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인이 바라보는 홍콩

어제 페북에 올린 글을 옮겨 둔다.


홍콩에서 벌어지는 일이 심상치 않다. 일요일만 해도 대규모 시위 정도로 뉴스를 흘려 들었는데, 어제는 최루가스와 물대포가 등장했다. 주말 시위는 규모가 컸고 노인들과 가족들이 주축이었다. 많은이들이 처음 시위에 참여했었다. 반면 어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이 주였고, 그만큼 과격했다고 들었다. 학생들은 마스크를 쓰고 신분을 숨기면서 최루탄을 대비하고 어느정도 충돌까지 각오하고 나왔다.

Image result for hong kong protest

(사진 출처: ABC News)

오늘 아침 NPR 뉴스를 듣는데 감정이 동하더라. 기자가 시위현장에서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18세 소녀를 인터뷰 했다. 기자는 그 친구에게 이렇게 혼란스러운 홍콩을 떠날 생각도 있는가 물었다. (나는 바보 같은 질문이란 생각이 살짝 들었다.) 의사가 되는게 꿈인 그 소녀는 가끔씩 떠날 생각을 한다고 했다. 그치만 여기가 내 고향이고.. 그런데 여기. 살기가 참 힘드네요 라고 대답하고 울음을 떠트렸다. 울음을 멈추고서 소녀가 이어서 한말은 베이징 사람들은 홍콩사람들이 권위에 복종하기를 원하지만 우리는 자유를 맛본 사람들이기에 그럴수 없다. 홍콩인들은 결코 베이징에 복종하지 않을 거다라고 말을 잇는다.

경계인. 어찌보면 나하고 별 상관 없는 홍콩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 내게 중요하게 여겨지는 건 경계인인 나의 정체성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10년이 조금 못되게 미국에서 소수민족으로 살고 있다. 그러면서 미국인도 아니고, 그렇다고 이제 한국도 조금은 멀어진 경계인이 되어간다. 딸아이가 언젠가 그런 이야기를 했다. 미국에서 친구들과 있으면 걔네들은 자기가 동양 사람 같다고 하고, 한국에 가면 미국애 같다고 한단다. 딸애 말에는 비감이 1도 섞이지 않았건만 나는 슬프게 들리더라.

홍콩은 참 독특한 곳이다. 이를테면 영국식 ‘tea culture’와 중국의 ‘차 문화’가 짬뽕되어 있다. 호텔 같은 곳에 가면 영국식으로 밀크티에 스콘과 케익을 곁들여서 즐길 수 있지만 바로 길건너 시장만 가도 중국식 차를 길거리에서 딤섬과 먹는다.

공교롭게도 차는 홍콩이 영국의 식민지가 된 이유중에 하나이기도 했다. 영국사람들은 대항해 시대에 중국이 재배하는 차에 맛을 들였다. 영국인은 차를 대신해서 은을 교환했었다. 그러나 금새 영국 은은 바닥이 났고 대안으로 영국은 중국에 아편을 보급한다. 그래서 시작된 아편 전쟁에서 영국은 승리했고, 홍콩을 중국에서 99년간 빼앗는 조약을 맺었다.

영국인은 홍콩에 영국 문화를 이식한다. 식민지배는 고통스러운 경험이었겠지만, 100년의 시간은 그들을 중국인도 아니고 영국인도 아닌 홍콩인이 되게 했다.

2002년에 나는 캐나다에 어학연수를 갔었다. 그때의 경험이 나를 일종의 globalist로 만들었다. 나는 마냥 젊었고, 인종/성별/언어/나이에 관계없이 섞여서 어우러지는 그 감흥에 취했다. 그때 알았던 홍콩 출신 게리가 가끔 생각난다. 처음에는 중국 사람들은 다 똑같은 줄 알았는데, 북부 출신, 남부 출신, 내륙 출신 모두 달랐고, 대만과 홍콩은 또 다른 느낌이었다. 그중에서도 홍콩 출신이라면 왠지 모를 세련된 느낌?

홍콩은 이제 예전 같은 위상이 아니다. 한때 아시아의 진주로 불렸던 곳이나, 지금은 중국의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서 경제력이 크게 낫지도 않다. 바로 마주보는 선전과 비교하면 오히려 지금의 홍콩은 시설이 낡고 오래된 도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9년의 식민지 경험은 홍콩을 독특한 곳, 그러니까 영국도 중국도 아닌 곳으로 만들었다. 홍콩인이 자신을 홍콩인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건 아이러니 하게도 5년전 있었던 우산 운동이 계기였다. 우산운동은 어떤 관점에서 보자면 실패한 혁명이다. 시위 주동자들은 지금 모두 감옥에 있고, 중국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더욱 강화했다. 그러나 이를 기점으로 정치에 별 관심이 없던 홍콩의 중산층이 자신을 홍콩인이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홍콩대에서 연구한 여론 조사를 본적이 있다. 우산운동 이전까지는 자신을 홍콩인이 아니라 중국인이라고 답한 사람이 점차 느는 추세였으나, 우산운동을 기점으로 추세가 역전이 되었다.

그리고 홍콩인 들은 천안문 사건을 추모하기 시작한다. 매해 빅토리아 공원에 모여서 촛불을 들고 천안문에서 죽은 학생들을 기억한다. 그 행사는 매년 커져서 수천명이 모이는 행사가 되었다. 정작 중국에는 천안문에 대한 언급 조차 엄격하게 금지되어 있는데, 홍콩은 (마카오를 포함) 유일하게 그것이 허용된 곳이다. 지난주에 있었던 30주년 행사도 몹시 컸다. (관련 뉴스 영상 아래) 올해가 마지막 합법적인 행사가 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사람들이 더욱 몰렸다.

