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 is good

One of the most painful videos to watch. Sutherland Springs church service clip the week before the Texas church shooting tragedy.

.

어머니 고향은 경북 산골의 집성촌이다. 200명 가량 모여사는 작은 공동체이다. 초등학교 때는 해마다 여름이면 놀러가곤 했었다. 보통 첫주는 내내 집집마다 어르신들 인사를 다닌다. 동네 어르신들은 서로의 집안사를 꿰고 있다. 그런 곳에서는 한 집에서 일어난 작은 사고도 안타까워하고 오랫동안 두고두고 이야기한다.

어제 텍사스 한 동네에서 살인사건이 있었다. 26살 퇴역 군인이 교회에서 총기 난사를 했다. 26명이 죽고 스무명 가량 다쳤다. 26명은 그 동네의 7%라고 한다. 작은 촌동네라 마을 사람들과 희생자들은 서로 가까이 알고 지내던 사이이다.

이 교회에서 지난 주 올렸던 예배 영상을 보았다. 아주 작은 교회당이었다. 처음에는 찬양팀이 나와서 찬양을 하고 기타를 친다. 컨트리풍의 멜로디에 “God is good.” 이라는 단순한 가사가 얹혀있다. 찬양 도중에 진행자의 인도에 따라 마을 사람들이 서로 인사를 하고 아이들이 뛰어다닌다.

설교 전에 교회 목사가 짧게 공지를 한다. 몇일 뒤에 있을 교회 fall festival에 대한 공지이고 봉사자를 모집한다. hayride (트랙터 타기)가 주된 이벤트인 모양인데, 행사의 안전을 기원한다. 행사를 준비하는 사람들, 아이들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기를 기도한다. 몇 자 옮겨 적어 봤다.

Good to see you everybody, praise the Lord this morning. For each one of you, little chilly to get up this morning. But isn’t it great that we can gather here and just praise the Lord and warm up and praise his name?

We are praying the safety of the folks and safety for the hayride, safety for the environment of coming to the hayride, safety for workers, and safety of the all kids.

It’s okay to have fun in the god’s house. Those are God’s creation.

1시간 짜리 클립이었지만 처음 10분 밖에 볼 수가 없었다. 예배 영상의 한 마디 한마디를 듣는 것이 고통스러웠다. 결말을 알고 보는 비극 영화 이상으로.

마지막으로 유가족들을 생각하면서, 성경 한 구절을 인용한다.

For now we see only a reflection as in a mirror; then we shall see face to face. Now I know in part; then I shall know fully, even as I am fully known. And now these three remain: faith, hope and love. But the greatest of these is love. 고전 13:12-13 지금은 우리가 거울로 영상을 보듯이 희미하게 보지마는,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여 볼 것입니다. 지금은 내가 부분밖에 알지 못하지마는, 그 때에는 하나님께서 나를 아신 것과 같이,내가 온전히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가운데서 으뜸은 사랑입니다.

+ 덧: US mass shooting fatalities by year, 미국 총기난사 사망자 연도별 통계, 원소스 마더존즈, 이코노미스트 재인용

미국 총기 이슈 관련 정리 (작년 글)

라스베가스에서 총기 난사가 있었다.

Image result for shooting las vegas

관련 한글 뉴스 링크

작년 올랜도 참사 보다 큰, 최악의 총기난사로 기록될 듯 하다.

미국인이 아니고서 미국의 총기 이슈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 작년 올랜도 참사 때 이를 이해해 보고자 정리해 본 적이 있다. 링크를 공유한다.

목차
1편: 총을 가질 권리
2편: 총기 규제의 범위
3편: 총기 규제에 대한 오바마의 견해
4편: 신원조회와 관련 법안 국회 상정

추가로 올여름 올렸던 포스트
지난주 샌프란시스코 총기사고

미국에 살면 몇년 안에 총맞는 거 아니냐?, 2016년 6월 10일 포스트

지난주 샌프란시스코 총기사고

지난주에 미국에서는 총기사고가 두건 있었다. 둘다 수요일 하루에 이러난 일들이다. 하나는 공화당 의원들을 노린 사고였고, 다른 하나는 UPS에서 교대 근무 시간에 일어난 일이었다.

관련기사: Victims of shooting at San Francisco UPS facility are identified as families and co-workers mourn (LA Times)

샌프란시스코에서 벌어진 UPS 총기사고는 개인적으로 충격이었다. 범인을 포함 4명이 죽고 2명이 다쳤다. 사건이 일어난 곳은 작년에 본사 파견 피크 시즌 지원팀으로 갔었던 곳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직접적으로 아는 분들은 아니지만 고인의 명복을 빈다.

