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에서는 (한국으로 치면 한은) 일년에 8번 The Beige Book을 발행한다. 원래 명칭은 Summary of Commentary on Current Economic Conditions인데 길기도 하고 해서 친근하게 베이지 북이라고 부른다. 커버가 베이지 색이라서 그렇다나.
베이지북의 컨셉은 이렇다. 보고서를 지나치게 숫자/도표 위주로 보고서를 발행하다보면 실물 경제가 돌아가는 걸 놓치기 쉽다. 그래서 기업이나 소상공인들에게 직접 전화로 물어서 수집한 사례 위주로 추가 보고서를 만든다. 당연히 베이지북에는 숫자가 거의 없다. 숫자로 표현되는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과거를 볼 수밖에 없기에 한계가 있기도 하고.
어쨌든.
한 팟캐스트에서 이번 호 베이지북을 소개해주었다. 아래 베이지북 링크와 함께 소개한다. 그중에서 몇개만 요약하자면,
첫째는 보스턴 지구의 커맨트. 미국 실업률과 임금 상승에 관한 이야기이다. 미국이 최근 완전고용상태로 들어섰음에도 임금 상승은 정체되었는데, 요즘 경제학자들의 미스터리다. 어쩌면 그에 대한 실마리가 될 수도 있는 커맨트.
확실히 보고서 사례들로 보면 요즘 미국 기업들이 사람구하기 힘든게 맞나보다. 한 공장은 신규 공장 건설에 자리가 안채워져서 3달 정도 인력충원 계획이 지연되고 있다고.
흥미롭게도 사람이 없어서 힘든 와중에도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회사들이 새로 고용하는 사람들에게 높은 임금을 제시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이유는 그렇게 되면 기존 직원들의 봉급도 올려줘야 하는데 이것보다는 오히려 야근을 시키는게 더 경제적이라고…
두번째는 필라델피아 지구의 커맨트. 소비 심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올해 비정상적인 추위로 이 지역의 코트 매출이 증가했다고 한다. 그리고 딱 드라이하게 한문장이 덧붙여 있다.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려고 보석가계에 늘어선 줄이 인상적이었다’
보석을 산다는 이야기는 소비 심리가 긍적적이라는 이야기지 않나? 이런 커맨트는 책상에 앉아서 숫자 분석 해서 나올 수 없는 종류의 것이다.
마지막으로 클리블랜드 지구의 커맨트. 이것도 일종의 사람들 소비 심리에 대한 이야기다. 연준 담당자가 패스트푸드점 인터뷰를 하면서 들은 이야기라고. 패스트푸드점 주문당 매출액은 무인주문기를 이용할 때 훨씬 높다고 한다. 이건 사람들이 건강에 안 좋은 음식을 몰래 먹는 심리인가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길. 경제 신문 읽는 것 보다 좀더 현장감있다.
Beige Book (Jan/2018)
어떤 팟캐스트인지 여쭤도 될까요?
NPR에서 하는 팟캐스트입니다. https://itunes.apple.com/us/podcast/the-indicator-from-planet-money/id1320118593?mt=2&i=100040016629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