 

생각해보면 그들의 추모라는 건 참 우울하기 짝이 없다. 홍콩인들에게 30년전 천안문에서 일어난 사건은 어찌보면 별 연관이 없다. 그때는 아직 영국의 통치아래 있었거든. 그런데도 그들은 그 사건에 크나큰 동질감을 느끼는 거다. 거대한 중국의 힘앞에서 어찌보면 아무 힘이 없는 저항인데, 그래도 그들은 끝까지 버틴다. 공교롭게도 30년전 6월에 중국 정부는 대학생시위에 군대를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지금도 동일하게 군대가 진군해 있다. 뭐랄까… 이럴때는 역사가 정말로 반복되는구나. 그런 생각이 들기까지 한다.

언젠가 홍콩인들 인터뷰 영상을 본 적이 있다. 인터뷰어가 우산 운동이 무슨 의미냐고 묻는데, 대답한다. 역사를 바꾸고자 하는게 아니라. 그저 저항을 했었다는 기록을 남기고자 하는 거라고.

이코노미스트지 선정 2018 올해의 국가

해마다 크리스마스 즈음, 이코노미스트지는 올해의 국가를 선정한다. 선정기준은 원래부터 넘사벽 국가가 아니라 그해에 가장 드라마틱한 성과를 보인 나라이다.

관련 기사

The Economist’s country of the year 2018 (12월 18일자)

연말은 왠지 뭔가를 뽑아야 할 것 같은 때이고, 거기에 올해의 국가 뽑는 거 더하는게 어색할리가 있을까. 그치만 따져보면 올해의 국가를 뽑는 건 어지간히 어려운 일이다. 국가라는게 한해 반짝 잘됐다고 계속 잘되는 것도 아니고, 한번 크게 삽질했다고 선진국이 갑자기 개도국이 되는 것도 아니다.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는게 쉬운일도 아니고 부자가 망해도 삼대는 간다는데…

2017년 이코노미스트지는 올해의 국가로 프랑스를 선정했다. 작년 말엔 그만큼 마크롱의 개혁에 거는 기대가 컸었다. 그치만 노란 조끼 운동으로 올 겨울 기세가 완전 꺽인 프랑스(와 마크롱)를 보면, 역시 한두해 반짝 한 걸 가지고 나라를 평가하는게 얼마나 어려운가 실감하게 된다.

작년에 2위에 올랐던건 한국이었다. 작년 세계인의 눈에는 한국의 존재감이 끝장이었다. 이코노미스트지는 박근혜 탄핵, 이재용 수감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문대통령의 외교 점수도 높았는데, THAAD 로 인한 중국의 위협을 최소화하고 트럼프의 한미 FTA 취소 협상을 교묘하게 연기 시킨 것에 큰 점수를 부여했다.

혹시나 오해를 줄이고자 덧붙이자면, 나는 한국 정치를 잘 모르고, 문대통령을 지지도 비난도 안하는 편이다. 대통령이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고 보지만 내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다. (물론 트럼프는 미국 사는 내게 큰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견디기 힘들다.) 삶의 기쁨과 고뇌를 한 인물에 투영해서 생각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 어떤 인간도 나를 구원할 수 없다.

그리고 외신이 한국을 보는 시각도 필요 이상 의미를 부여할 이유가 없다. 외부인의 시선이기에 신선하고, 다른 관점에서 생각할 여지를 던져 주지만, 결국 우리의 문제는 우리의 문제일 뿐이다.

어쨌든…

작년에 이코노미스트지가 한국 말고 프랑스를 선정한 이유는 여전한 북한의 위협 때문이었다. 돌이켜보면 작년만 해도 남북 관계는 몹시나 험악했다. 뉴스를 볼 때마다 한국에 계신 부모님이 생각나더라. 그러던게 신년사와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평화무드가 조성 되었고, 올 상반기는 한국인들이 평화 euphoria를 경험했다. 만약 올해의 국가 선정이 연말이 아니고 여름이었다면, 한국이 선정되었으리라.

그럼 2018년 올해의 국가는 어딜까. (자조 유머의 달인) 영국 사람들 답게, 영국을 뽑자는 의견도 있었다고 한다. 영국처럼 부유하고, 평화로우며, 안정된 나라도, 순간적인 감정으로 이뤄진, 대책없는 결정으로 나라가 일순간에 헌정 위기의 상황에 처해질 수 있다는 타산지석이 충분한 선정 사유가 된다는 것. ㅎㅎㅎ

영국을 제치고(?) 2018년 올해의 국가로 선정된 곳은 아르메니아다.

아르메니아. 부패가 만연한 가난한 나라에서 올해 무슨 일이 있었나. 독재자 세르지 사르키산이 사퇴를 했다. 사르키산은 2008년 부터 10년동안 대통령을 했다. 아르메니아 헌법상 삼선이 불가능했고, 사르키산은 내각제로 개헌을 하고 총리가 되는 편법을 쓴다. 눈가리고 아웅에 전국적인 시위가 벌어졌고, 결국에 사르키산은 하야한다. 이후 선거에서 70%의 지지를 받은 야당 지도자가 총리를 이어받았다. 언론들은 이를 아르메니아 벨벳 혁명이라고 부른다.

물론, 아르메니아는 여전히 쉽지 않다. 열강에 둘러 쌓여 있는데,( 터키/러시아/범아랍권) 그나마 친러시아을 표방하며 생존을 모색하는 가난한 나라이다. 아제르바이젠과의 영토 분쟁이 재발할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 그럼에도 이코노미스트지가 아르메니아를 올해의 나라로 선정한 것은, 여러모로 열악한 상황임에도 민주주의가 자리잡을 가능성을 보여줬다는게 이유이다.

아르메니아 인이여, 건투를 빈다!

Image result for armenia

산업혁명 초기 영국에서 일어난 일들 – 1733년 맨체스터

Empire of Cotton 이어서.

