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체르노빌 1편 보고 남기는 짧은 감상

2편을 보는 중에 잠깐 첫감상을 남긴다. 사실 이 드라마는 잘알려진 역사를 다루기 때문에 스포랄 것도 별로 없다. 올해 HBO 대박 드라마 중 하나로 처음엔 기대작도 아니었는데, 입소문이 퍼져서 히트를 쳤다. 왕겜 마지막 시즌에 실망한 시청자들에게 위로를 선사한셈.

Image result for chernobyl hbo

소재 때문에 많은 분들이 탈원전 드라마로 생각하기 쉬울 텐데 꼭 그게 메인인 건 아니다. 드라마는 그냥 사건을 드라이 하게 보여준다. 보다보면 당연히 방사능의 무서움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긴 하지만, 아울러서 그때 그곳에 있던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는 경험을 하게되고, 해체 직전 소련의 엄청난 관료주의에 경악을 금치 못하게 된다. 드라마는 1980년대 소련 우크라이나 지역을 완벽히 재현했다고 평가 받는데, 정말 그자리에서 같이 있는 것 같다.

재난 상황을 겪고 대처하는 이야기라 (이 미드를 본다면) 어떤 분들은 교훈 같은 걸 현대의 우리가 겪었던 일들에 적용하려고 할 지도 모르겠다. 글쎄 나는 그 상황이 너무나 이질적이고 충격이라 그렇게까지 직접적으로 연결은 안되더라.

1편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원전 폭발을 지켜보던 사람들. 방사능을 제외하면 그 장면은 몹시 아름답게 그려졌다. 그리고 그게 더 오싹하다. 이 장면은 알렉시예비치의 ‘체르노빌의 목소리’ 의 한 구절을 그대로 재현한 모양이다.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구절이 있더라.

————-

— 그 일은 금요일에서 토요일로 넘어가는 날 밤에 일어났어요. … 아직도 내 눈 앞에 진홍색 빛이 보이는 듯해요. 원자로가 안에서부터 빛나던 것이 기억나요. 신비로운 색깔이었어요. 그냥 평범한 불이 아니라 광채 같은 것이 났어요. 그 밖의 것에 대해 생각을 안 하면 매우 아름다웠다고도 할 수 있어요. … 우리 집은 9층이라 정말 잘 보였어요. 직선으로 3킬로미터 정도 거리였어요. 베란다로 나가 아이들을 들어 올리고는 “잘 봐! 기억해 둬!”라고 말했어요. 함께 보던 이들은 바로 원자로에서 일하던 사람이었어요. 기술자, 직원, 물리 선생님도 있었어요. 까만 먼지를 맞으며 서 있었어요. 얘기했어요. 숨 쉬었어요. 구경했어요. 어떤 사람들은 그걸 한 번 보려고 1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부터 차나 자전거를 타고 왔어요. 우리는 죽음이 그렇게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을 몰랐어요. 그렇다고 해서 냄새도 안 났다는 건 아니에요. 봄이나 가을 냄새가 아니라 뭔가 다른 것, 지구의 냄새가 아니었어요. 목이 따갑고, 눈물이 절로 흘렀어요. … 아침에 해가 떴을 때 주위를 돌아보자, 뭔가 바뀌었다는 걸 느꼈어요. 그날 후나 지금 꾸며낸 이야기가 아니라, 정말 그때 그렇게 느꼈어요. 영원히 바뀌었다는 기분……. / 나데즈다 페트로브나 비곱스카야, 전 프리퍄티 주민 (pp.263-264)

아 그리고 드라마 트레일러도 같이 첨부한다.

프렌즈 방영권 밸류에이션 – 좀더 기술적인 분석

어제 프렌즈 1년 방영권이 $100MM에 팔렸다는 기사를 공유했다. 생각해보니 나도 나름 MBA인데, 기업뉴스를 너무 감상위주로 올렸나 싶어서 자료를 좀 찾아봤다.

어제 포스트 링크

프렌즈의 밸류에이션을 하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CLV (customer lifetime value)를 써보는 거다. 넷플릭스의 경우는 한명의 가입자가 얼마의 가치를 가지냐가 될꺼다. 대충 이쪽 업계에서 CLV를 $1000 정도로 보는 것 같다. 그러니까 이 계산으로는 $100MM이 말이되려면 올해 프렌즈로 10만명의 추가 가입자가 생겨야 한다. 아니면 기회비용 관점에서 프렌즈의 소유권을 갖고 있는 타임워너가 2020년에 프렌즈를 방영한다면 내년 방영권을 팔았기 때문에 10만명의 가입자를 못끌어온다는 계산이 나오거나. (타임워너는 또다른 스트리밍 시장 참여자 HBO의 소유주 이기도 하다.)

