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수다

며칠전에 지인과 페북에서 코맥 맥카시 수다를 떨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나는 영화를 본적이 없었고, 넷플릭스에서 찜만 해두었었다. 내게는 ‘언젠가는 보려 했지만 선뜻 손은 안가는’ 그런 류의 영화.

Image result for no country for old men

내친김에 넷플릭스에 들어가 보니 며칠안에 영화를 내린다고 했다. 나는 부리나케 영화를 봤다.

영화는 무겁고, 잔인하고, 불친절하다. 심지어 배경음악도 거의 없다. 그렇지만 워낙 몰입감이 쩔어서 보는 내내 숨죽이고 봤다. 나는 잔인한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데… (못 보는 건 아닌데, 굳이 불쾌한 경험을 찾아가며 할 필요는 없다는 생각.) 킬러가 워낙 예측 불허라서 언제 사람을 죽일지 몰라 조마조마 하고 본 거 빼고는 그냥 볼만했다.

영화에 나오는 희대의 킬러 안톤 쉬거는 이해가 불가능한 존재이다. 동전 던지기는 그에게 죽음과 삶을 가르는 신성한(?) 의식이다. 잠깐 생각해봤다. 작가가 인생은 이해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삶과 죽음은 결정적으로 운에 달렸다는 메세지를 주는게 아닐까 싶었다.

어떠한 아이디어를 극단적으로 밀어부치면 그 아이디어에는 논리적인 구멍이 생기게 마련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 극단의 아이디어는 고유의 가치를 가지게 된다. 사람의 생과 사가 우연으로 결정된다는 하나의 아이디어는 지나치게 극단적이고, 그 아이디어를 존재 자체로 증명하는 쉬거는 공포와 혼돈이다. 영화에서도 그는 사람들에게 싸이코패스라고 불린다.

이건 다른 이야긴데, 나는 머리 속에서 공리주의의 벤담이 떠올랐다. 언젠가 한번 수다를 떨 기회가 있겠지만, 세상의 모든 가치를 공리 utility로 압축하고 숫자로 quantify할 수 있다는 그의 아이디어는 지나치게 극단적일 뿐 아니라 많은 사람을 불쾌하게 한다. 하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이 아이디어가 근대 서양의 수많은 사상의 토대가 (특히 경제학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다.) 되었다는 건 아이러니다.

영화를 보고서 위키를 찾아 읽었다. 어떤 분들은 쉬거의 존재를 재앙으로 해석하더라. 타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재앙은 갑자기 들이닥친다. 이성적인 이해나, 논리적인 설명이 불가능 하다. 삶과 죽음의 문제 앞에서 이성과 논리가 무슨 힘을 가지고 있는가. 평생을 계획하고 성실하게 살아온 사람도 재앙의 방문에는 무력하다. 인간은 연약하고, 그럼에도 살아야하는 인생이 버겁다. 지인의 말처럼 (그리고 보완관 에드의 말처럼) overmatched이다. 극단적인 아이디어는 역시 극단적인 상황을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영화를 보며 한편으로는 내내 엘파소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영화의 배경은 멕시코와 미국의 접경 도시 엘파소이다. 그리고 바로 며칠전 엘파소에서 백인 우월주의자의 총기 난사가 있었고 월마트에서 40여명이 죽거나 다쳤다.

Image result for el paso

내가 알기로 엘파소가 그렇게 위험한 곳은 아니다. 그러니까 영화를 보고서 상상할 만한 그런 곳, 멕시코 갱단이 길거리를 활보하는 그런 곳은 당연히 아니다. 또 엘파소는 우리 트황상의 말만 들으면, 멕시코에서 건너온 범죄자들이 득실대고 총질과 마약거래를 보는게 일상인 동네일 것 같지만… 실상은 치안이 가장 좋은 동네 중 하나이다. 아무래도 군병력이 주둔한 곳이고 하다보니 오히려 안전한 동네가 됐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차로 10시간 걸려 댈러스에서 운전을 하고온 백인 우월주의자가 더 위험한 존재지.

국경지대라는 곳은 참 묘한 곳이다. 두개의 다른 국가의 정체성이 하나의 선으로 나뉘는 곳. 국가라는 정체성이 마찰을 일으키는 그곳 만큼 폭력을 상상하기 딱 어울리는 곳이 없다.

코맥 맥카시는 엘파소에서 20년을 살았다고 한다. 그는 핏빛 자오선,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말고도 국경 3부작을 썼는데… 그의 작품속에 그려진 폭력의 세계는 그 국경이라는 독특한 환경에서 자란게 아닐까 싶었다. 요며칠 그 폭력을 영화에서 그리고 뉴스에서 동시에 보았다. 영화처럼 현실도 불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