18세기 후반 맨체스터는 혁신의 심장부였다. 지금의 실리콘밸리와 비견할 만한 기술혁신이 이뤄진 곳이 당시 맨체스터와 그 일대 랭커셔 지방이다. 18세기 가장 핫했던 테크 산업은 섬유업. 그시절 랭커셔 지방에는 역사상 처음으로 공장이란게 세워졌고, 시골이 도시로 변했으며, 수만명의 사람들이 농장에서 공장으로 이동했다.

무엇보다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증가한다. 첫번째 혁신은 1733년 weaving 제직 공정에서 시작한다. John Kay가 flying shuttle이라는 목재 제직기 (실을 짜는 일종의 베틀)를 발명한다. 지금 기준으로는 상당히 단순한 기계였지만 한번 작업으로 양쪽에서 천을 짜주기 때문에 생산성이 2배로 향상된다.

제직공정 생산성이 향상되자 바로 앞공정인 spinning 방적공정에 부하가 걸린다. 짧은 뭉치를 긴 실로 만드는 방적 공정에서 혁신이 일어난 건 1760년대. James Hargreaves 하그리브스가 spinning jenny를 발명한다. 실뭉치를 앞뒤로 늘려서 실을 자아내는 spinning jenny는 방적공정 생산성을 세배로 늘린다. 1769년 Richard Arkwright 아크라이트는 이 방적기를 수차에 연결해 수력방적기를 개발하고, 1779년 Samuel Crompton 크롬프턴은 spinning jenny와 수차를 합하여 mule 뮬 발적기를 발명한다.

이제 다시금 후공정인 weaving 제직에 부하가 걸린다. 1785년 Edmund Cartwright 카트라이트가 제직기를 수차에 연결한 power loom을 개발하면서 제직공정이 방적공정의 생산성을 따라 잡게된다.

19세기 초 면직물 제조업은 산업화를 완성한다. 마지막 결정타로 면직물 제조업자들은 James Watt 와트가 1769년에 발명한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활용하고, 이에 생산성은 다시한번 도약한다.

이제 영국의 면화산업은 인도의 면화산업에 확실한 비교우위를 갖게되었다. 당시 인도의 경우 100파운드의 원면을 방적하는데 5000시간이 필요했다. 영국은 1790년에 mule방적기를 활용해 이를 1000시간으로 줄였고, 1795년에 수차를 이용하면서 300시간. 1825년 Roberts의 자동 mule 방적기 발명으로 135시간으로 줄였다. 불과 몇십년 사이에 370배의 생산성 향상을 보였다.


(그림: 1835년 랭카셔 – 뮬 방적기)

생산성의 급격한 향상은 면직물 가격의 하락을 가져온다. 1795년부터 1811년 사이에 면직물 가격은 반값으로 떨어진다. 이제 품질/가격 면에서 인도산은 영국산과 견줄수 없게 되고 인도 면제품은 서서히 퇴출되기 시작한다.

반면 영국 경제는 호황을 누린다. 산업혁명 시기 영국의 면섬유산업은 소자본으로도 큰 수익을 보장하는 대박 아이템이었다. ROI를 보자. 당시 대표적인 면제조 회사였던 Cardwell & Birle 은 연평균 투자자본회수율이 13.1%, N. Dugdale이 24.8%, McConnel & Kennedy는 16%에 이른다. 더욱 놀라운 점은 이들의 사업확장이 외부의 자금 유입없이 이루어졌다는 것. 당시 공장주들은 Retained Profits 즉 이익잉여금을 재투자하면서 사업을 확장했다.

앞에서 언급한 McConnel & Kennedy의 예를 다시 들어보자. McConnel은 원래 방적기 제조업자였다. 그는 주문받은 방적기 2대의 대금을 지불 받지 못하게 되자 자신이 그 방적기로 대신 사업하기로 마음을 먹는다. 이에 Kennedy라는 투자자를 만나서 500파운드를 투자받는다. 1791년 그렇게 두개의 방적기로 시작한 사업이 1797년 7464개의 방적기를 돌리는 규모의 사업으로, 1810년에는 78972개의 방적기를 돌리는 사업으로 급성장한다. 당시 영국의 다른 면사 공장과 동일하게 이들도 사업을 retained profits 이익잉여금을 재투자하여 늘려갔고 1799년에서 1804년, 5년 동안 평균 26.5%의 수익을 보았다.

산업혁명 이야기는 이정도로 마무리 짓자. 오늘도 분량 조절에 실패했다. 왜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났는가도 좀더 이야기 하려했었는데 손가락이 슬슬 아파온다. (너무 딱딱한 숫자만 늘어놔서 읽는 사람도 벌써 질렸겠지… 오늘은 좀 망한 글인 듯.) 저자는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유로 로버트 앨런 교수의 이론을 활용한다. (앨런 교수 주장은 ‘세계 경제사’라는 제목으로 한국에도 번역되어 소개되어 있다. 궁금한 분은 책을 사면된다.) 거칠게 요약하자면 앨런 교수는 영국의 높은 인건비가 기계화 산업화를 일으킨 주된 원인이 되었다고 말한다.

이에 대해서는 예전에 포스팅한 적이 있으므로 아래 링크 참조.
생산성과기술혁신 (2월 28일 포스트)

또 예전에 홍춘욱 박사님께서 세계 경제사의 해당 내용을 포스팅 한 적이 있다. 아래 링크 참조.
세계경제사산업혁명 당시 영국의 임금이 상승하고 일자리가 늘어난이유는?

마지막으로 슘페터를 이야기하면서 마칠까 한다. 기술혁신 하면 슘페터 아닌가. 슘페터는 자본주의의 기적은 부를 민주화하는 데에 있다고 했다. 슘페터의 예를 인용한다. 자본가들이 세상에 어떤 기여를 했을까. 산업화가 되었다고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비단 스타킹을 더 갖게 되는 건 아니다. (돈이 많다고 부자가 양말을 무한정 살리가 없지 않은가) 오히려 그로 인해 공장 여공들은 스타킹을 신을 수 있게 되었다. (싸고 질좋은 제품을 많이 만들면서.)

