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공유했던, Rexnord 베어링 공장 쉐넌 이야기 후속기사. 이번에는 다큐(15분 분량)로 만들었다.
(참고: 미국 일자리 통계. 붉은 색은 제조업 일자리, 핑크색은 민간부문 일자리 총합. 원자료는 미국 노동부, 뉴욕타임스 재인용)
이전 기사 관련 글은 아래 링크 참조.
공장이 문을 닫을 때, 일어나는 일 (10월 20일 포스트)
공장은 멕시코로 이전을 결정하고 멕시코 견습생을 훈련시키라고 한다.
Mark와 John은 다른 결정을 한다. Mark는 공장에 찾아온 견습생들을 훈련시키고, 이어서 견습생들을 훈련시키러 멕시코 출장을 가기로 한다. John은 이를 모두 거절한다. John과 Mark는 십년지기였다. 그러나 이후 서로 말을 하지 않는다.
John과 Mark는 영상 말미에 이렇게 말한다.
John: I am not a bad guy. I am just an old man that doesn’t want to lose my job. 나는 그렇게 나쁜 사람이 아니야. 나는 그냥 일자리를 잃는게 싫은 늙은이일 뿐이야.
Mark: I like working with my hands. I am 52. I have no real skills. What am I going to do? Am I going back to school? Who’s going to hire me? I have never been to Mexico. I heard weather is nice and the people are super nice. I will see what it is like when I get down there. And whatever it is. I’m going to make the best of it. I always do. 손을 써서 일하는게 좋아. 내 나이 쉰둘이야. 특별한 기술도 없어. 내가 뭘 하겠어? 학교로 다시 돌아가겠어? 누가 나를 쓰겠어? 멕시코에 가본 적은 없어. 날씨가 좋고 사람들도 진짜로 좋다고 하더라고. 가보면 알겠지. 뭐가 됐든간에 최선을 다해야지. 언제는 안그랬나?
오랫만에 댓글 남깁니다.
어렵고 복잡한 일에 대해서 명료하게 잘 표현 해 주셨습니다. 미국에 있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트럼프에 대한 백인들의 기대도 많이 줄어들지 않았나 합니다. 레이건을 추종한다고 하지만 제가 보아도 트럼프와 레이건은 너무나도 많이 다릅니다. 만약에 트럼프가 개인이 모든일을 하는 부동산업이 아닌 어느 기업의 CEO 경력이 있었으면 어쩌면 지금 미국에서의 혼란이 어느정도 줄어들지 않을 까 합니다.
미국의 인구 70%를 차지하는 백인들이 몰락한다는 것은 별로 좋은 소식은 아닌 것 같습니다. 파이가 늘어나서 소수민족에게도 혜택이 돌아가는 게 아니라 백인들의 파이가 소수민족에게 돌아가는 꼴이 되면 갈등이 굉장히 커지게 되고 분열이 더 심해질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민주당에 있는 사람들이 백인 노동자들에게 무심했다는 것은 변함이 없는 사실이고 트럼프도 이들을 도와줄 능력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뭐 의지도 있는 지 의심스럽기는 하지만요.
반갑습니다. 그동안 바쁘셨나보네요. 블로그도 한동안 뜸하셨고요. 사실 저는 정치인들에 기대가 크지 않은지라 그냥 그런가보다 합니다.
트럼프가 소외당한 사람들의 목소리가 되어준 것은 사실이죠. 그게 대통령이 가장 잘하는 부분이고요. 그덕인지 그사이 백인 노동자들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당장 지난주 이코노미스트지 표제 기사가 ‘Left-behind’ 이기도 합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저소득층 백인들의 사이다가 되었다는 것과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건 좀 다른 이야기 인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