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중이긴 하지만, 뉴스를 챙겨보는 건 습관이다. 오늘은 영국에 나름 중요한 경제뉴스도 있고 해서 짧게 감상을 남긴다. 영국에 있는지라 아무래도 영국 뉴스에 관심이 생겨서리…
여행중이라 꼼꼼히 뉴스를 읽을 여유도 없고 영국 경제를 잘 모르기도 해서 그냥 감상 수준의 잡담이다.
BBC 뉴스를 틀어보니 아침부터 신임 하몬드 재무장관의 추계보고서 이야기로 시끌벅적하다. 추계보고서는 3년치 정부 지출 규모와 영국 경제 전망을 국회에 보고하는 행사이다. 보통은 4월에 있는 budget 보고가 더 중요하지만, 이번에는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첫 보고인지라 나름 의미가 있는 보고.
관련해서 bbc 뉴스 링크
Autumn Statement: Hammond defends post-Brexit economy forecasts (11월 25일자)
이번 보고서를 두가지로 요약하면, 향후 영국 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 그리고 재정정책이다.
하몬드 재무장관의 보고에 따르면 브렉시트 이후 영국 경제는 험난한 앞길이 예상된다. 전임 재무장관 조지 오스본은 2017년 2.2%, 2018년 2.1%로 경제성장을 전망했으나 하몬드는 이를 1.4%, 1.7%로 낮춰 잡았다. 그만큼 브렉시트의 그늘이 짙다는 이야기. 이에 영국 정부의 빚부담은 증가하게 되었는데 관련 도표는 아래 참조.
당연히 브렉시트를 찬성했던 측에서는 이 전망이 너무나도 비관적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예를 들어 브렉시트 찬성파였던 John Redwood 의원 같은 사람은 하몬드의 GDP 예상치가 너무 낮고 정부 부채 증가량 예상치가 너무 높다고 했다. 또 브렉시트 찬성파 Daily Mail도 오늘 일면기사 제목을 ‘So much for Mr Gloomy.’ 라고 냈다. 마침 오늘 여행중에 Tesco에 들릴 일이 있어서 Daily Mail 표지를 사진으로 찍어 뒀다.
브렉시트 찬성론자들은 브렉시트 진행 이후에도 영국의 경제성장률은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러한 전망은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인다. 현실적으로 EU 물량이 영국 수출의 절반이다. 영국이 EU 단일 시장을 잃으면 아무리 파운드가 떨어졌다해도 수출에 타격이 갈 수 밖에 없지 않나? 게다가 수입품의 가격이 오르면 인플레이션이 불가피하고… 아무래도 서민층에 직접 타격이 갈 수 밖에 없다. (신임 총리 테레사 메이가 JAM, just about managing이라고 칭한 600만명의 저소득 노동자들에게는 특히나 더 그렇다.)
다음은 재정 정책이다. 아무래도 트럼프 이후, 세계적으로 재정정책이 트랜드인 것 같다. 하몬드의 보고서에는 230억 파운드의 추가 인프라 투자가 포함되어 있다. 물론 하몬드의 추가 인프라 투자에도 내년 성장률은 하락 할 것이 예상되긴 한다.
어쨌든 그의 계획대로라면 전임자가 약속한 2020년 영국 재정 흑자 전환 계획은 좀더 뒤로 밀려나게 된다. 긴축재정은 물건너 갔다. 그래서 시장은 재정정책을 긍정적으로 보았고, 파운드는 강세로 돌아섰다.
하나 흥미로운 것은 하몬드의 성향이다. 그는 사실 정치색이 거의 없는 사람이다. 카리스마도 없는 실무형 인재로 심지어 별명이 spreadsheet Phil일 정도이다. 엑셀 전문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재미 없는 사람에게 다소 모험적인 재정 정책 드라이브를 걸어야할 책임이 주어졌다.
오히려 카리스마 있는 사람으로 꼽혔던 건 전임인 조지 오스본이었다. 카메룬 총리 아래서 그가 긴축재정을 시도했던 것을 생각하면 정말 아이러니다. 개인적으로 이런게 참 재미있다. 어쩌면 역사는 이런식으로 우리에게 농담을 던지는 건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