슘페터의 이야기에 딱 들어맞는 예가 면직물이다. 18세기 유럽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던 면은 우리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이를 테면 당대 패션 리더였던 마리 앙투와네트는 muslin이라는 면직물 드레스를 즐겨 입었다고 한다. 아래 그림 참조) 옷뿐 아니라 살이 닿는 모든 부위는 면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심지어 종이와 침대, 지폐에도 면이 포함되어 있다. 몇백년 전만해도 사치재이던 면직물은 이제 공기처럼 너무나도 흔해서 느끼지 못할 정도 이다.


(그림: 무슬린 드레스를 입은 마리 앙투와네트, 1783년)

슘페터 이야기 출처: 이코노미스트지 재인용

흠… 내가 너무 자본주의 노예같은 이야기를 했나? 그치만 기술의 진보를 이야기 하면서 자본주의 예찬을 안하기도 어려운 일일테다. 다음번엔 좀 어두운 이야기, 그러니까 노예와 미국 남부의 목화 농장에 대해서 수다를 떨 생각이다.

이전 포스트 목차

 

브렉시트와 대영 제국에의 향수

18-19세기 영국 경제와 면화 산업을 공부하면서 문득 보리스 존슨의 말이 생각 났다. 보리스 존슨은 영국 현 외무장관 그리고 브렉시트를 주도했던 바로 그 양반이다.

연설의 일부를 발췌한다. 연설문 제목은 Beyond Breixt: a Global Britain 이다.

whether we like it or not we are not some bit part or spear carrier on the world stage. We are a protagonist—a global Britain running a truly global foreign policy – Boris Johnson (2016년 12월 2일 연설 중)

브렉시트는 고립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어떤 면에서는 영국 자유무역 전통에 기대고 있다. 이러한 모순이 어떻게 가능한가 싶지만, 정말 그렇다.

캘리코법 폐지와 곡물법 폐지를 기점으로 영국은 세계에 자유 무역의 가치를 전파했다. 그러니까 브렉시트 정신(?)의 일부는 과거 위대한 영국에의 향수에 기대고 있는데, 그 위대한 영국이 바로 자유무역의 수호자 였던 것이다.

갑갑하고 권위적인 EU와 유럽의 전통에서 벗어나서 세계에서 (주로는 과거 영연방 국가들과 함께) 영국의 가치를 펼치겠다는 이야기는 테레사 메이의 외교정책에서도 일관되게 드러나는 테마이다. 그리고 발췌한 연설에서 보리스 존슨은 영국이 세계 무대의 조연이 아니라 주연인 것이 숙명 같은 거라고 했다.

메이와 보리스 존슨은 영국의 위대한 역사와 전통, 과거 대영 제국의 일부였던 나라들에 흩어진 문화적 공통점, 특히 영어의 강력함. 그런 것들이 위대한 영국을 가능하게 해줄 거라고 주장한다.

글쎄다. 18-19세기에는 그 말이 맞았을 런지 모르겠다. 그때 역사를 보면 확실히 영국은 세계 무대의 주인공이었다. 다만 지금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링크: 보리스 존슨 연설문 전문

Image result for boris johnson and theresa may

보리스 존슨과 테레사 메이 (사진 출처: the Independant)

뱅골 경제의 몰락과 동인도 회사 – 1757년 다카

인도 전문가 페친께서 캘리코법 포스팅을 보고서 댓글을 다셨는데, 답이 길어졌다. 따로 포스팅으로 옮겨둔다.

페친님은 동인도 회사가 인도를 본격적으로 식민지배한 시점이 영국이 면직물 수출을 늘린 시점과 일치한다는 점을 이야기하셨고 아래는 나의 답변이다.

—————-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18세기 후반 부터 영국과 인도의 관계도 완전히 역전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면직물 산업만을 보더라도 이전까지는 인도산 면직물이 경쟁우위를 보였지만, 산업혁명에 힘입어, 영국산 면직물이 가격과 품질 면에서 서서히 인도산을 제치게 됩니다.

영국 동인도회사가 인도 면직물을 독점했기에 상당한 이점을 누립니다. 우선 영국인이 인도 면직물 제조 기술을 맘껏 베낄 수 있었고, 인도산 면직물을 세계 시장에 팔면서 개척한 루트를 영국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영국 면직물이 경쟁력을 얻으면서 인도 경제 (특히 영국 동인도 회사의 본거지 였던 뱅갈지역)는 완전 폭망합니다. 그 시점이 동인도 회사가 인도를 본격 식민통치하기 시작한 기점과 일치합니다.

한때 세계 면직물 시장을 주름잡았고 부를 키웠던 무굴 제국 면직물 산업은 급락하는데, 1747년에서 1797년 20년 사이에 인도산 면직물 가격은 반으로 떨어집니다. 뱅갈지역은 완전 거지가 되서 먹을 걸 걱정하는 정도가 되었지요. 지금의 방글라데시 수도인 다카가 면직물 생산의 중심지였습니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한참 부유했을 때 다카는 세계 GDP의 29%를 차지할 정도 였습니다.

Related image

주황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뱅골지역, 지금은 방글라데시와 인도로 나뉘어 있다.

.

18세기 후반 부터 동인도 회사는 인도를 면직물 수출 시장, 목화 공급처로 만들려는 시도를 꾸준히 했습니다. 면직물 산업이 성장하면서 안정적인 원재료 공급이 필요했거든요. 그런데 면직물 수출은 어느정도 성공했지만, 목화 생산지로서의 변화는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아마 다음 번 연재에서 이야기 할 텐데요. 조금만 말씀 드리면, 처음 목화 생산지로의 변신을 성공했던 곳은 캐리비안 쪽과 브라질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미국 남부 지역이 목화 시장을 장악합니다.

관련해서 18세기 영국 목화 수입 나라별 구분 차트도 올립니다. (아래 참조) 아시겠지만, west indies는 서인도 제도 그러니까 캐리비안이고 Levant는 지금의 시리아/이스라엘/요르단 쪽이죠. 당시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 였을 꺼고요.

