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과 단일민족 신화

일본은 한국보다 더 homogenous균질한 나라라는 생각을 해왔다. 최근 기사를 보니 과연 수치상으로도 그러하더라. 외국인 체류 인구가 한국은 4%, 일본은 2%라고 한다. (단일민족이라는 표현보다 homogeneous가 더 적절한 표현이 아닐까 싶다.)
.
지난달에 일본에 갔을 때도 느꼈는데, 이제 세븐일레븐에서 필리핀이나 네팔계로 보이는 분들을 쉽게 본다. 건설인부나 간호 인력도 외국인이 많다고 들었다.
.
최근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이유로 일본 정부는 外人 geijin 친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geijin은 한국어로는 외국인쯤 되는 듯. 물론 난관이 예상된다.
.
관련 기사 링크
.
요즘 민족의 정체성에 대해 질문을 자주 던지게 된다. 마침 며칠전 한 블로거께서 올린 [일본의 단일민족 신화기원]이라는 책의 서평을 읽었다. 따라가기 쉽지 않았다. 워낙 길었고, 나는 일본 역사에 친숙하지 않은지라.
.
그럼에도 한국의 단일민족 신화와 고대사 열풍을 관심있게 지켜본 적이 있어, 그 이야기들이 남의 얘기로 들리지는 않았다.
.
일제시대, 조선 지식인들을 생각해보았다. 일본의 정체성 찾기의 과정에 심정적으로 동조했던 인물들이 빠졌던 황국신민화의 함정을 일본의 관점에서 읽게된건 큰 소득이었다.
.
내게 일본은 이해하기 어려운 나라였는데, 천황을 중심으로 하나의 가족을 형성한다는 일종의 가족국가 형태인 국체론이 일본을 이해하는 실마리가 되었다. 항상 느끼던 가족 같은 회사, 가족같은 모임의 갑갑함이 어디서 온건지도 알게 되었고.
.
일본은 세번의 큰 역사적 사건을 통해 일본인의 정체성을 바꿔온다. 세번의 사건이라함은 첫번째가 메이지 유신과 개항, 둘째가 청일/러일 전쟁의 승리, 세번째가 패전이다.
.
특히 두번째 사건 이후 일본은 자신의 정체성을 혼합민족으로 둔다. 백인들에 대한 열등감과 전승 이후 생긴 자신감을 토대로 일본인은 야마토 민족을 아시아에서는 우월한 민족이라는 위치로 상정한다. 그리고 대만인과 조선인을 그들의 국체론 아래서 adoptee양자로 간주한다. 가족이지만 열등하면서 동시에 천황에대한 충성이 요구되는 미묘한 균형감이란.
.
패전 이후 일본인의 일본관은 단일민족으로 회귀한다. 쌀을 먹는 평화로운 섬나라 사람들의 소박한 공동체. 이 소박한 공동체는 명백하게 이질적인 존재인 아이누인과, 자이니치 (재일교포)를 무시하거나 차별한다. 단일민족 신화안에서 숫자가 크지 않다면 존재가 없는 것이고, 무시하지 못할 만큼 크다면 차별이 정당화된다.
.
차별을 유지하면서 동화를 장려하는 정책. 그다지 낯설게 들리지 않았다. 그리고 그것은 요즘 뉴스를 들으면서 느낀 섬뜻함과 멀게 느껴지지도 않았고.
.
해당 포스트 링크
.

Image result for emperor meiji

메이지 덴노 (1852 – 1912)
.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