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회의론에 관하여

6년을 살았지만 여전히 미국에서 이해가 안되는게 몇가지 있다. 첫째가 총기 소유를 인정하는 것이고 다음이 기후변화에 대한 정치적 쟁점화이다.

산타훈장님이 관련 포스트를 하셨는데, 기후변화 회의론 관련 댓글이 보이길래 좀 길게 댓글을 남겼다. 여기다도 옮겨둔다.

산타님 페북 포스트

+덧: 한 분이 전문가와 일반인의 견해 차이에 대해 의견을 주셔서 답변한 내용도 추가했다.

———————————

흠…

기후변화 회의론은 기후변화에 인간의 영향이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산타훈장님 포스트가 기후변화의 진위를 가리는 주제가 아니기에 괜한 오지랖을 부리는 것이 아닐까 싶긴 합니다만, 기후변화 회의론 관련 댓글도 있기도 하거니와, 혹시 오해하는 분이 있을까 싶어 몇자 남깁니다.

기온 상승 자체에 대해서는 이미 논란의 여지가 없고,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과 연관이 있다는 것도 과학적으로는 정설입니다.

몇몇 이론이 있다고는 하지만, 소수이고 반박이 가능할 만큼 현재로서는 신뢰성이 현저히 낮고 (가치가 떨어지기에) 관련연구도 그다지 없습니다.

과학은 합리적인 의심을 하는 자세를 기반으로 하기에 누구든지 반박할 수 있으나 그만큼 과학적으로 충분한 근거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산타훈장님글의 다른 예처럼 백신이 위험하다는 주장을 하려면 그만한 과학적인 근거와 실험 결과가 있어야 하는 것 처럼 말입니다. 백신 위해론이 정치적인 이슈가 된다고 안아키까지 불러와 양편의 의견을 골고루 들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유엔 산하 과학자 단체 IPCC가 정리한 자료 (한글 번역본) 링크를 남깁니다. 이것보다 더 잘 정리된 자료를 본적이 없고, 상당히 공신력있는 기관이기 때문입니다.

IPCC의 자료가 공신력이 없다고 생각하시면 더 이상 제가 할 수 있는 이야기는 없을 것 같네요. 의사협회가 낸 백신자료가 믿을 수 없다고 하거나 통계청 자료가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말하면 제가 더이상 무슨 말씀을 드릴 수 있겠습니까.

Click to access Chapter%201.pdf

——————————————

추가 댓글

맞는 말씀입니다. 제가 굳이 IPCC의 공신력을 끌어들인 것은 과학자들 (전문가 집단) 사이에서 컨센서스가 이뤄진 상황이다라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전문가 집단에서 컨센서스가 이뤄진 사안을 반박하는 것은 그만한 과학적인 근거와 자료가 토대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합니다.

저는 논의의 시작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 출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개개인에 닥칠 리스크나 공동체에 닥칠 위험에 대해서 말할 부분은 정치의 영역이고 이조차도 지나치게 과장된다면 오히려 반발심이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싶고요.

기후변화가 과학적 사실인 것은 맞지만 그 여파와 대책에 대해서는 조금씩 다른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나만 덧붙이자면, 대중으로서 다수는 틀리고 전문가 집단이 맞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 논란에 관해서는 분리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기후변화가 맞냐 틀리냐, 인류에 피해가 가는가 아닌가는 전문가의 영역이 맞고, 그다음에 그래서 어떻게 할것인가는 정치와 일반인들의 영역이 맞다고 봅니다.

자동차가 고장났는데, 초보 운전자에게 점검을 하라고 할수는 없는 노릇이 아닐까요? 카센타에서 점검을 우선 받고 결정은 차주가 해야겠죠. 2nd opinion을 받는 것은 문제가 안되겠지만, 수리비가 비싸다고 자동차가 문제 없다는 사짜말을 믿을 수는 없지 않겠습니까.

Capture

4 thoughts on “기후변화 회의론에 관하여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