.

목차

영국의 푸른 잔디

작년 오늘에는 영국에 있었다. 찍어둔 사진을 보니 푸른 잔디가 참 인상적이다. (location: Willows Activity Farm near London)

23755233_1763787606973383_8862110546274412262_n

.

15년 전쯤 런던에서 요크셔 지방까지 코치(버스)로 이동한 적이 있었는데, 끝없이 펼쳐진 푸른 잔디가 인상적이었다. 군대 제대한 지 얼마 안되서였다. 이 넓은 잔디를 관리하려면 얼마나 많은 노력이 들까 싶었다. 말년병장 때 작업나가서 예초기를 돌리던 생각도 났었고.

그런데 원래 영국은 풀이 잘 자란다고 한다. 페친님 포스팅을 통해 배웠다. 나무가 자라기 힘든 환경이라 그렇다고. (Cfb 서안해양성기후)

관련 포스트: 뉴질랜드 환경오염의 원흉 낙농업

뉴질랜드 역시 끝없이 펼쳐진 초원과 양떼들이 인상적인데, (특히 켄터베리 지역) 편서풍을 타고 들어오는 건조한 바람 때문에 풀이 잘자라는 (바꿔말하면 나무가 자라기 힘든) 식생이 되었다고 한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알프스 근처도 푸른 잔디가 펼쳐져 있었더랬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경제

여행 중이긴 하지만, 뉴스를 챙겨보는 건 습관이다. 오늘은 영국에 나름 중요한 경제뉴스도 있고 해서 짧게 감상을 남긴다. 영국에 있는지라 아무래도 영국 뉴스에 관심이 생겨서리…

여행중이라 꼼꼼히 뉴스를 읽을 여유도 없고 영국 경제를 잘 모르기도 해서 그냥 감상 수준의 잡담이다.

BBC 뉴스를 틀어보니 아침부터 신임 하몬드 재무장관의 추계보고서 이야기로 시끌벅적하다. 추계보고서는 3년치 정부 지출 규모와 영국 경제 전망을 국회에 보고하는 행사이다. 보통은 4월에 있는 budget 보고가 더 중요하지만, 이번에는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첫 보고인지라 나름 의미가 있는 보고.

관련해서 bbc 뉴스 링크

Autumn Statement: Hammond defends post-Brexit economy forecasts (11월 25일자)

이번 보고서를 두가지로 요약하면, 향후 영국 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 그리고 재정정책이다.

하몬드 재무장관의 보고에 따르면 브렉시트 이후 영국 경제는 험난한 앞길이 예상된다. 전임 재무장관 조지 오스본은 2017년 2.2%, 2018년 2.1%로 경제성장을 전망했으나 하몬드는 이를 1.4%, 1.7%로 낮춰 잡았다. 그만큼 브렉시트의 그늘이 짙다는 이야기. 이에 영국 정부의 빚부담은 증가하게 되었는데 관련 도표는 아래 참조.

당연히 브렉시트를 찬성했던 측에서는 이 전망이 너무나도 비관적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예를 들어 브렉시트 찬성파였던 John Redwood 의원 같은 사람은 하몬드의 GDP 예상치가 너무 낮고 정부 부채 증가량 예상치가 너무 높다고 했다. 또 브렉시트 찬성파 Daily Mail도 오늘 일면기사 제목을 ‘So much for Mr Gloomy.’ 라고 냈다. 마침 오늘 여행중에 Tesco에 들릴 일이 있어서 Daily Mail 표지를 사진으로 찍어 뒀다.

브렉시트 찬성론자들은 브렉시트 진행 이후에도 영국의 경제성장률은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러한 전망은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인다. 현실적으로 EU 물량이 영국 수출의 절반이다. 영국이 EU 단일 시장을 잃으면 아무리 파운드가 떨어졌다해도 수출에 타격이 갈 수 밖에 없지 않나? 게다가 수입품의 가격이 오르면 인플레이션이 불가피하고… 아무래도 서민층에 직접 타격이 갈 수 밖에 없다. (신임 총리 테레사 메이가 JAM, just about managing이라고 칭한 600만명의 저소득 노동자들에게는 특히나 더 그렇다.)

다음은 재정 정책이다. 아무래도 트럼프 이후, 세계적으로 재정정책이 트랜드인 것 같다. 하몬드의 보고서에는 230억 파운드의 추가 인프라 투자가 포함되어 있다. 물론 하몬드의 추가 인프라 투자에도 내년 성장률은 하락 할 것이 예상되긴 한다.

어쨌든 그의 계획대로라면 전임자가 약속한 2020년 영국 재정 흑자 전환 계획은 좀더 뒤로 밀려나게 된다. 긴축재정은 물건너 갔다. 그래서 시장은 재정정책을 긍정적으로 보았고, 파운드는 강세로 돌아섰다.

하나 흥미로운 것은 하몬드의 성향이다. 그는 사실 정치색이 거의 없는 사람이다. 카리스마도 없는 실무형 인재로 심지어 별명이 spreadsheet Phil일 정도이다. 엑셀 전문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재미 없는 사람에게 다소 모험적인 재정 정책 드라이브를 걸어야할 책임이 주어졌다.

오히려 카리스마 있는 사람으로 꼽혔던 건 전임인 조지 오스본이었다. 카메룬 총리 아래서 그가 긴축재정을 시도했던 것을 생각하면 정말 아이러니다. 개인적으로 이런게 참 재미있다. 어쩌면 역사는 이런식으로 우리에게 농담을 던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브렉시트 연재: 2. 브렉시트와 EU의 정체성 – Eurosceptic의 관점에서 본 브렉시트

Vox기자 Amanda Taub의 NYT 기고문을 공유한다. 언제나 그랬듯이, 간략하게 정리하고 내 생각을 덧붙이려 한다.