아니면 SAC (subscriber Acquisition Cost) 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건 가입자 한명을 끌어오는데 드는 마케팅 비용이다. SAC를 한명당 $200로 친다면, (작년 자료를 보니까 넷플릭스가 SAC를 $200로 잡았더라.) 프렌즈가 50만명의 추가 가입자를 끌어와야 수지가 맞다는 이야기다.

회계적으로는 프렌즈의 가치를 산정한 다음에 일년 방영한 다음에 얼만큼 amortized 되었나를 따지는 게 맞을 것 같다. 인간적으로 프렌즈 전 시즌 본다음에 다음해에도 또 정주행하는거는 아니지 않나. 그치만 이건 좀 내부자료가 있어야 할 것 같아서 패스.

또는 넷플릭스가 자체적으로 가진 다른 컨텐츠 가격과 비교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이건 회사 내부적으로는 좀더 수월하지 않을까 싶다. 잘나가는 넷플릭스 드라마 Crown이나 Strange Things 아니면 Narcos 같은 컨텐츠 가격을 산정한 다음에, 비교할 만한 숫자를 토대로 (시청자수, 시청시간, 독점 방영여부 등등…) 프렌즈랑 비교하는 거다.

넷플릭스야 워낙 데이타 중심의 회사 / 빅데이타의 선구자로 불리는 회사니까 프렌즈의 가치를 잘 판단했을 꺼다. 당연히 $100MM 딜 산정하려고 숫자쟁이들이 달라붙어서 엄청 엑셀을 돌렸겠지. 그래도 $100MM는 좀…

이 동네 워낙 경쟁이 치열해서 점점 그렇게 되는 것 같다. 프렌즈 판권을 가진 타임워너 (라고 쓰고 AT&T라고 읽는다.) 가 HBO의 소유주라 계산이 더 복잡하다. (어제 살짝 언급한 디즈니는 hulu를 갖고 있고.) 그리고 프렌즈가 끝이 아니다. 얘기를 들어보니 NBC 쪽 미드 오피스도 곧 재계약에 들어간다고 한다. ㅎㄷㄷ

Image result for friends netflix

내가 놓친 2015년 미국 트렌드 6가지

나는 트렌디한 사람이 아니다. 책도 노래도 예전 것이 좋다. 트렌드야 노상 바뀌는데 거기에 힘을 빼느니 내가 즐기는 일에 좀더 시간을 쓰는게 낫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세상과 너무 단절되어 살아서 쓰겠나. 가끔은 신문을 뒤적이며 요새 뭐가 핫한가 훓어본다. 뉴욕타임스 Trend section에서 유명인들이 The Trend I Skipped This Year (2015년 12월 17일자 NYT)를 꼽은 걸 보았다. 갑자기 필받아서 작년에 놓친 트렌드를 찾아봤다.

 

뮤지컬 ‘해밀턴’

작년 하반기 브로드웨이에서 가장 핫했던 뮤지컬을 꼽으라면 단연 ‘해밀턴’이다. 요즘 가장 표를 구하기도 힘든 공연이기도 하다. 오바마가 두번 관람했다고 해서 유명세가 더해졌다.

줄거리는 미국 건국 아버지 중에 하나인 해밀턴의 이야기다. 10불 지폐에서 얼굴을 확인할 수 있는 재무장관 해밀턴의 이민자 시절 이야기, 그의 인생 역정, 그리고 미국 독립 이야기 등등이 잘 버무려져있다.

solomon_hamilton_otu

굳이 따지자면 힙합/랩 뮤지컬 쯤 될텐데, 그렇다고 단순히 랩만하는 뮤지컬이라고 하기는 애매하다. 영국 국왕이 부르는 노래는 브리티시 팝이고, 연인끼리는 발라드를 부른다. 흥미로운 장면은 해밀턴과 제퍼슨의 랩배틀 장면이다. 상공업을 중시했던 연방주의자 해밀턴과 농업/남부를 중시했던 반연방주의자 제퍼슨의 논쟁이 랩으로 표현된다. (아래 동영상의 6:46 쯤에서 나온다.)

