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엑소더스

최근 몇년간 뉴욕이나 엘에이, 시카고 (미국 3대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도시를 떠나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블룸버그 기사.

More People Are Leaving NYC Daily Than Any Other U.S. City (Bloomberg, 8월 29일자)

뉴욕을 떠난 사람들이 향하는 곳은 댈러스/피닉스/애틀란타. 소위 선벨트라 불리는 이 곳은 미국 안에서도 요즘 경기가 확실히 좋다.

아무래도 물가 (특히 집값)가 높은 곳에서 보자면, 집값과 세금이 싼 남부가 매력적이지 않을까 싶다. 남부는 세금이 싸고, 규제가 적어서 부동산도 저렴한 편이다. 덕분에 무분별한 개발이라는 부작용도 있긴 하지만 (2017년에 휴스턴 허리케인 하비의 피해가 컷었던 이유로 휴스턴의 난개발을 지적하는 분들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조.) 다른 관점에서 보면 그 무분별한 개발 때문에 사람이 몰리는데도 집값이 크게 오르지 않았다. 오래전부터 버블 얘기가 나오는 베이쪽, LA에 비하면 이쪽은 소폭 상승에 그침.

어쨌든 동부/서부에서 살인적인 집값을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이건 느무나도 매력적인 것. 최근 지인도 메릴랜드 (워싱턴 생활권) 에서 댈러스로 옮기고서 큰 새집을 샀는데 정말로 만족하고 있다.

회사 입장에서도 인건비가 저렴하면서도 인프라/교육이 나쁘지 않은 애틀란타나 댈라스 같은 곳이 매력적이다. 내가 사는 애틀란타도 본사가 이사오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 대표적으로 벤츠가 최근 뉴저지에서 애틀란타로 미국 본사를 옮겼다.

도시/인구 주제에 관심있어 할 것 같은 페친들이 생각나서 기사 공유.

relates to More People Are Leaving NYC Daily Than Any Other U.S. City

2019년 봄, 뉴욕 트립 메모

바람쐬러 4년만에 뉴욕에 왔다. 처남집에 머물면서, 여기 친구들을 빼곡히 만났고, 틈틈히 관광도 하고, 아이들과 시간을 보내며 4박 5일을 보냈다.

뉴욕은 매번 올때마다 새롭다. 이번 방문에서는 4년전에 왜 뉴욕에 살기 싫다는 생각을 했었는지, 그럼에도 동시에 왜 오고 싶다는 생각을 했던가 새록새록 기억이 났다.

마침 그 당시 공감하며 읽었던 가디언지 기사 생각이 나서 링크를 남겨둔다.

A tale of two New York Cities: I was rich, my brother was down and out (the Guardian, 2014년 10월 24일자)

 

File:Above Gotham.jpg

센트럴 파크의 봄

몇주전 맨해튼 바람쐬러 갔을 때 남긴 메모.


어제 맨해튼은 날씨가 좋았다. 날씨가 좋은날 센트럴 파크는 산책을 하기도 좋고, people watching을 하기도 좋다.

누군가는 센트럴 파크에서 조깅을 하는게 로망이라, 그꿈을 쫓아서 살다가 보니 뉴욕에 산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아내는 맨해튼에서 학교 다니며 5년을 살면서도 1번을 가본게 전부였다는 이야기를 하며 웃었다.

마침 화창한날, 놀러나온 센트럴 파크 사람들을, 모자이크처럼 만든 동영상 클립보고서 공유한다.

File:3015-Central Park-Sheep Meadow.JPG

임대료가 비싼 상권

The World's Most Expensive Retail Locations

(image source: http://on.forbes.com/60138BMqU)

작년 포브스지 통계. 재미로 퍼왔다. 1,2위가 압도적이고 나머지는 비슷하다.

가봤던 곳을 떠올려 보는 일도 나름 즐거웠다. 숫자를 보면서 관련한 경험을 떠올리는 것은 그냥 버릇. 쇼핑을 즐기진 않지만 한번 둘러보는 정도는 경험삼아 나쁘지 않았던 듯. 뉴욕, 파리, 런던, 쮜리히, 홍콩을 가봤으니 나머지도 한번은 가볼 이유가 생겼다.

갑자기 명동이 가보고 싶네. 가게 된다면 그게 언제가 될런지…

관련기사 링크

뉴요커들의 침착한 테러 대응

지난 주말 뉴욕/뉴저지에서 있었던 폭탄 사건은 몇가지 생각할 거리를 던저주었다. 수사가 진행되어 봐야 알겠지만 정황상 테러의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좋은 일인지 모르겠으나, 이번 뉴스를 보면서 뉴욕은 테러에 대한 대응을 가장 침착하게 하는 도시가 되었구나 싶었다. 폭발물을 제거하는 과정, 용의자를 밝혀내는 과정, 용의자를 검거하는 과정, 그리고 시민의 반응까지 어떤 흥분이나 과잉 대응이 없이 차근차근 이뤄졌다. 로봇으로 폭발물을 안전하게 제거, 핸드폰 알람 메세지를 통해 범인 소재를 파악, 소란 없이 차분하게 대응 하는 시민들은 뭐랄까 경외심 마저 느끼게 한다.

