 따라가는 데에 별 무리가 없다. 상황만 달라질 뿐이다. (화장과 옷맵시가 완벽한) 순정만화에서 뛰쳐나온 같은 선남선녀가 주인공이고, 교통사고와 기억상실증. 그리고 어린시절 상처가 연결되는 플래시백이 있다.

반면에 미드는 스토리가 촘촘하게 짜여 있어서 한두회를 놓치면 이야기를 따라가기가 쉽지 않다. 에피소드 마다 마지막에 cliff hanger 를 심어두어서 (우리말로는 떡밥이라고 하는게 적당할까??) 다음 에피소드를 궁금하게 만든다. 몰아보기 딱 좋다. 물론 장르마다 편차는 있다. 호러/스릴러/SF 류는 몰입도가 더욱 크고, 시트콤 류는 그 반대이다. 프렌즈가 대표적인 예인데, 프렌즈는 한드 마냥 언제 어디서 봐도 이야기를 쫓아가기에 무리가 없다. 어떤 해프닝이 있었던 간에 마지막에는 친구들끼리 ‘센트럴파크’ 까페에 모여 수다 떠는 것으로 끝이 난다.

미드가 우월하다거나 아니면 한드가 뻔하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 한드와 미드는 재미를 느끼는 포인트가 다를 뿐이다. 한국식 드라마의 장점은 등장인물을 이해하는 데에 고민이 필요없다는 것이다. 재벌집 막내에 기획실장이라는 직함을 던저주면 거기서 그 인물의 캐릭터가 정해진다. 가난한집 출신 자존심 센 아가씨를 등장시키면 그다음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될지 짐작할 수 있다. 한드는 캐릭터 구축에 큰 시간을 들이지 않고서 바로 사건으로 직행한다. 첫회부터 빵빵 터진다. 재벌집의 반듯한, 그러나 상처로 살짝 삐뚤어진, 청년과 가난한집 청순한, 그러나 자존심은 센, 아가씨가 어떻게 지지고 볶는지 사건 자체에 관심이 있는 것이다.

중층적이고 다면적인 인물의 성격을 중심으로 드라마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한국드라마 공식은 너무 뻔해보이고 지루해 보인다. 그렇다고 해서 반대로 다면적인 캐릭터를 구축하는 과정에 시간을 많이 들이면, 흥미진진한 사건을 위주로 드라마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느리고 재미가 없다. 머리만 아플 뿐이다. 그래서 미드 중에서도 액션이나 스펙타클한 장면이 주가되는 미드는 인물이 평면적이고 전형적이다.

쓰다보니 이야기가 너무 길어졌다. 내가 왜 이런 수다를 떨고 있을까. 어제 밤에 갑자기 한국 드라마를 보고 싶어 져서인 것 같다. 요새 집에 처리해야 할 복잡한 일이 몇개 터졌고, 미국 뉴스는 올랜도 참사 이후 보기가 너무 지치고, 가족들은 방학맞아 한국에 들어 갔고… worn out 되었는지 한국 TV 틀어놓고 멍하게 있으면 기분이 나아질까 하는 생각이 잠깐 들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