이 뮤지컬이 핫한 이유 중에 하나는 주인공들이 히스패닉과 흑인이기 때문이다. 요즘 미국인들은 여자나 흑인/히스패닉이 주인공이면 모던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007 스펙터’,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같은 영화들이 대표적인 예이다. ‘해밀턴’ 역시 과거 백인이었던 실존 인물들을 흑인, 히스패닉이 연기하는데 그게 랩과 잘 어우러져 트랜디하다는 느낌을 준다.

뮤지컬 소개 자료 (한국어 버전): 음악으로 탄생시킨 인간적인 영웅 이야기 ‘해밀턴’

CBS 뮤지컬 소개 영상

.

하퍼리 신작 ‘파수꾼’

‘앵무새 죽이기’의 하퍼 리가 신간을 발행했다. 1960년대 첫작품 ‘앵무새 죽이기’를 출판하고서 60여년 간 작품을 내지 않았던 하퍼 리 할머니께서 고민 끝에 두번째 작품을 발표하기로 했다고. 출간 되기도 전에 베스트셀러가 확정된 소설이다.

US_cover_of_Go_Set_a_Watchman

정확히 말하자면 두번 째 소설이 아니고 ‘앵무새 죽이기’ 전에 쓰인 소설인데, 유실 되었던 원고가 최근 발견되어 출간까지 되었다. 소설 자체에 대한 매력보다는 팬심으로 글로벌 히트가 되었다. 그놈의 팬심, 참 글로벌 하기도 하여라.

 

정리의 여왕, 마리에 곤도

정리의 여왕 마리에 곤도가 미국에서 화제이다. 작은 체구의 일본인 여자는 5살 때부터 정리에 꽂혔다고 한다. 그녀는 정리로 학위를 따고 정리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다고. 일종의 ‘정리덕후’, ‘정리신동’이다.

2014년 말 미국에서 조용히 출간된 그녀의 책은 (작년 12월 기준) 미국내에서만 150만부가 팔렸고, 월드와이드로는 400만부가 팔렸다. Kondo 신드롬에 대한 Newyorker 기사를 링크한다. The Origin Story of Marie Kondo’s Decluttering Empire (Newyorker 2015년 12월 8일자)

marie-kondo-decluttering3

그녀의 책은 작년 미국에서 반향을 일으켰다. 그녀의 정리법은 단순히 기술이라기 보다는 삶을 사는 철학으로까지 보인다. 그녀는 보관할 물건과 버릴 물건을 정할 때 그 물건이 ‘spark joy’를 주는가 여부로 판단한다고 한다. 학창 시절, 정리를 하다가 물건을 버리는 것에 너무 집중하여서 그 부정적인 기운 때문에 거실에서 졸도를 했다고 한다.

그 이후 그녀는 정리할 때, 부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긍정적인 관점, 즉 사물이 주는 영감의 여부를 기준으로 버릴 물건을 정한다고 한다. 그녀는 이 기준을 물건 정리 뿐 아니라 연애 관계, 직업선택에도 적용한다고.

강연을 보면서 작은 일이라도 꾸준히 하다보면 철학이 생기고 삶의 자세가 바뀌는 구나 싶었다. 일본인들은 이러한 부분에 특히 강점이 있어보인다.

 

Hoverboard and periscope

신기한 장난감류로 작년에는 호버보드와 페리스코프가 인기였다. 호버보드는 백투더 퓨처 미래편에서 마이클 J 폭스가 타고다니던 바로 그 장난감이다.

c0a2041-edit1

페리스코프는 애플 선정 2015년 앱이다. 모바일 동영상 스트리밍 앱인데, 일종의 개인방송 앱이라고 한다. 유사 앱으로 ‘미어캣’이라는 서비스가 있다.

meerkat

서비스가 인기를 끌자 트위터는 재빨리 페리스코프의 제작사 바운티 랩스를 인수했다. 관심있는 분은 한 네티즌이 정리해둔 포스트를 보길 바란다.

링크: 페리스코프 VS 미어캣 새로운 시대가 올까?

새로운 장난감/서비스들이 으레 그렇듯 논란과 규제도 많다. 호버보드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 위험이 있다고 해서 비행기/대학 캠퍼스에서 반입 금지되는 추세이다.