이제는 테러 소식이 일상인지라 언론의 관심도 예전만 못하다. 총기사고에 무뎌지는 것처럼 테러에도 무뎌진다. (나는 총기사고에는 무뎌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통계상으로 테러 사건으로 인한 사망자는 아주 미약한 수준이지만, 미국에서 총기사고 사망률은 교통사고 사망률과 유사한 수준이다.)

여러모로 마음이 번잡스러운 가운데, 정치인들만 목소리 높여 테러를 규탄한다. 테러로 인해 가장 이득을 보는 이들은 정치인들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테러의 위협에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뉴요커들은 일본인들이 지진에 침착하게 대응하는 수준의 반응을 보였다. 일본이 지진에 대응하는 시스템이 잘되어 있는 것처럼 그들의 대응 수준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참고로 관련해서 예전에 올렸던 테러에 대한 포스트도 링크를 걸어둔다.
일상이 된 테러의 위협 (9월 5일자 포스트)

Image result for ahmad khan rahami

뉴욕/뉴저지 사건 용의자 Ahmad Rahami

.

관련 뉴요커 기사
NEW YORK’S RATIONAL RESPONSE TO TERROR, the new yorker, 9월 20일자

이슬람과 서구문명 관련 포스트
프랑스의 수영복 전쟁
프랑스와 세속주의 laïcité (라이시테)
여성의 의복과 종교에 대한 단상들
이슬람 여성 복장을 둘러싼 논의를 살펴보면서…
일상이 된 테러의 위협
뉴요커들의 침착한 테러 대응

일상이 된 테러의 위협

아내는 9/11 때 뉴욕에서 학교를 다녔다. 아내는 사건 후 일주일 간 매케한 냄새가 도시에 가득했다고 말했다. 분진이 하늘을 자욱하게 뒤덮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슬픔에 잠겼고, 지인들의 생사여부를 이야기 했다. 뉴스는 추가테러의 우려를 이야기했다. 두려움, 슬픔, 추모의 행렬, 그리고 어수선함 가운데서 21세기가 시작되었다.

지금도 아내는 마음이 번잡한 날이면 테러 꿈을 꾼다. 15년이 지난 지금에도 말이다.

Image result for 911

아래 첨부한 이코노미스트지 기사를 보면,

2001년 테러 공격 이후, 미국은 엄청난 돈을 보안과 첩보 강화에 쏟아부었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2009년까지 대략 일년에 80조원을 추가로 사용했다고 한다. 강화된 공항/항공 안보로 인해 지금에 와서는 민간 항공사가 테러의 수단이 되는 일은 드물다.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말이다.)

그리고 2010년대 IS의 등장과 IS 브랜드 테러는 많은 것을 바꾸어 놓았다. ‘외로운 늑대’의 등장은 고도의 훈련된 테러리스트와 조직이 없이도 테러가 가능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달 전에 있었던, 니스 테러 사건을 보고서 나는 이제 테러 방지가 과연 가능한가 하는 의문마저 들었다. 나쁜 의도를 가진 누군가가 트럭을 운전하면서 사람들이 밀집된 장소를 질주하는 것을 어떻게 사전에 방지한단 말인가.

니스에서 문제가 불거진, 부르키니 이야기로 다시 돌아가보자. 나는 ‘프랑스의 수영복 전쟁’을 포스팅하면서 프랑스에서 수영복이 이슈가 되는 이유를 세가지로 꼽은 바 있다. 첫째는 ‘라이시떼 laïcité’, 둘째 여성의 평등, 마지막으로는 테러의 위협이다.

(눈치 챈 사람은 없겠지만, 이어서 부연설명 포스트를 했다. 첫째는 라이시떼에 대해 설명했고, 둘째로는 터키의 세속주의를 이야기하면서 여성의 평등에 대해 이야기했고 오늘은 테러와 안보 위협에 대한 부연 설명이다.)

부르키니가 안보에 위협이 될까?

말도 안된다. 수영복에 무기나 폭탄을 감춘다고? 하려고 마음먹으면 못할바는 없겠지만 그 노력이면 어떤 옷도 테러의 수단이 되지 않을까.

프랑스인은 부르키니를 금지하는 비합리적인 조치를 과반이 넘게 지지하고 있다. 비상사태가 18개월 이상 지속되는 프랑스의 안보 위협상황과 연관이 없다고 말할 수 없다.

