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문화와 성평등

일전에 올린 [실리콘 밸리와 직장문화] 포스트에 Santacroce G Nam 님이 댓글을 달아주셨다. 답변이 길어져서 따로 포스트로 옮겨둔다.

산타크로체님: 매우 흥미있는 이슈인데 관련 글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직 정리된 생각은 아니지만 테크기업의 짧은 기술생애주기를 생각하면 예를들어 유럽식의 5주 휴가나 35시간 근무제 또는 매우 관대한 출산 및 육아휴가가 제도적으로 가능할까 싶긴 합니다. 어쩌면 조악한 방식으로 야근을 강요할 필요도 없이 Task 중심의 성과보상 체제라면 능력에 따른 업무 투입 시간은 상당한 개인차를 보일 것 같기도 합니다. 일정한 결과물을 제 시간안에 도출하는 것만 고려한다면 주 20시간을 일하든 집에까지 업무를 가져가서 50시간 이상을 일하든 상관하지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특히 관대한 출산육아 휴가가 보장되어 1년 정도 업무 공백이 생긴다면 스맛폰 같은 경우는 한 버전을 건너 뛰는 꼴인데 매니저는 생산성의 유지에 대한 고민이 들 것 같고 휴가 해당자는 커리어에 대한 고민이 들 것 같기도 합니다. 당연히 피고용자 입장에서는 유럽식이 좋긴 하겠지만 현 미국 테크기업이 그런 업무 스타일을 전면적으로 채택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나온 이야기였습니다.

나:
말씀하신 대로 실리콘 밸리 기업들은 대부분 task 중심의 성과 보상체제를 운영한다고 들었습니다. 굳이 실리콘 밸리가 아니더라도 미국 기업 대다수가 ‘일만 제 때 끝나면 근무시간이야 무슨 상관이람.’ 이란 마인드를 가진 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이것도 기업마다 달라서 온도차가 큽니다. 사실 성과중심체제가 일의 양을 줄인다기 보다는 더 과도한 일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아마존이 이슈가 되었던 것은 너무나도 과도하게 성과를 몰아부쳐서이기도 합니다.

또 말씀하신대로 업무 스타일에 따라 직무별로 flexible한 업무 수행이 가능한 일이 있고 아닌 일도 있습니다. 다만 근무 환경과 회사 문화가 좋은 회사일 수록 한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시스템적으로 일이 진행되도록 하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말씀하신대로 특히 순간순간 트랜드가 변하는 테크 쪽에서는 그다지 먹히지가 않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시스템으로 일하려고 해도 사람이 몸으로 떼워야 할 부분이 분명 있기도 하고요.

제가 이왕 출산휴가 이슈를 제기 했기에 마지막으로 성평등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자면, 유연한 근무환경을 만드는 것이 성평등(특히 남녀 임금 격차 부분)을 가져오는 데에 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에 vox에서 만든 동영상을 본적이 있는데, 2009년에 시카고대 MBA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하버드대 Bertrand 교수 팀), 직군에 따라 임금 차이가 다릅니다. 이를 테면, 테크나 과학쪽 일 처럼 철저하게 성과중심인 직군은 유연한 근무가 가능하기에 성차이에 따른 임금차이가 적은 반면, 미팅이나 팀웍이 중요한 경영관련 직군은 임금차이가 큰 편이었습니다.

해당 페이퍼: Dynamics of the Gender Gap for Young Professionals in the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ec%ba%a1%ec%b2%98

image source: 해당 기사

.

이와 관련해서 또하나 흥미로운 연구 결과는 미국 약사의 남녀간 급여 차이입니다. 미국 약국은 옛날에는 한국처럼 개인 사업자가 많았고 따라서 한사람이 몸으로 때워야하는 구조였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미국의 약국은 기업화되어서 여러사람이 교대 근무가 가능해 졌습니다. 이 때문에 융통성 있는 근무가 가능해졌죠. 이 변화가 일어났던 30~40년 사이에 남녀의 임금 격차는 드라마틱하게 줄었습니다. 1970년 남성의 66%의 임금을 받던 여성 약사들이 지금은 92%의 임금을 받고 있습니다.

참고 그래프: What’s your pay gap? (WSJ, 5월 17일자)

참고자료
The truth about the gender wage gap (vox, 8월 1일자)
동영상 https://youtu.be/13XU4fMlN3w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