지난주 영국에 초점을 맞추던 외신들이 이제 EU 내부의 문제를 조명하는 분위기이다.

Euroseptic, 즉 EU에 대해서 비관적인 견해를 표명하는 사람들이 한 목소리로 이야기 하는 것은 EU가 비민주적이며, 각나라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프랑스 국민전선의 르펜이나, UKIP의 패라지, 그리고 이번 브렉시트를 이끈 보리스 존슨이 대표적인 Euroseptic이다.

.

.

이들을 극우 포퓰리스트로 보는 것은 일리가 있는 평가이다. 그러나 그런 평가를 들을 때마다 Euroseptic에서 중요한 한 부분을 놓치는 듯한 찜찜함이 남는다.

개별국가의 시각에서 EU를 바라보면 EU는 대단히 비민주적으로 작동한다. 영국을 예를 들자면, 진정으로 중요한 문제들 (이를테면, 그리스를 구제하는 문제에 있어서나 이민자들을 받아들이는 문제들…)에 대해 정작 영국사람들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는다.

민주주의는 결과보다 그 과정이 더 중요하다. 영국사람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의사결정을 영국사람이 하겠다는 요구는 정당하며 지극히 근본적인 문제제기인 것이다.

정치는 이해관계가 상충될 때, 어떻게 의사 결정을 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선거를 통해 대표자를 뽑고, 이익단체를 통해 목소리를 내고, 미디어와 공론장, 그리고 국회에서 논의를 하는 과정 자체가 바로 민주주의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경우에는 청원서를 접수하거나, 헌법소원을 하거나, 아니면 시위에 참가하거나, 이런 행위들은 모두 정상적으로 민주주의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EU는 그런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앞에서 말했듯이 심지어는 영국민 자신에게 중요한 큰 결정에 마저 그러하다.

European Parliament

.

위에 첨부한 기사로 돌아와서, 그렇다면 왜 EU는 비민주적인 방식을 고집하는 것일까?

첫째, EU는 원래 그렇게 작동하도록 고안되었다. 유럽의회의 구성원들은 선거로 선출하지만, 기본적으로 그들은 technocrat, 즉 전문가 집단이다. 그들은 개별 국가의 이익을 대변한다기 보다는 EU 관점에서 최적의 결정을 할 것을 요구 받는다.

EU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럽의 평화와 공존, 그리고 하나된 유럽이다. 하나의 유럽이라는 이상과 개별국가의 이익은 상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나 유럽이 그렇게도 두려워하는 파시즘이나 민족주의자들의 봉기는 더더욱 그러하다. EU의 전문가 중심의 의사결정은 이러한 목적에 잘 부합한다.

기사는 두번째로 EU의 지나치게 약한 권력을 지적한다. (헤깔리기 쉽지만, 강한 권력이 아니다.) 유럽 난민 문제를 예로 들어보자. EU는 각 나라에 난민 수용을 강제로 배정할 수 없다. 유럽의회에서 협의를 거친 이후, 각 나라와 다시 협상하고, 부탁하며, 양해를 구해왔다. 유럽 각국은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면서도 자기 나라가 떠안기는 거부하고 서로 모른척해왔다. 그리고 그 협상의 결과에 대해 개별 국가들은 모두 불만을 가지고 있다.

유럽연합과 각국의 힘의 균형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포스팅한 바 있다. European Union을 United States of America를 비교해서 설명하자면, 유럽연합과 각국 정부는 미국의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관계와 유사하다.

미합중국도 건국초기에는 연방정부의 힘이 약했다. 미국은 역사적으로 주정부와 연방정부가 서로 견제하면서 성장해 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서로간의 대립이 가장 치열했을 때가 남북전쟁이다. 남북전쟁을 기점으로 미국은 연방정부의 권한이 극대화된다. 연방을 탈퇴하면 전쟁을 불사한다는 것보다 더 강력한 메세지가 어디있겠는가.

Webster's_Reply_to_Hayne

Nullification Crisis

.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지만, 미국의 연방주의자들이 강한 연방정부를 주장했던 것처럼 하나된 유럽, 그리고 강력한 유럽 연합이 답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브렉시트 이후, EU는 개혁이 불가피해졌다. 좀더 강력한 EU를 추구하던지 (강력한 EU는 우선은 UK에 대한 강경대응의 모습으로 표현될 것이다.) 아니면 어떠한 식으로든 민주적인 의사 결정 절차를 추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기사에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개인적으로는 한가지 의문이 남는다.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 그리고 엘리트 정치인들과 대중의 괴리이다. 브렉시트 과정에서 영국의 양당은 모두 EU 잔류를 내걸었다. 그러나 영국 사람들은 엘리트 정치인을 불신했다. 사실, 카메룬의 협박(?)은 결론만 보면 틀린말은 아니였다. 그가 말했듯이 Exit을 선택하는 것은 영국민의 선택이지만, 그 와중에서 생기는 사회/정치적인 혼란, 경제적인 부담은 온전히 국민의 몫으로 남게되었다. 그러나 영국 사람들은 기성정치에 불만 표시로 브렉시트를 선택하였다.

EU가 태생적으로 민주적이지 않은 것 또한 EU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듯이, 엘리트 정치인들이 포퓰리즘에 우려를 표하는 것 또한 나름의 당위성이 있다. 사실 기성정치에 대한 불신은 영국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트럼프와 샌더스의 부상 또한 기성정치에 대한 불신의 표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브렉시트 관련글 모음

1편: European Union과 United of States of America
2편: 브렉시트와 EU의 정체성 – Eurosceptic의 관점에서 본 브렉시트
3편: 브렉시트와 불평등의 문제 – 경제 관점에서 본 브렉시트
4편: 브렉시트와 반이민 정서, 그리고 코스모폴리탄 – 사회 관점에서 본 브렉시트

유럽 난민 이슈와 나

유럽 난민 이슈를 정리해봤다. 오류나 부족한 점이 있으면 지적 부탁한다.