지난주 사르코지는 대선 출마를 선언했고, 부르키니 이슈를 첫 논쟁꺼리로 들고 나왔다. 마린 르펜의 국민전선은 작년 12월 1차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둔 바 있다. (물론 알다시피 결선 투표에서는 고배를 마셨다.) 두번의 선거를 치르는 프랑스의 투표방식을 생각해보면, 누가 알겠는가, 내년 결선투표가 사르코지와 마린르펜의 대결이 될 수도 있다. 그 경우 프랑스 대선에서 선택은 초강경과 덜 초강경한 후보자로 좁혀진다.

니스 테러 이후, 67%의 프랑스인이 정부가 테러의 위협에 제대로 대처하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다. 미국의 경우도 안보는 뜨거운 주제로 떠올랐다. 곧 있을 대선 토론의 핵심 쟁점은 안보 이야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정말로 테러가 일반인의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끼치는가.

오바마가 올초에 이런 이야기를 한적이 있다. 테러리스트의 공격에 죽을 확률은 욕조에서 목욕을 하다가 물에 빠져 죽을 확률보다 낮다고. 욕조에서 죽을 확률은 백만분에 일이고, 이슬람 테러로 미국에서 죽을 확률은 (올해 Orlando와 San Bernadino 사건을 기준으로) 오백만분에 일이다.

첨부한 이코노미스트지 기사에 공감한다. 테러전은 이제 서구사회에게는 심리전이 되었다. 서구사회는 오랜 시간 열린 사회와 자유를 추구해왔다. 그러나 열린 자세는 그만큼 자신을 위험에 노출하는 행동이다. 자신감과 상호신뢰가 없이 가능하지 않다.

정치인들은 기존의 서구의 가치관이라는 전통을 내세우면서 이를 정쟁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언론도 이에 동참하여 이슈를 만들고 사람들의 마음을 흔든다. 나도 올랜도 참사 이후 얼마간 힘들어서 뉴스를 보지 못했다. 그러나 앞에도 언급했듯이 테러의 위협은 ‘욕조의 위협’ 보다 작은 수준이다.

트럼프의 안보분야 보좌관인 Michael Flynn은 작년에 테러의 위협을 묘사하면서 “terrorism is committed to the destruction of freedom and the American way of life.” 라고 말한 적이 있다. 공감한다.

테러의 위협을 원천봉쇄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지난 15년 간 전 세계가 노력했으나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을 뿐이다. 이제는 테러와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한다.

참고자료
Terrorism – Learning to live with it, the Economist, 9월 3일자

이슬람과 서구문명 관련 포스트
프랑스의 수영복 전쟁
프랑스와 세속주의 laïcité (라이시테)
여성의 의복과 종교에 대한 단상들
이슬람 여성 복장을 둘러싼 논의를 살펴보면서…
일상이 된 테러의 위협

시카고 살인사건 발생률

미국 3대도시 (뉴욕, LA, 시카고)의 살인사건 발생률은 90년대 정점을 찍었다가 점차 하락세로 돌아섰는데, 시카고의 경우는 하락세가 2004년 부터 정체되었다. 올해만 놓고 보면 오히려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아래 기사의 분석에 따르면 다른 두도시와 시카고의 차이는 총기 사고이다.

지난주 memorial weekend 3일 연휴 동안 시카고에서 64명이 총에 맞았고 그중 6명이 죽었다. (이 정도면 그냥 전쟁터라고 봐야할지도…) 이에 대해서도 며칠 전 특집기사가 나간 바 있다.

관련 NYT 동영상 A weekend in Chicago

미국의 총기 규제 이슈에 대해서는 한번 정리해볼까 싶기도 하다. 뭐 그렇다고 대단한 내용은 아니고, 언제나 그렇듯이 현지인이 느끼는 사소한 감상 정도겠지만… 너무 길어질 것 같고, 자칫 잘못했다가 미국에 대한 오해만 불러 일으킬 듯 하여 엄두가 안나는 중.

시카고 (image source: wikipedia)

.

서울의 물가

4년 전에 내가 미국에 처음 올 때 생각하면 서울 물가는 살인적으로 올랐다. 이코노미스트 차트에 의하면, 이미 서울의 물가는 뉴욕을 추월한 상태.

체감상 미국도 주거비때문에 살림살이가 널널한건 아니다. 그래서 이코노미스트 통계가 주거비에 어떤 가중치를 주었는지 궁금긴 하다. 어쨌거나 저쨌거나 서울살이가 빡빡해진 것만은 사실인 듯.

재작년에 스위스에 두달 정도 체류했었다. 그때 장모님이 잠깐 방문하셨는데, 서울의 채소값이 워낙 올랐기에 스위스 장바구니 물가가 그다지 비싸다는 느낌도 못받으셨다. 이미 서울의 물가는 악명높은 스위스, 북유럽 수준에도 거의 육박한 상태이다.

11041854_10153114104094060_8124723750859877301_o

(source: http://econ.st/1vYDU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