마침 며칠 전에 시카고의 총기 사고에 올린 적이 있었다. (작년에 올린 글을 재공유했었다.) 작년 메모리얼 데이 연휴 때 시카고에서 64명이 총에 맞았고, 그중 6명이 사망했다. 그 글을 올리면서 한마디 덧붙였는데, 미국에서 총기사고는 대부분 우범지역에서 일어나기에 평범한(?) 미국인들은 총기의 위협을 매일 느끼며 살지는 않는다. 시카고의 경우도 대부분 교민은 북쪽에 많이 살고, 서부와 남부 우범지역에 가는 것만 조금 조심하는 정도지 총기의 위협을 의식하며 살지는 않는다.

관련해서 작년에 정리해둔 시카고 살인사건, 총기사고 관련 포스트들 링크도 남긴다.

미국에 살면 몇년 안에 총맞는 거 아니냐?, 2016년 6월 10일 포스트
시카고 살인사건 발생률, 2016년 6월 8일 포스트

그렇기는 하지만 미국에 살면서 총기사고 이야기를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는데, 종종 건너건너아는 분들이 당한 불운한 사건들을 접할 때면 더욱 마음이 안좋다. (다행히도 직접 아는 사람의 사고 소식은 들은 일이 없다.) 수요일 사고 처럼 큰 일은 아니었지만, 작년에도 같은 층에 일했던 한 분에게도 안좋은 일이 있었다.

몇년 살아보니 미국에서는 한국 교통사고 참사 소식 듣는 정도의 빈도로 총기사고를 접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한국에서 지낼 때도 건너 건너 아는 지인 중 하나 쯤은 끔찍한 교통사고 스토리가 있는데, 미국에서도 비슷한 빈도로 건너 건너 아는 사람의 총기사고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그냥 느낌만이 아닌 것이, 실제로 미국에서 총기사고의 사망률은 교통사고 사망률과 비슷한 정도 이다.

(CDC 관련 자료: https://isaacinseoul.wordpress.com/2015/12/03/vital_statics/)

총기 규제와 미국의 총기 이슈는 미국인이 아니고서는 이해하기 주제 중에 하나이다. 작년에 올랜도 총기 참사 이후 이 문제에 대해서 꽤 심각하게 고민하고 찾아본 적이 있었다. 나름 4편으로 나누어서 연재를 했었는데, 관심있는 분들은 관련해서 아래 링크들을 참조하면 도움이 될 것같다.

1편: 총을 가질 권리 (2016년 6월 18일자 포스트)
2편: 총기 규제의 범위 (2016년 6월 19일자 포스트)
3편: 총기 규제에 대한 오바마의 견해 (2016년 6월 20일자 포스트)
4편: 신원조사와 관련 법안 국회 상정 (2016년 6월 20일자 포스트)

Image result for mass shooting

.

미국에 살면 몇년 안에 총맞는 거 아니냐?

며칠전에 시카고 살인 사건 발생률에 대한 포스팅을 했다. 혹시 모를 오해를 방지하고자 몇가지 설명을 추가한다.

오해: 숫자를 보면 (3일 연휴 동안 시카고에서 64명이 총에 맞았고 그중 6명이 죽었다.) 전쟁터 같은데, 미국에 살면 몇년 안에 총맞는 거 아니냐?

아니다. 총기 사고는 대부분 치안이 좋지 않은 우범지역에서 벌어진다. 아래 그래프에도 볼 수 있듯이, 총기 난사 (4명 이상 총상 기준)는 대부분 가난한 지역에서 일어난다. 사고가 일어난 지역의 86%가 빈곤지역으로 분류된다.

Capture1

평범한 미국인들은 치안에 민감하기 때문에 우범지대에 가지 않는다. 반대로 안전한 지역은 집값이 높고,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아니면 방범이 잘되어 있어 (잠정) 범죄자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미국은 특이하게도 집값이 높은 곳이 오히려 대중교통이 안좋다.)

인종적으로 보자면, 대부분 총기 관련 살인 사건은 흑인들 사이에서 일어난다. 다음 그래프를 보면, 흑인 끼리 발생한 사고가 백인 끼리의 사고보다 4~5배 정도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Capture

지난번에 올렸던, 시카고 memorial weekend 총기 사고의 경우도 흑인 갱단간의 보복성 살인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대부분 갱단간의 다툼이나 마약 문제가 엮여 있다. 목격자도 가해자도 불분명한 이런 류의 사건은 절반 정도가 미결 사건으로 남는다. (첨부한 NYT 기사의 분석에 따르면, 2015년 기준, 358건의 사건중 160건이 미결이다.)

안타까운 점은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이러한 문제와 분리되어 살기 때문에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우범지대에 있는 흑인들과 유일하게 접하는 사람들은 경찰정도가 될텐데, 폭력 상황에 매일 노출되는 경찰들은 (모두는 아니겠지만) 그지역에 사는 흑인들을 잠재적인 범죄자로 보고 조금만 의심이 되는 행동을 하면 (주머니에 손을 집어넣는 다거나) 주저없이 총격을 한다. 최근 미국에서 Black Lives Matter 운동이 힘을 얻는 것도 이러한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

관련 기사도 함께 함께 첨부한다.

A Drumbeat of Multiple Shootings, but America Isn’t Listening (NYT, 5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