생겐 조약 (Schengen Agreement)과 entry countries

-1x-1

(image source: Bloomberg)

한국사람이 처음 유럽여행을 하면 신기한게 하나있다. 국경을 넘을때 아무도 여권 검사를 하지 않는다. 95년 발효된 생겐 조약 때문이다. 생겐 조약 이후 26개의 유럽 국가들은 국경을 걷어버렸다. 그러다 보니 유럽과 비유럽의 경계선에 있는 나라들의 국경이 실질적인 국경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태리, 그리스, 스페인, 헝가리가 이에 해당한다.

유럽으로 향하는 난민 이야기는 어제 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문제가 계속 심각했지만, 뚜렷한 해결책이 없었기에 유럽의 정부들은 오랜 시간 묵살하고 있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이전에는 그리스와 이태리를 통했던 해로가 주요 루트였다면, 최근에 헝가리를 통하는 육로가 주목받고 있다는 것이다.

Capture

Capture

Capture

(image source: FT)

문제는 헝가리의 경우는 난민을 받아들인 역사도 없고 (서유럽에 비하면) 잘사는 나라가 아니라 난민들도 독일이나 스웨덴 같은 북유럽 또는 영국으로 가기를 바란다는 점이다. 또한 EU는 처음 난민 신청을 한 나라의 난민을 인정하기 때문에 헝가리 같은 경우는 난민을 방치하고 그대로 독일로 실어보내는 일이 최근에 발생했다. (역사 때문인지 독일은 난민에 전향적인 정책을 취해왔다. 난민들은 심지어 독일 총리를 mama Merkel 이라고 부른다고.) 이 뉴스는 현재 진행형인데, 9월 4일 오늘자 뉴스에 의하면 열차 이용이 어려워진 시리아 난민들이 독일까지 걸어서 이동하고 있다고 한다.

Capture

(image source: france24)

이런 와중에 숨진 세살 배기 시리아 난민 아일란의 사진이 공개되면서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다.

경제/정치 공동체 유럽

사진 이야기를 더 하기 전에 잠깐 EU의 경제적인 부분을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생겐 조약은 EU에서 단일 시장을 구현하기 위한 합의의 일부분이다. 같은 화폐를 쓰는 단일 시장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네가지 전제가 필요하다.

  1. 재화 이동의 자유 (Free movement of goods)
  2. 자본 이동의 자유 (Free movement of capital)
  3. 서비스 이동의 자유 (Free movement of services)
  4. 거주이전 (또는 노동 이동)의 자유 (Free movement of persons)

생겐 조약이 발효된 근간에는 네번째 자유 즉 거주이전의 자유가 있다. 그런 점에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난민 사태는 EU의 근간을 흔드는 커다란 위협이기도 하다. 어떤 면에서 보면, 그리스 사태 보다 더 시급한 위협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참고로 네가지 자유라는 관점에서 보면 그리스 사태는 두번째 자유, 즉 자본 이동의 자유에 대한 위협이다.

EU가 출범 했을 당시 유럽은 일단 화폐 부터 통합하고, 나머지는 차례로 통합해 가는 방향을 선택 했다. 그런데, 이 나머지 통합이라는게 갈길이 아직 멀어보인다. 그나마 성공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는게, 재화이동의 자유 정도이다. 이는 지금도 Euro의 근본적인 문제로 남아있다.

유럽의 변방 그리스

어찌 보면 유럽 통합은 도달하기 너무 어려운 이상인지도 모르겠다. 올해의 큰 이슈였던 그리스 사태가 대표적으로 그러하다. 금융으로 드러난 문제와 별개로 그리스가 (서)유럽과 얼마나 이질감이 있는 국가 인지 여실히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그리스는 우리에게 서양문명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들은 잠시 반짝이는 문화를 꽃피웠을 뿐이다. 비잔틴 제국의 한 지역으로 1000년을 존재했고, 이후는 오스만 제국의 일원으로 400년을 살았다. 19세기 오스만 제국이 망해갈 때서야 자신들의 조상의 찬란한 문명을 기억해 내었고, 발칸반도의 다른 나라와 함께, 민족주의의 바람을 타고서, 열강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도움으로, 간신히 독립을 쟁취했다. 그리스 정교 기반에다가 오스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그리스는 어찌 보면 유럽도 아니고 아시아도 아닌 유럽의 경계로 존재하고 있다.

현대의 그리스는 EU에서 쫓겨 날 위기에 처해 있다. 또한 중동/아프리카/아시아의 난민들이 들어오는 entry country이니 그 역사가 참 애처럽게 느껴진다. 그리스에 더 관심 있는 분들은 블로거 Santacroce님의 포스트를 볼 것을 추천한다. (그리스 비극1: 그리스인은 유럽인일까?)

조금 뜬금없는 이야기 같지만 그리스 이야기를 꺼낸 것은 나는 유럽 난민 사태가 유럽인의 정체성의 위기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리스 사태에서 보듯이 어디까지 유럽이라고 선을 그을 것인가, 얼마만큼 받아들이고 함께 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물론 이전에도 프랑스가 베트남의 보트피플을 받아 들이거나, 핀란드가 소말리아전쟁 난민을 받아들인 예가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생겐 조약과 EU의 통합 덕택(?)에 지금의 난민들은 유럽 안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종교와 문화가 완전히 다른 이들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는 유럽의 정체성에 위협을 주고 있다.

아일란과 유럽의 대응

다시 유럽 난민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아이란의 사진은 유럽 각국의 지도자들을 테이블로 불러 들였다. 지금까지 난민문제에 상당히 열려 있던 독일을 포함해서 소극적인 입장을 취해왔던 영국도 모른척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Final_decisions_on_(non-EU)_asylum_applications,_2014_(number,_rounded_figures)_YB15_IV

Final decisions on asylum applications, 2014 (source: eurostat)

사실 유럽이 얼마만큼 난민을 받아들일 수 있을 지는 조금 의문이다. 그게 쉬운 일이었으면 이런 문제가 진작에 일어나지 않았을 테다. 예를 들어 독일 망명 신청자는 30만에 달하는 데 이는 독일 인구의 0.4%에 해당한다. 민족주의 극우파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와중에 유럽이 이를 소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제아무리 마마 메르켈이라고 하더라도.