 

Game of Thrones

시즌 2까지 열심히 봤던 미드이다. 한두회를 놓치면서 요즘은 잘 안보게 되었다. 회사에서 직장 동료들이 가끔 이야기하는 걸로 봐서 이제 HBO 간판 프로그램이 된 듯 하다.

download

작년 초에 HBO가 HBO go/Now를 출시하면서 크게 광고를 했던 드라마가 Game of Thrones였다. (이제 Game of Thrones을 스트리밍으로 간편하게 보자!!) 미국 방송계는 이제 스트리밍 서비스가 대세이다.

주위의 젊은 미국사람들(20~30대)과 이야기 해보면 비싼 케이블 티비를 더이상 신청하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인터넷 스트리밍으로 드라마와 쇼를 본다. 이런 사람들을 부르는 cord-cutter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미국 스트리밍 시장은 Netflix, Hulu, Amazon Prime, HBO go 등등이 주도하고 있는데, 경쟁이 아주 치열하다.

여담인데, 케이블 시청자가 줄면서 디즈니가 타격을 입었다. 디즈니는 ESPN (스포츠 중계 채널) 수익의 비중이 큰데, ESPN은 비싼 케이블 패키지로 돈을 번다. 그런데 cord cutter의 등장으로 디즈니의 수익성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그래서 스타워즈가 성공을 거두었지만 (스타워즈의 루카스 필름은 디즈니 계열사이다), 디즈니의 주가는 하락세이다.

몰아보기 같은 시청 패턴도 흔해졌다. binge-watching이라는 유행어가 생겼는데, 원래는 폭식을 뜻하는 binge-eating에서 유래했다. 이러한 시청 패턴은 시즌 에피소드를 한번에 릴리즈 하는 Netflix의 영향이 크다.

 

테이스팅 메뉴 Tasting menus

최근들어 뉴욕 식당가에는 테이스팅 메뉴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삼백불 정도 가격에 서너 시간 정도 수다 떨면서 수백 가지 요리를 맛보는 식이다.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한국에도 있다. 역시 이런 류의 유행에서 한국인은 발 빠르다.

2012-05-23-Robertas_Tasting

제대로 된 식사도 아니고 페북/인스타그램에 올리기 좋은 이쁘기만 한 장식용 요리들이 비싸기만 한 것 같아 개인적으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 유행이란다.

 

그외에…

작년에 화제가 되었던 미드는 ‘엠파이어’, ‘매드맨’ 파이널 시즌, ‘어페어’, ‘제시카 존슨’, ‘트랜스페어런트’ 였고, 카니예 웨스트가 론칭한 브랜드 Yeezy가 주목을 받았으며, 쿠바여행 자유화, 총기규제, 도널드 트럼프, 소설 ‘Fate and Furies’, 애플와치, 스냅챗, 트랜스젠더 모델 Caitlyn Jenner가 사람들 입에 자주 오르내렸다.

John Oliver – net neutrality

It is such a boring topic. But worth watching.

지난번에 월드컵 얘기하면서 소개한 HBO의 존 올리버 되시겠다.

비속어나 영국식 억양 때문에 알아듯기 힘들긴 하지만, 내용은 참고 들어볼 만하다.

가끔 미국 코미디 보면서 부러운 게, 미국은 상당히 보수적인 나라이지만 코메디에서 상당히 정치적인 주제를 거리낌 없이 시원하게 쏟아 낸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코메디는 정치 풍자가 중요한 한 축이다.

주제는 참으로 어렵게도 ‘망중립성(net neutrality)’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통신사들이 보이스톡을 제한하면서 몇번 언론에 소개된 말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인터넷 망 인프라 회사들이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모든 컨텐츠를 동일하게 취급해야한다는 원칙이다. 보이스톡은 통신회사들의 음성통신 매출과 연관이 깊기 때문에 망중립성 논란이 불거지는 거다.

공유한 영상클립은 인터넷 케이블회사와 (컴캐스트, 타임워너) 정보통신 분야 로비스트, 대통령의 이권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일반인의 시각으로 쉽게(?)풀어서 설명해준다. 우리로 따지면 SKT와 KT 그리고 정통부, 대통령의 의혹을 jtbc의 토크쇼에서 김구라가 시원하게 까대는 건데 이런게 우리나라는 언제 가능해질까 싶다. 딱히 좋아한 적은 없었지만 나꼼수 같은 프로그램이 그런 걸 표방 했던 것 같기도 하고…