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지역의 역학관계와 IS

예전에 세상 모든 국가/단체에게 어그로를 끄는 IS가 어떻게 유지 가능한가 하는 의문을 가진 적이 있었다. IS의 적대 세력은 다음과 같다.

시리아 아사드 정부, 시리아 반군, 시리아 쿠르드, 터키, 미국/EU, 이스라엘, 이라크 정부, 이라크 쿠르드, 이라크 시아, 이란, 러시아, 알카에다… 그야말로 모두의 적이다. (관련 포스트)

나의 작은 의문은 산타크로체님의 포스팅을 보고 정리가 되었다.

완전한 권력의 공백 보다는 그나마 나은 IS 세력. 석유와 그에 얽힌 이해관계. 난민문제. 등등등 아~ 복잡다.

산타크로체님의 포스트: 시리아 난민은 많은데 이라크 난민은 왜 안보일까? ISIS가 건재한 이유, 러시아 개입의 위험성

Capture

같이 볼만한 TED 강의도 공유한다. 5분짜리라 부담없다.

현지인에게는 (당장 내일의 생존이 보장되지 않는) 무정부 상태의 혼란보다는 ISIS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정부조직 서비스 (전력, 치안, 쓰레기/하수 처리 등등…)가 낫다.

B형 남자의 불편함

많은 분들이 IS와 무슬림을 동일시 한다. 듣는 무슬림 기분 나쁘다. 무슬림은 시아가 있고 수니가 있으며, 그 안에서도 차이가 많다. IS는 그중에서도 왕따 같은 애들이다.

많은 분들이 에볼라때문에 아프리카 사람과 접촉하길 꺼려한다. 듣는 아프리카 사람들 기분나쁘다. 에볼라는 서아프리카에 퍼졌다. 서아프리카에서 남아프리카는 비행기로 7시간 거리다. 프랑스 파리까지는 6시간. 누구도 파리와 에볼라를 연결지어 생각하지 않는다.

Capture

많은 분들이 일부 기독교인의 비리를 듣고 기독교를 욕한다. 듣는 기독교인 기분 나쁘다. 성경을 배우는 것과 실천하며 사는 것이 꼭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그 안에도 다양한 사람이 있다.

외국인이 한국사람에게 김정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고 묻는다면 당황스럽다. 북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사는 사람은 별로 없고, 우리를 북한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것 같아 불편하다.

한국에서 왔다고 할 때, 도쿄에 가봤다고 하는 사람을 만나면 당황스럽다. 행여라도 일본과 한국을 같다고 여기는 게 아닐까 싶어 차이를 열심히 설명해 본다. 근데 의미 없다.

어떤 분이 유럽은 이렇다라고 말하면, 궁금하다. 어디 유럽을 말하는 것일까. 복지를 말할 때 북유럽/독일을 말하는 것 같기도 하다가 관광을 말할 때는 프랑스/이탈리아를 말하는 것 같기도하다. 유럽을 통째로 말하는 건 한국/일본을 동일 선상에 놓고 말하는 것보다도 훨씬 무모하다.

사람들이 미국을 하나의 인격체처럼 말하면 당혹스럽다. 철저히 개인주의적이고 상호 경쟁 시스템이 작용하는 미국을 하나로 보기는 참 어렵다. 정부/군대/상원/하원/학계/기업/남부/동부/서부 등등… 모두 다른 생각과 목적을 가지고 따로 행동하는 entity들이다.

B형이라고 괴팍하고 한 성깔하는 시크한 남자라고 지레 짐작해버린다면, 기분 나쁘다. 내가 시크한건 맞지만 무지하게 부드럽고 상냥한 남자다.

IS와 이슬람

최근에 페북에 IS와 이슬람에 관련한 글을 몇가지 올렸다. 이슬람과 IS에 관심있으신 분들에게 참고가 될 것 같아서 정리해서 블로그에도 공유한다.

첫째

IS 관련한 이코노미스트지 차트를 보고서

BxltODxIcAA5FT1

출처: Jihadist friends and foes (economist daily chart)

알카에다는 그래도 시리아 반군과는 사이가 나쁘지 않다고 한다. 요새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IS는 누구와도 사이가 좋지 않다. 네거티브 전략일까? 계속 유지하기 쉽지 않아보이는데…

둘째

이슬람인의 관점에서 IS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궁금했었다. 흔치 않은 한국인 이슬람교인인 김은수씨께서 ‘정통 이슬람’의 관점에서 이부분을 정리해 주셨기에 공유한다.

정통 이슬람이 바라본 IS의 교리적 문제점 (페북 링크)

곁다리로 배운 게 있다. 이슬람인들은 코란을 축자적으로 (단어 하나하나를 문자 그대로) 해석한다는 것이다. 이는 선지자 무하메드의 코란과 하디스가 알라의 계시라는 전제가 바탕이 되어있다. 선지자 무하메드가 설파한 원문이 비교적 온전히 보전되어 있기에 타당한 접근법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지지하는 기독교의 성경 접근방법은 문맥과 의미에 집중하여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읽는 것이다. 이슬람인들이 코란을 읽는 방법과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물론 내가 아는 몇몇 분들은 성경을 축자적으로 접근해서 나를 답답하게 만들기는 한다만은… (이건 옳다 그르다에서 오는 답답함이 라기 보다는 근본적인 다름 때문에 오는 답답함이다.)

셋째

두번째 글 (축자적인 이슬람 코란 해석)에 대한 댓글들

Q: 근데 꾸란의 원문이 보존된거 맞아? 인쇄술은 모하메드 이후 몇백년후에 나온거라 그전엔 결국 필사되었을텐데…

꾸란에 대한 위키피디아 링크

나의 댓글: 제가 꾸란에 별로 아는 바가 없어서 적절하게 답을 할 수 있을런지 모르겠네요. 꾸란 원전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방법은 아마 성서비평학의 방법 (여러가지 사본을 교차 검증하는 방식)이 쓰였을 것 같습니다. 성경학자들과는 달리 무슬림들은 필사의 오류에 대해서는 그다지 언급이 없는 것으로 봐서 원본이 잘 보존되었다고 인정이 되는 것 같아요. 성경과 마찬가지로 필사가 되었겠지만, 비교적 최근에 쓰인 책인지라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형의 링크를 보고서 저도 좀 찾아봤는데, 꾸란이 처음부터 글의 형태로 내려왔던 건 아니군요. 모하메드의 이야기가 구두로 전승되다가 첫번째 칼리프부터 문서화가 되었고, 세번째 칼리프 Uthman부터 정본이 공표되었다고 하네요. 비교적 초기에 정본이 정립되었기에 원본의 진위에 대한 논란이 적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