민간인 (시인 김종삼)

언젠가 언급한 적이 있지만, 나는 블로깅을 하면서 나와 관련된 주제가 아니면 다루지 않으려고 한다. 정보전달이 내가 블로그를 하는 주된 목적은 아니다. 몇번 그런 포스트를 한일이 있지만, 나중에는 쓸데 없는짓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능력도 부족하고 전문가도 아니면서 섣불리 아는 척 하는 일이 부끄러웠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내가 이 글을 쓰기 시작한 이유는 좋아하는 시 때문이다. 아래 시는 읽을 때에 천천히 마음속에 그림을 그리면서 읽어야 하는 시이다.

1947년 봄
심야
황해도 해주의 바다
이남과 이북의 경계선 용당포

사공은 조심조심 노를 저어가고 있었다.
울음을 터뜨린 한 영아를 삼킨 곳.
스무 몇 해나 지나서도 누구나 그 수심을 모른다.

시인은 47년 자신이 월남하면서 겪었던 일들을 담담하게 시로 풀어내고 있다. 그런데 기교 없이 쓰여진 이 시가 읽고나면 큰 파장을 남긴다.

어찌보면 우리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시리아/아프간/이라크/파키스탄의 사람들이지만, 나의 할머니/할아버지의 모습이기도 하고, 아파하는 이웃의 모습이기도 하다.

관련 자료들을 정리해보면서 내 생각도 정리해보았다. (아참 이 포스팅의 많은 부분은 Santacroce님께 빚져 있는데,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테스코의 대규모 적자

POL_Prokocim_Tesco

영국의 유통 대기업 테스코(우리에게는 홈플러스 모기업으로 알려져 있는)가 어려운가 부다. 이번주 이코노미스에 의하면 64억파운드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한다. 우리나라돈으로는 10조원이다. 후덜덜.

Tesco: Very little helps (2015년 4월 25일자 이코노미스트지)

궁금해서 찾아보니 작년에 분식회계 사건도 있었고, 실적이 아주 바닥을 치고 있는 데 이번에 아예 비용처리를 크게 해서 다 떨고 가려는 심사인 듯하다. 무려 47억 파운드의 부동산을 손실 처리해버렸다. 기업이 안좋을 때 아예 다 떨어버리고 가는 건 상식적인 회계 전략(이라고 쓰고 꼼수라고 읽는다.)이다.

생각해보면 유통업은 부동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긴 하다. 2003년 봄. 스코틀랜드 아버딘(Aberdeen)에 놀러간 적이 있다. 그때 지인이 집앞에 테스코 매장이 들어온다면서 정말 좋아했다. 이웃들이 축하(?)까지 해주더라. 한국 사는 우리야 이게 뭐 대단한 일인가 싶지만, 유럽이나 미국 한적한 시골에 살다보면 집앞에 대형 마트가 들어온 다는 것은 아주 큰 문화적 혜택이다. 사람 사는게 다 그렇듯. 지리적인 변화가 있으면 부동산에 영향이 가는 것도 당연하고.

회사 동료 중에 영국쪽 마케팅 전략을 짜는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에 의하면 영국은 eCommerce가 가장 잘 발달 되어 있는 나라 중에 하나라고 한다. eMarketer자료에 의하면 2013년 기준 영국의 개인당 eCommerce spend는 $1,907로 미국의 1.2배이다. (US: $1,685/person, Y2013) 전세계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유통업(bricks and mortar)은 점점 힘들어지는 추세이고, 영국은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를 겪고 있는 나라 중에 하나이다.

이커머스와 별개로 테스코에게 치명타를 입힌 건, 독일의 알디(Aldi)와 리들(Lidl)이다. 독일에 살아 본 사람은 알겠지만, 알디와 리들은 저렴이 쇼핑을 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싸면서도 쓸만한 물건들이 가득하다. (이건 여담인데, 재작년에 독일에 갔을 때, 우리 마눌님께서는 알디에서 장모님과 함께 몇시간을 보내셨다. 알디가 쇼핑 관광을 하기 좋은 곳은 아니다. 독일 생활을 하셨던 마눌님과 장모님의 추억 때문에 그렇다. 게다가 우리 마눌님은 잡다구리 쇼핑을 진정 좋아하신다.)

어쨌든, 대충 영국에는 유통업계 포지셔닝이 가격 순서로
알디, 리들 (저가) < 테스코 (중저가) < 막스앤스펜서 (중간 이상)
이쯤 되는데, 알디/리들이 인기를 끌면서 테스코의 입지가 줄어들었다.

상황이 이러니 테스코도 원가절감에 투자를 하고, 매장에 진열하는 품목 수도 줄이는 등 (알디에 가면 물건 가짓수가 적은데, 항목수가 적으면 관리비용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갖은 노력을 하고 있다.

뭐, 대강 그렇다는 이야기. 대단한 insight가 있는 것은 아니고 신문 기사 보고 놀라서 이런저런 수다를 떨어봤다. 우리한테는 큰 영향이 있을 건 없을 것 같고, 굳이 변화가 있다면 어쩌면 홈플러스 주인이 바뀔 수도 있겠다 정도?

+ 덧: 2015.5.15

아내에게 확인해보니, 독일 여행할 때 장시간을 보낸 곳은 dm(데엠이라고 읽는다.)이었다. 데엠은 grocery store가 아니고 drug store이다. 잡다구리 화장품/잡화가 많다. 우리로 치면 ‘올리브앤영’ 같은 곳이다. 아내가 grocery store에서 몇시간을 보내는게 말이되냐구 한마디 했다. 내가 보기엔 그게 그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